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덕 윤리와 도덕적 상대주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583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식론이나 윤리학에 있어서 객관성과 상대성의 갈등을 해결해보려는 노력은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는 문제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객관성과 상대성의 문제가 덕 윤리에 적용될 때 그것이 해결되기 보다는 해소된다는, 즉 끊임없이 뒤섞여지면서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을 보이고자 하였다. 근대 윤리학은 보편성의 이상 아래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인간과 삶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개인적인 측면에서 볼 때 삶의 수많은 측면들은 모두 상대적인 것이며, 이러한 상대성을 보편의 기준으로 규격화시키려 할 때 일어나는 갈등들은 쉽게 무마시킬 수 없는 것들이다. 보편적인 윤리의 잣대로 개인적인 개별성이 침해당할 때 윤리적 규범은 심정적으로 힘을 잃게 되고 권위주의적 횡포로 전락하게 된다. 덕 윤리는 상황의 상대성, 개인의 특수성을 인정하고서 주어진 상황에서 가장 적절한 판단과 행위를 산출하려 한다. 그리고 이러한 개별적인 상황들이 전체적인 인간 삶을 행복이라는 최고선에 이를 수 있도록 방향 지운다. 이러한 덕 윤리의 특징은 상대성과 보편성을 대립시키지도 않으며, 그것이 간단하게 해결되는 것으로 여기지도 않는다. 각각의 상황들이나 개인이 지닌 삶의 맥락의 구체적인 문제들은 ‘불가공약적’이지만 그러한 상황들과 맥락들은 서로서로 비교 가능하며, 그러한 비교와 성찰의 과정 속에서 우리는 우리 자신과 타인들을 더 잘 이해하게 된다. 비교와 성찰 속에서 이루어지는 이해와 해석은 전형적인 해석학적 작업이며, 이를 통한 적용의 구체적 범례가 프로네시스(phronesis), 즉 실천적 지혜의 발현이다. 본 논문은 해석학적 순환의 과정 속에서 상대성과 보편성이 어우러지며, 이러한 어우러짐의 대표적인 범례가 덕 윤리, 그 중에서도 프로네시스의 발현임을 보이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인식론이나 윤리학에 있어서 객관성과 상대성의 갈등을 해결해보려는 노력은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는 문제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객관성과 상대성의 문제가 덕 윤리에 적용...

      인식론이나 윤리학에 있어서 객관성과 상대성의 갈등을 해결해보려는 노력은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는 문제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객관성과 상대성의 문제가 덕 윤리에 적용될 때 그것이 해결되기 보다는 해소된다는, 즉 끊임없이 뒤섞여지면서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을 보이고자 하였다. 근대 윤리학은 보편성의 이상 아래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인간과 삶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개인적인 측면에서 볼 때 삶의 수많은 측면들은 모두 상대적인 것이며, 이러한 상대성을 보편의 기준으로 규격화시키려 할 때 일어나는 갈등들은 쉽게 무마시킬 수 없는 것들이다. 보편적인 윤리의 잣대로 개인적인 개별성이 침해당할 때 윤리적 규범은 심정적으로 힘을 잃게 되고 권위주의적 횡포로 전락하게 된다. 덕 윤리는 상황의 상대성, 개인의 특수성을 인정하고서 주어진 상황에서 가장 적절한 판단과 행위를 산출하려 한다. 그리고 이러한 개별적인 상황들이 전체적인 인간 삶을 행복이라는 최고선에 이를 수 있도록 방향 지운다. 이러한 덕 윤리의 특징은 상대성과 보편성을 대립시키지도 않으며, 그것이 간단하게 해결되는 것으로 여기지도 않는다. 각각의 상황들이나 개인이 지닌 삶의 맥락의 구체적인 문제들은 ‘불가공약적’이지만 그러한 상황들과 맥락들은 서로서로 비교 가능하며, 그러한 비교와 성찰의 과정 속에서 우리는 우리 자신과 타인들을 더 잘 이해하게 된다. 비교와 성찰 속에서 이루어지는 이해와 해석은 전형적인 해석학적 작업이며, 이를 통한 적용의 구체적 범례가 프로네시스(phronesis), 즉 실천적 지혜의 발현이다. 본 논문은 해석학적 순환의 과정 속에서 상대성과 보편성이 어우러지며, 이러한 어우러짐의 대표적인 범례가 덕 윤리, 그 중에서도 프로네시스의 발현임을 보이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flict of Objectivism and Relativism is the time-honored problem. The Ethical norms seeks after establishment of universal criterion. However strengthening universality causes the oppression of authoritarianism. This oppression is not to accept the ethical norms but to increase repulsion, and weakens the power of norms, The modern ethics pursued the establishment of universal ethical criterion. But the elements of relativeness increased more and more through the changes of social structure. Virtue ethics helps to dissolve the problem of universality and relativity is ethics. Because it harmonizes an individual relativity and universality of human being's life. Especially this harmony is revealed well in phronesis. The defect of virtue ethics is relativity of virtue that belong to the each community. However, though the virtues of each community look like incommensurable, it is the incommensurability of problems and criterions. The ultimate principle that is to realize the happiness life is universal, and its courses is mixed the elements of universality and relativity. This courses are the typical circulation of hermeneutic and the realization of phronesis. This article suggest that virtue ethics dissolves the problem of universality and relativity, and insist that phronesis can do the role of dissolution.
      번역하기

      The conflict of Objectivism and Relativism is the time-honored problem. The Ethical norms seeks after establishment of universal criterion. However strengthening universality causes the oppression of authoritarianism. This oppression is not to accept ...

      The conflict of Objectivism and Relativism is the time-honored problem. The Ethical norms seeks after establishment of universal criterion. However strengthening universality causes the oppression of authoritarianism. This oppression is not to accept the ethical norms but to increase repulsion, and weakens the power of norms, The modern ethics pursued the establishment of universal ethical criterion. But the elements of relativeness increased more and more through the changes of social structure. Virtue ethics helps to dissolve the problem of universality and relativity is ethics. Because it harmonizes an individual relativity and universality of human being's life. Especially this harmony is revealed well in phronesis. The defect of virtue ethics is relativity of virtue that belong to the each community. However, though the virtues of each community look like incommensurable, it is the incommensurability of problems and criterions. The ultimate principle that is to realize the happiness life is universal, and its courses is mixed the elements of universality and relativity. This courses are the typical circulation of hermeneutic and the realization of phronesis. This article suggest that virtue ethics dissolves the problem of universality and relativity, and insist that phronesis can do the role of dissolu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머리말
      • 2. 덕 윤리의 내용과 특성
      • 가. 덕 윤리의 배경과 특징
      • 나. 도덕적 상대주의와 프로네시스
      • 요약문
      • 1. 머리말
      • 2. 덕 윤리의 내용과 특성
      • 가. 덕 윤리의 배경과 특징
      • 나. 도덕적 상대주의와 프로네시스
      • 3. 보편성과 상대성의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서
      • 가. 불가공약성과 구조 틀의 신화
      • 나. 해석학적 순환과 프로네시스
      • 4. 맺음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Carr, D, "인성교육론" 교육과학사, 서울 1997

      2 Taylor, P.W, "윤리학의 기본 원리" 서광사, 서울 1985

      3 박병기, "윤리학과 도덕교육" 인간사랑, 서울 1996

      4 도성달, "윤리학과 덕교육"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서울 2001

      5 김태길, "윤리학" 박영사, 서울 1983

      6 조무남, "앎과 삶 그리고 덕" 교육과학사, 서울 2002

      7 Barnes, J,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서광사, 서울 1989

      8 Umson, J.O,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서광사, 서울 1996

      9 박전규,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지혜" 서광사, 서울 1985

      10 최병태, "덕과 규범-도덕교육의 이해" 교육과학사, 서울 1996

      1 Carr, D, "인성교육론" 교육과학사, 서울 1997

      2 Taylor, P.W, "윤리학의 기본 원리" 서광사, 서울 1985

      3 박병기, "윤리학과 도덕교육" 인간사랑, 서울 1996

      4 도성달, "윤리학과 덕교육"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서울 2001

      5 김태길, "윤리학" 박영사, 서울 1983

      6 조무남, "앎과 삶 그리고 덕" 교육과학사, 서울 2002

      7 Barnes, J,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서광사, 서울 1989

      8 Umson, J.O,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서광사, 서울 1996

      9 박전규,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지혜" 서광사, 서울 1985

      10 최병태, "덕과 규범-도덕교육의 이해" 교육과학사, 서울 1996

      11 Bernstein, R.J, "객관주의와 상대주의를 넘어서: 과학과 해석학 그리고 실천" 보광재, 서울 1996

      12 Foot, P, "Virtues and Vices (Virtue Ethics)" Blackwell Publishing 2003

      13 Gadamer, H.G, "Truth and Method" Seabury Press, New York 1975

      14 "Theory-Change as Structure-Change: Comments on the Sneed Formalism" 10 : 1976

      15 Kuhn, T,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2nd ed." Univ. of Chicago Press, Chicago 1970

      16 Rainbow, Paul, "The Problem of Historical Consciousness (in Interpretive Social Science: A Reader)" Univ.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1979

      17 Sherman, N, "The Fabric of Character: Aristotle's Theory of Virtue" Oxford Univ. Press, New York 1989

      18 Cooper, J.M, "Reason and Human Good in Aristotle" Havard Univ. Press, Cambridge 1977

      19 Aristotle, "Nicomachean Ethics" Oxford Univ. Press 1971

      20 "Moral Rationality, Tradition and Aristotle: A Reply to O. O'Neill, R. Gaita and S.R.L. Clark" 26 (26): 1983

      21 Frankena, W.K, "Ethics" Prentice Hall, New Jersey 1973

      22 Ackrill, J.L, "Aristotle the Philosopher" Oxford Univ. Press 1981

      23 MacIntyre, A, "After Virtue, 2nd ed." Univ. of Notre Dame Press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53 1.021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