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시경 유두부 괄약근 절개술(endoscopic sphincterotomy, EST)은 췌담도 질환의 기본 시술로 현재 다양한 췌담도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표준검사로 널리 시행되고 있다. 이후 1982년에는 EST에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내시경 유두부 괄약근 절개술(endoscopic sphincterotomy, EST)은 췌담도 질환의 기본 시술로 현재 다양한 췌담도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표준검사로 널리 시행되고 있다. 이후 1982년에는 EST에 대...
내시경 유두부 괄약근 절개술(endoscopic sphincterotomy, EST)은 췌담도 질환의 기본 시술로 현재 다양한 췌담도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표준검사로 널리 시행되고 있다. 이후 1982년에는 EST에 대한 대안으로 내시경 유두부 풍선확장술(endoscopic papillary balloon dilation, EPBD)이 소개되었으며 EPBD는 EST와 비교하여 오디괄약근의 기능을 보존하고 출혈과 천공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ST 및 EPBD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십이지장 유두부의 해부학적 구조를 잘 이해해야 하며 EST와 EPBD의 기본 술기를 잘 숙지하여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ndoscopic sphincterotomy (EST) is a basic procedure for pancreatobiliary endoscopy and is currently widely performed as a standard procedure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pancreatobiliary diseases worldwide. Later, in 1982, endoscopic papillary balloo...
Endoscopic sphincterotomy (EST) is a basic procedure for pancreatobiliary endoscopy and is currently widely performed as a standard procedure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pancreatobiliary diseases worldwide. Later, in 1982, endoscopic papillary balloon dilation (EPBD) was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to EST, and EPBD is known to reduce the risk of bleeding and perforation compared to EST. In order to safely and effectively perform EST and EPBD procedures, it is essential to select an appropriate target for the procedure, as well as to understand and familiarize with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duodenal papilla, related instruments, and basic techniques of EST and EPBD.
The First Case Report of Ketamine-Induced Cholangiopathy in Korea
위절제 후 루와이 소장 재건술을 받은 환자의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에서 단축형 단일풍선 소장내시경을 이용한 Mechanistic Loop Resolution Strategy의 유용성
Atypical Presentation of Cat-Scratch Disease Mimicking Malignancy: A Case Report
Hemorrhagic Acalculous Cholecystitis in Pyogenic Spondylodiscitis Pat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