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이 연구는 대학 프로골프선수를 대상으로 드라이버 비거리와 운동수행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실 시하였다. [방법]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D대학에 재학중인 대한골프협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311569
2024
Korean
695
KCI등재
학술저널
19-26(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이 연구는 대학 프로골프선수를 대상으로 드라이버 비거리와 운동수행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실 시하였다. [방법]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D대학에 재학중인 대한골프협회...
[목적] 이 연구는 대학 프로골프선수를 대상으로 드라이버 비거리와 운동수행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실 시하였다. [방법]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D대학에 재학중인 대한골프협회에 등록된 핸디캡이 0인 프로골퍼 남자 6 명, 여자 4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이 연구의 측정변인은 드라이버 비거리와 운동수행능력 검사 항목으로 제자리멀리 뛰기, 10m 달리기, 10m 왕복달리기, 윗몸 앞으로 굽히기, 외발서기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드라이버 비거리 와 제자리멀리뛰기, 민첩성과 같은 순발력 요인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스피드, 평형성 및 유연성에서 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드라이버 비거리와 순발력 요인과의 상관성이 유의한 것으로 보아 폭 발적인 힘의 생성을 위한 근력과 순발력 향상 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driver distance and athletic performance in collegiate pro-golfers. [Method]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6 male, 4 female pro golfers with 0 handic...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driver distance and athletic performance in collegiate pro-golfers. [Method]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6 male, 4 female pro golfers with 0 handicaps registered with the Korea Golf Association. The test variables was dirver distance and athletic performance was standing long jump(power), 10m run(speed), 10m shuttle run(agility), sit and reach(flexibility), one leg stand(balance). [Resul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driver distance and power such as standing long jump, agilit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in speed, balance and flexibility. [Conclusion] Sinc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river distance and the power factor is significant, training to improve muscle strength, power will be necessary to generate explosive power.
목차 (Table of Contents)
KLPGA 1부 투어선수의 경쟁상태 불안이 자아존중감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엘리트 골퍼 대상 경사면 퍼팅 시 퍼터 헤드의 운동학적 분석
골프 소비자의 참여 유형에 따른 소비 특성 차이 검증 :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이론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