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漢字·漢文敎育 現場實踐 指向的 敎授-學習 方法 硏究의 現況과 成果 = The status quo and the result of the research on the field-base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al Chine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591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field-based teaching-learning methods of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al Chinese. Based onexamining the present situation of prior studies done so far, it aims topresent suggestions for improvement.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한자한문교육)』, a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Chinese Characters, and 『Stud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한문교육연구』previousresearches on teaching-learning methods were done at a conference incelebration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30th Anniversary(2011), and 『Classical Chinese and Teaching-LearningMethods』(2012), a collection of researches of Korean Classical Chineseeducation.
      The current situation and result of this research are categorized into‘Chinese Characters', ‘Vocabulary', ‘Chinese poetry', and ‘Prose'. Otherthan these categories are gathered and labeled as ‘General data'. Also,related materials of ‘Media Application Education' are referred separately.
      As examined so far, problems are pointed out as follows, and also a fewsuggestions for improvement are added.
      First of all, current results of researches on Chinese poetry and proseteaching-learning methods are not good enough. It seems necessary that these researches be activated by setting up the issue as subject ofconferences. Secondly, result of researches on ‘class models' or‘systematiz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s' should be accumulatedmore through activation of these studies, since this could be directteaching guidelines for teachers at the chalkface. Lastly, the field studyof teaching-learning methods is relatively poor in research result thanwhat the theoretical study is. To solve this, there is a need to lead teachersmajoring the subject to participate conferences to share their individualgreatness.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s the field-based teaching-learning methods of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al Chinese. Based onexamining the present situation of prior studies done so far, it aims topresent suggestions for improvement. 『Education ...

      This article examines the field-based teaching-learning methods of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al Chinese. Based onexamining the present situation of prior studies done so far, it aims topresent suggestions for improvement.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한자한문교육)』, a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Chinese Characters, and 『Stud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한문교육연구』previousresearches on teaching-learning methods were done at a conference incelebration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30th Anniversary(2011), and 『Classical Chinese and Teaching-LearningMethods』(2012), a collection of researches of Korean Classical Chineseeducation.
      The current situation and result of this research are categorized into‘Chinese Characters', ‘Vocabulary', ‘Chinese poetry', and ‘Prose'. Otherthan these categories are gathered and labeled as ‘General data'. Also,related materials of ‘Media Application Education' are referred separately.
      As examined so far, problems are pointed out as follows, and also a fewsuggestions for improvement are added.
      First of all, current results of researches on Chinese poetry and proseteaching-learning methods are not good enough. It seems necessary that these researches be activated by setting up the issue as subject ofconferences. Secondly, result of researches on ‘class models' or‘systematiz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s' should be accumulatedmore through activation of these studies, since this could be directteaching guidelines for teachers at the chalkface. Lastly, the field studyof teaching-learning methods is relatively poor in research result thanwhat the theoretical study is. To solve this, there is a need to lead teachersmajoring the subject to participate conferences to share their individualgreat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검토 대상은 ‘한자·한문교육 현장실천 교수-학습 방법’이다. 그간의연구현황 및 성과를 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의 과제점검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현황을 확인하기 위한 자료는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지 『한자한문교육』과 한국한문교육학회지 『한문교육연구』이다.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서는 한국한문교육학회 창립 30주년기념 학술대회(2011)와 한국한문교육연구총서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론』(2012)에서 그간의 연구실적을 정리하였다.
      연구의 현황과 성과는 ‘한자’, ‘어휘’, ‘한시’, ‘산문’으로 분류하고, 이에 속하지않는 것은 ‘일반자료’로 모아서 정리 하였다. 또한 ‘매체 활용교육’ 관련 자료도 별도로 언급하였다. 이상을 검토해 본 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과제가 확인되었다.
      첫째, 한시·산문 관련 교수-학습 방법 연구 성과가 부족하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학회차원에서 기획주제로 다루어 이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를 도모할 필요가있다. 둘째, ‘수업모형’이나 ‘교수-학습 방법의 체계화’와 관련한 연구가 활발해져서 연구성과가 교육과정에 더 많이 축적되어야 하겠다. 현장교사들에게 있어 교육과정은 직접적인 수업안내 지침이기 때문이다. 셋째,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하여 이론연구보다 현장실천 연구실적이 상대적으로 빈약하다. 이의 해결을 위해 전공교사들의 학회 참여 유도가 필요하리라 본다. 교사 개인이 지닌 우수 지도방안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번역하기

      이 글의 검토 대상은 ‘한자·한문교육 현장실천 교수-학습 방법’이다. 그간의연구현황 및 성과를 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의 과제점검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현황을 확인하기 위한 ...

      이 글의 검토 대상은 ‘한자·한문교육 현장실천 교수-학습 방법’이다. 그간의연구현황 및 성과를 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의 과제점검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현황을 확인하기 위한 자료는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지 『한자한문교육』과 한국한문교육학회지 『한문교육연구』이다.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서는 한국한문교육학회 창립 30주년기념 학술대회(2011)와 한국한문교육연구총서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론』(2012)에서 그간의 연구실적을 정리하였다.
      연구의 현황과 성과는 ‘한자’, ‘어휘’, ‘한시’, ‘산문’으로 분류하고, 이에 속하지않는 것은 ‘일반자료’로 모아서 정리 하였다. 또한 ‘매체 활용교육’ 관련 자료도 별도로 언급하였다. 이상을 검토해 본 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과제가 확인되었다.
      첫째, 한시·산문 관련 교수-학습 방법 연구 성과가 부족하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학회차원에서 기획주제로 다루어 이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를 도모할 필요가있다. 둘째, ‘수업모형’이나 ‘교수-학습 방법의 체계화’와 관련한 연구가 활발해져서 연구성과가 교육과정에 더 많이 축적되어야 하겠다. 현장교사들에게 있어 교육과정은 직접적인 수업안내 지침이기 때문이다. 셋째,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하여 이론연구보다 현장실천 연구실적이 상대적으로 빈약하다. 이의 해결을 위해 전공교사들의 학회 참여 유도가 필요하리라 본다. 교사 개인이 지닌 우수 지도방안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裵源龍, "효과적인 漢文敎育의 方案-學習資料 개발을 중심으로-" 韓國漢文敎育學會 2 : 1988

      2 남수극, "활동중심 초등학교 한자 지도방안"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05-128, 2005

      3 남수극, "현행 초등학교 한자교육에서의 媒體 活用 敎育 實態"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9-75, 2008

      4 宋秉烈, "현토교육의 유용성과 토의 문법적 성격" 韓國漢文敎育學會 13 : 1999

      5 김경수, "한자의 읽기 교육에 대하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7-14, 2007

      6 김동규, "한자어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실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29-158, 2005

      7 조은정, "한자교육에서의 同源字 활용 - 鬼와 畏를 중심으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589-606, 2011

      8 한예원, "한자.한자어의 필수 학습요소 개발" 한국한문교육학회 24 (24): 47-69, 2005

      9 이권홍, "한자 교수방법의 실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87-416, 2010

      10 권혁진, "한시를 통한 생태교육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53-378, 2006

      1 裵源龍, "효과적인 漢文敎育의 方案-學習資料 개발을 중심으로-" 韓國漢文敎育學會 2 : 1988

      2 남수극, "활동중심 초등학교 한자 지도방안"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05-128, 2005

      3 남수극, "현행 초등학교 한자교육에서의 媒體 活用 敎育 實態"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9-75, 2008

      4 宋秉烈, "현토교육의 유용성과 토의 문법적 성격" 韓國漢文敎育學會 13 : 1999

      5 김경수, "한자의 읽기 교육에 대하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7-14, 2007

      6 김동규, "한자어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실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29-158, 2005

      7 조은정, "한자교육에서의 同源字 활용 - 鬼와 畏를 중심으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589-606, 2011

      8 한예원, "한자.한자어의 필수 학습요소 개발" 한국한문교육학회 24 (24): 47-69, 2005

      9 이권홍, "한자 교수방법의 실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87-416, 2010

      10 권혁진, "한시를 통한 생태교육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53-378, 2006

      11 유영봉, "한시 학습 단계 설정을 위한 문제의 제기" 한국한문교육학회 24 (24): 71-92, 2005

      12 김연수, "한시 교수-학습의 원리와 모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1-56, 2005

      13 선주원, "한문소설 교수-학습 방법의 원리와 모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57-90, 2005

      14 김경수, "한문과의 문학영역에 대한 반성과 전망"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5-10, 2005

      15 白光鎬, "한문과에 적용 가능한 웹기반 수업과 문제 중심 학습" 韓國漢文敎育學會 15 : 2000

      16 백광호, "한문과 교육과정의 ‘읽기’영역에 관한 고등학교 교실 수업 분석"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9-76, 2007

      17 김국회,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분류법 탐색"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59-186, 2005

      18 심재경, "한문 산문영역 교수-학습 방법의 원리와 모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91-122, 2005

      19 이미애, "포부수준 신장을 위한 한문과 교수학습방법 및 적용효과"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71-208, 2007

      20 김종운, "창의적 프로그램을 활용한 한자 지도 방안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77-104, 2005

      21 허철, "중국의 한자교육(2)" 한국한문교육학회 26 (26): 387-416, 2006

      22 오석환,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문교과서 산문 지도의 문제점 -吐와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245-275, 2008

      23 허천행, "제6차 高等學校 漢文科 敎育課程의 개정과 敎授-學習의 방향" 韓國漢文敎育學會 8 : 1994

      24 송영일, "자원 한자 교수-학습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31-352, 2006

      25 홍성욱, "인터넷을 활용한 漢文科 敎授?學習 方案 硏究" 한국한문교육학회 21 : 2003

      26 남은경, "인터넷을 통한 漢文科 문학과 문자 교육인터넷을 통한 漢文科 문학과 문자 교육" 한국한문교육학회 20 : 125-148, 2003

      27 이정연, "유아 한자 교육의 실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49-204, 2005

      28 이복규, "옛날 이야기와 수수께끼를 통한 漢字․漢文 學習"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5 : 1999

      29 成澤泳,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효과적인 漢字 學習指導 硏究"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1 : 2000

      30 김동규, "매체를 활용한 한문과 교수-학습법 -UCC & FLASH를 중심으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11-139, 2008

      31 김재영, "독자 반응 중심 한시 교수-학습 모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209-231, 2007

      32 김연옥, "놀이學習資料를 活用한 初等學校 漢字敎育의 多樣한 方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77-416, 2006

      33 강덕희, "기초 조어표 활용을 통한 조어표의 효과적인 지도 방법" 韓國漢文敎育學會 5 : 1991

      34 조규남, "그림을 活用한 漢字指導法 硏究" 韓國漢文敎育學會 5 : 1995

      35 한연석, "구형학 이론을 적용한 한자학습 신장 방안"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3-76, 2005

      36 전용한, "광수생각으로 漢字․漢文 익히기" 韓國漢文敎育學會 15 : 2000

      37 노인숙, "高等學校 漢文科 漢文小說 敎授-學習 模型 硏究-許生傳과 兩班傳을 中心으로"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10 : 2003

      38 金翊壽, "高校漢詩 指導方法에 관한 試論" 韓國漢文敎育學會 4 : 1990

      39 李鍾虎, "高校漢詩 指導方法에 관한 試論" 韓國漢文敎育學會 2 : 1988

      40 남궁원, "開化期 敎科書의 漢字漢字語 敎授-學習 方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7-74, 2007

      41 이태희, "近體詩의 4단 구성과 그림으로 하는 漢詩 수업" 11 : 1997

      42 金相洪, "近體詩 平仄法 敎授-學習 方法"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2 : 1996

      43 허철, "誤謬 事例를 통해 본 漢字 語彙 敎育의 方向"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07-149, 2012

      44 김연수, "認知的 徒弟 방식의 漢詩 敎授-學習 模型의 실제 적용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한문교육학회 27 (27): 167-201, 2006

      45 한은수, "言語 學習 理論을 통한 漢字 敎育 試考"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33-470, 2007

      46 余美玉, "視聽覺을 이용한 漢字敎育"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3 : 1997

      47 柳修賢, "視聽覺 資料의 活用을 통한 ‘漢文’ 讀解指導 效率化 方案"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3 : 1997

      48 張銅禧, "虛字指導를 통한 漢文 讀解力 伸張에 관한 硏究"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3 : 1998

      49 한연석, "聲符를 활용한 한자의 교수학습법 연구" 한국한문교육학회 (33) : 311-338, 2009

      50 김병철, "第7次 高等學校 漢文敎育에서의 媒體 活用 敎育 實態"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41-179, 2008

      51 이승현, "第7次 中學校 漢文 敎育에서의 媒體 活用 敎育 實態"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77-110, 2008

      52 변경애, "現場 敎育에서의 漢字 倂用 學習 適用 方法" 한국한문교육학회 19 : 251-282, 2002

      53 이종복, "漢詩의 指導方法에 관한 硏究"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2 : 1996

      54 박혜미, "漢詩敎育의 必要性 및 指導方案"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9 : 2002

      55 김갑기, "漢詩指導와 用事의 問題- 7次檢認定 高校漢文敎材 收錄 漢詩를 中心으로 -" 한국한문교육학회 20 : 361-386, 2003

      56 金相洪, "漢詩 鑑賞指導의 一斑"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1 : 1994

      57 박유리, "漢文의 월형식 연구-독해를 위한 시도-" 韓國漢文敎育學會 9 : 1995

      58 張基聖, "漢文의 讀解力 伸張을 위한 虛辭와 文型 學習指導에 관한 硏究" 韓國漢文敎育學會 2 : 1988

      59 김왕규, "漢文科 統合 授業을 위한 敎授․學習 활동"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261-289, 2011

      60 김경익, "漢文科 敎授?學習 方法의 摸索" 한국한문교육학회 22 (22): 71-92, 2004

      61 송병렬, "漢文科 敎授·學習 方法 硏究의 成果와 方向" 한국한문교육학회 (37) : 55-84, 2011

      62 김재영, "漢文科 敎授-學習 方法의 體系化 方案" 한국한문교육학회 29 (29): 129-157, 2007

      63 裵源龍, "漢文科 敎授-學習 指導方法-視聽覺 資料活用을 中心으로"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3 : 1996

      64 백광호, "漢文科 授業에서의 교육용 콘텐츠 활용 방안" 한국한문교육학회 (32) : 131-156, 2009

      65 백광호, "漢文科 授業에 드러난 學習 樣相에 관한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89-121, 2009

      66 金慶洙, "漢文科 授業設計에 관하여" 韓國漢文敎育學會 3 : 1989

      67 백광호, "漢文科 授業 硏究의 성과와 앞으로의 方向" 한국한문교육학회 (37) : 241-266, 2011

      68 白源鐵, "漢文科 學習의 傳統的 朗讀法에 대하여-漢文科 學習의 效果的 一方案의 摸索-" 韓國漢文敎育學會 11 : 1997

      69 宋永日, "漢文敎育의 效率的 授業模型 硏究"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3 : 1997

      70 이태희, "漢文敎育에 있어서 하이퍼미디어의 활용" 韓國漢文敎育學會 15 : 2000

      71 金慶洙, "漢文敎科와 그 指導案" 韓國漢文敎育學會 1 : 1986

      72 宋秉烈, "漢文敎科敎育에서 「漢字의 짜임」指導 方法의 一考察-象形字․指事字를 중심으로-" 韓國漢文敎育學會 16 : 2001

      73 이승현, "漢文敎師의 漢字 字源 活用 授業"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55-87, 2009

      74 任明浩, "漢文 끊어 읽기 敎育에 관한 硏究-虛詞를 중심으로-"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11 : 2003

      75 卞英安, "漢文 讀解力 伸張을 위한 段階的 文型 指導方案"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1 : 1994

      76 김경수, "漢文 解釋을 위한 語順의 構造 分析漢文 解釋을 위한 語順의 構造 分析" 한국한문교육학회 20 : 387-412, 2003

      77 이돈석, "漢文 敎科 經書 敎育에 對한 一考 -2007 中學校 敎育課程 1學年 敎科書 四書 所載 經文을 中心으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43-472, 2013

      78 양희용, "漢字의 학습효과 증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한문교육학회 26 (26): 303-327, 2006

      79 余美玉, "漢字語를 活用한 統合授業의 實際와 學習效果"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8 : 2002

      80 元容錫, "漢字語 敎授-學習 方法에 對한 硏究-中學校 6次 敎育課程을中心으로-"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2 : 1996

      81 김창호, "漢字敎育 環境의 變化와 ‘읽기 위주’의 漢字敎育"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07-330, 2007

      82 이영수, "漢字學習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部首 및 聲符 活用 硏究"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12 : 2004

      83 宋永日, "漢字 병용시대 高等學校 漢字敎育의 方向-단계별 漢字敎育方法을 중심으로-"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7 : 2001

      84 송병렬, "漢字 語彙 敎育의 方法 摸索과 實行 方案"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7-31, 2013

      85 송병렬, "漢字 語彙 學習의 有用性"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285-307, 2010

      86 김영옥, "漢字 敎育에서의 構形學 응용에 대한 연구漢字 敎育에서의 構形學 응용에 대한 연구" 한국한문교육학회 20 : 413-442, 2003

      87 최승호, "構造類型의 探索活動을 통한 漢字․漢字語․漢文에로의 단계별 指導方案" 韓國漢文敎育學會 4 : 1990

      88 張政遠, "日本漢字學習的傳統與方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23-339, 2011

      89 김재영, "新聞放送을 活用한 漢字漢字語 敎授-學習 方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75-104, 2007

      90 김은경, "文化遺産을 活用한 漢字漢字語 敎授-學習 方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05-158, 2007

      91 裵源龍, "效果的인 漢字․漢文敎育의 方案"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4 : 1998

      92 김미경, "意味學習을 통한 漢字指導 方案」, 漢字漢文敎育"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7 : 2001

      93 이미애, "情意的 領域을 부과한 漢文科 授業이 학업성취도 및 情意的 領域에 미치는 효과"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277-309, 2008

      94 백광호, "思考口述을 통한 漢文科 讀解 樣相 硏究"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91-432, 2007

      95 오예승, "幼兒 漢字 敎育의 現況"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71-522, 2007

      96 이정연, "幼兒 漢字 敎授 學習 方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91-250, 2007

      97 한연석, "字源을 활용한 한자교수학습방법 연구-고등학교한문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21-172, 2006

      98 한은수, "字源을 活用한 漢字 敎授學習 方法 硏究"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73-216, 2006

      99 宋永實, "地名을 活用한 漢文 授業案 硏究-釜山 地域을 中心으로"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12 : 2004

      100 김경환, "初等學校 漢字語의 位相과 效率的인 指導方案"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12 : 2004

      101 방순영, "初等學校 漢字語 指導方案 - 4학년 2학기 『읽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21-54, 2009

      102 윤재민, "初等學校 漢字 敎育의 體系와 內容"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47-186, 2009

      103 진철용, "初等學校 漢字 指導 段階와 方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59-190, 2007

      104 金國會, "傳統文化의 理解를 위한 效果的인 敎授-學習 方法의 탐구-제7차 高等學校漢文敎科書를 중심으로"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10 : 2003

      105 박광민, "傳統 蒙學敎材를 활용한 效率的인 漢字學習 方法 考察"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5-46, 2007

      106 이병혁, "傳統 漢文敎育-漢文 懸吐를 中心으로-"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3 : 2000

      107 심재경, "中學校 漢文科에서의 읽기 敎育"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97-125, 2008

      108 윤채근, "中學校 漢文 敎科書 學習 模型에 대한 硏究" 한국한문교육학회 26 (26): 279-302, 2006

      109 김영옥, "中國에서의 漢字敎育 현황- 교과서에 나타난 한자 교수?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 한국한문교육학회 21 : 2003

      110 양원석, "中國에서의 字源을 활용한 漢字 교육 방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53-93, 2006

      111 김상홍, "中國 中學校의 漢詩敎育 硏究" 한국한문교육학회 26 (26): 247-277, 2006

      112 백광호, "中․高校 敎科와 連繫한 漢字 語彙 敎育 方法 摸索"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51-186, 2012

      113 黃炳鎬, "VTR과 mind map을 活用한 部首 指導 硏究"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11 : 2003

      114 이경우, "U.C.C를 기반으로 하는 한시학습 방법 연구 -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한시를 중심으로" 한국한문교육학회 (32) : 87-129, 2009

      115 최윤용, "ARCS모델을 적용한 한문과 교수-학습방법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03-330,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8-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 The Korea Association For Han-character and classical writte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 0.53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