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정서장애학교 학부모의 요구 분석 = The parents' needs of children attending school for students with emotional disorder on functional life centered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980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functional skills between autism students and mental retardation students at school for students with emotional disorder in South Korea. The total number of 322 parents in special school for the emotional disturbance, 181 parents of autism students and 141 parents of mental retardation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overall difference of parents of autism and mental retardation students in special school for the emotional disturbance is this. The parents of mental retardation students focused on health and safety skills, while the parents of autism students focusing on personal physical care. Second, according to their grades, parents of mental retardation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moving and traveling, while par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focusing on healthy and safety skills. Parents of autism students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ocused on personal physical care, while parents in high school focusing on healthy and safety skills. Third, according to their gender, parents of mental retardation male students focused on healthy and safety, while parents of mental retardation female students focusing on personal physical care. Parents of male and female autism students focused on personal physical care.
      The result of the study is expected to help selecting and appling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cont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functional skills between autism students and mental retardation students at school for students with emotional disorder in South Korea. The total number of 322 parents in special school fo...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functional skills between autism students and mental retardation students at school for students with emotional disorder in South Korea. The total number of 322 parents in special school for the emotional disturbance, 181 parents of autism students and 141 parents of mental retardation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overall difference of parents of autism and mental retardation students in special school for the emotional disturbance is this. The parents of mental retardation students focused on health and safety skills, while the parents of autism students focusing on personal physical care. Second, according to their grades, parents of mental retardation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moving and traveling, while par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focusing on healthy and safety skills. Parents of autism students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ocused on personal physical care, while parents in high school focusing on healthy and safety skills. Third, according to their gender, parents of mental retardation male students focused on healthy and safety, while parents of mental retardation female students focusing on personal physical care. Parents of male and female autism students focused on personal physical care.
      The result of the study is expected to help selecting and appling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cont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정서장애학교의 주요 대상인 자폐성 학생과 정신지체 학생 간에 학부모가 요구하는 기능적 기술의 우선순위가 어떻게 다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서장애학교에 다니는 자폐성 장애 학생의 부모 181명과 정신지체 학생 부모 141명, 총 322명을 대상으로 기능적 기술의 우선순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우선순위를 알아본 결과, 정서장애학교에 다니는 정신지체 학생의 부모는 건강과 안전에 관한 기능적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고, 자폐성 학생의 부모는 신변처리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둘째, 학교급별 우선순위를 알아본 결과, 정신지체학생 부모의 경우 초등부는 이동하기와 여행하기를, 중학부와 고등부는 건강과 안전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고, 자폐성 학생 부모의 경우 초등부와 중학부는 신변처리 기술을, 고등부는 건강과 안전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 우선순위를 알아본 결과, 정신지체 학생 부모의 경우 남학생은 건강과 안전 기술을, 여학생은 신변처리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폐성 학생 부모는 남ㆍ여 모두 신변처리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정서장애학교에서 학교수준의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정서장애학교의 주요 대상인 자폐성 학생과 정신지체 학생 간에 학부모가 요구하는 기능적 기술의 우선순위가 어떻게 다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서장애학교에 다...

      이 연구는 정서장애학교의 주요 대상인 자폐성 학생과 정신지체 학생 간에 학부모가 요구하는 기능적 기술의 우선순위가 어떻게 다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서장애학교에 다니는 자폐성 장애 학생의 부모 181명과 정신지체 학생 부모 141명, 총 322명을 대상으로 기능적 기술의 우선순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우선순위를 알아본 결과, 정서장애학교에 다니는 정신지체 학생의 부모는 건강과 안전에 관한 기능적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고, 자폐성 학생의 부모는 신변처리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둘째, 학교급별 우선순위를 알아본 결과, 정신지체학생 부모의 경우 초등부는 이동하기와 여행하기를, 중학부와 고등부는 건강과 안전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고, 자폐성 학생 부모의 경우 초등부와 중학부는 신변처리 기술을, 고등부는 건강과 안전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 우선순위를 알아본 결과, 정신지체 학생 부모의 경우 남학생은 건강과 안전 기술을, 여학생은 신변처리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폐성 학생 부모는 남ㆍ여 모두 신변처리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정서장애학교에서 학교수준의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용태, "통합장면에서의 기능적 생활중심 여가활동이 정신지체 학생의 고립행동과 여가활동 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발달장애학회 4 : 1-14, 2000

      2 김삼섭, "통합교육 둘러보기:함께 사는 사람들" 시그마 프레스 2008

      3 김영환, "정신지체학교 초등부 기능적 생활중심 지도 프로그램" 국립특수교육원 1997

      4 정정권, "정신지체학교 중학부 기능적 생활중심 프로그램" 국립특수교육원 1995

      5 김영환, "정신지체학교 고등부 기능적 생활중심 프로그램" 국립특수교육원 1996

      6 전능태, "일상기능적 생활중심 교육활동이 정신지체아의 주거생활과 일상생활기술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1

      7 양희연, "생활중심 진로교육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2002

      8 김영환, "발달장애아동의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방안 탐색" 1 : 3-22, 1994

      9 곽복련, "또래지도를 통한 기능적 생활중심 프로그램 활용이 정신지체아의 사회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충청북도 교육청, "기능적 생활중심교육 과정과 IEP 작성: 제7차 교육과정 특수교육자료 교육청 자체 제작 CD 프로그램"

      1 조용태, "통합장면에서의 기능적 생활중심 여가활동이 정신지체 학생의 고립행동과 여가활동 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발달장애학회 4 : 1-14, 2000

      2 김삼섭, "통합교육 둘러보기:함께 사는 사람들" 시그마 프레스 2008

      3 김영환, "정신지체학교 초등부 기능적 생활중심 지도 프로그램" 국립특수교육원 1997

      4 정정권, "정신지체학교 중학부 기능적 생활중심 프로그램" 국립특수교육원 1995

      5 김영환, "정신지체학교 고등부 기능적 생활중심 프로그램" 국립특수교육원 1996

      6 전능태, "일상기능적 생활중심 교육활동이 정신지체아의 주거생활과 일상생활기술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1

      7 양희연, "생활중심 진로교육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2002

      8 김영환, "발달장애아동의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방안 탐색" 1 : 3-22, 1994

      9 곽복련, "또래지도를 통한 기능적 생활중심 프로그램 활용이 정신지체아의 사회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충청북도 교육청, "기능적 생활중심교육 과정과 IEP 작성: 제7차 교육과정 특수교육자료 교육청 자체 제작 CD 프로그램"

      11 이상훈, "기능적 생활중심 전환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아의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11 (11): 95-116, 2001

      12 김민수,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활동이 정신지체 학생의 지역사회적응기술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3 윤혜순,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이 정신지체학생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4 오정숙,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이 정신지체아의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15 김영환,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이 훈련가능 정신지체아의 집단 활동 적응에 미치는 효과" 13 (13): 45-61, 1992

      16 김영환,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국립특수교육원 1996

      17 박승탁,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의 직업적응, 직업수행 및 일상 생활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2000

      18 Ryndak, D. L., "Curriculum and instruction for student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 Allyn and Bacon 2003

      19 교육과학기술부, "2008 특수교육통계(조사기준일: 2008년 4월 1일)"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