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裵源龍, "효과적인 漢文敎育의 方案-學習資料 개발을 중심으로-" 韓國漢文敎育學會 2 : 1988
2 남수극, "활동중심 초등학교 한자 지도방안"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05-128, 2005
3 남수극, "현행 초등학교 한자교육에서의 媒體 活用 敎育 實態"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9-75, 2008
4 宋秉烈, "현토교육의 유용성과 토의 문법적 성격" 韓國漢文敎育學會 13 : 1999
5 김경수, "한자의 읽기 교육에 대하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7-14, 2007
6 김동규, "한자어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실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29-158, 2005
7 조은정, "한자교육에서의 同源字 활용 - 鬼와 畏를 중심으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589-606, 2011
8 한예원, "한자.한자어의 필수 학습요소 개발" 한국한문교육학회 24 (24): 47-69, 2005
9 이권홍, "한자 교수방법의 실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87-416, 2010
10 권혁진, "한시를 통한 생태교육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53-378, 2006
11 유영봉, "한시 학습 단계 설정을 위한 문제의 제기" 한국한문교육학회 24 (24): 71-92, 2005
12 김연수, "한시 교수-학습의 원리와 모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1-56, 2005
13 선주원, "한문소설 교수-학습 방법의 원리와 모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57-90, 2005
14 김경수, "한문과의 문학영역에 대한 반성과 전망"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5-10, 2005
15 白光鎬, "한문과에 적용 가능한 웹기반 수업과 문제 중심 학습" 韓國漢文敎育學會 15 : 2000
16 백광호, "한문과 교육과정의 ‘읽기’영역에 관한 고등학교 교실 수업 분석"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9-76, 2007
17 김국회,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분류법 탐색"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59-186, 2005
18 심재경, "한문 산문영역 교수-학습 방법의 원리와 모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91-122, 2005
19 이미애, "포부수준 신장을 위한 한문과 교수학습방법 및 적용효과"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71-208, 2007
20 김종운, "창의적 프로그램을 활용한 한자 지도 방안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77-104, 2005
21 허철, "중국의 한자교육(2)" 한국한문교육학회 26 (26): 387-416, 2006
22 오석환,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문교과서 산문 지도의 문제점 -吐와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245-275, 2008
23 허천행, "제6차 高等學校 漢文科 敎育課程의 개정과 敎授-學習의 방향" 韓國漢文敎育學會 8 : 1994
24 송영일, "자원 한자 교수-학습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31-352, 2006
25 홍성욱, "인터넷을 활용한 漢文科 敎授?學習 方案 硏究" 한국한문교육학회 21 : 2003
26 남은경, "인터넷을 통한 漢文科 문학과 문자 교육인터넷을 통한 漢文科 문학과 문자 교육" 한국한문교육학회 20 : 125-148, 2003
27 이정연, "유아 한자 교육의 실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49-204, 2005
28 이복규, "옛날 이야기와 수수께끼를 통한 漢字․漢文 學習"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5 : 1999
29 成澤泳,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효과적인 漢字 學習指導 硏究"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1 : 2000
30 김동규, "매체를 활용한 한문과 교수-학습법 -UCC & FLASH를 중심으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11-139, 2008
31 김재영, "독자 반응 중심 한시 교수-학습 모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209-231, 2007
32 김연옥, "놀이學習資料를 活用한 初等學校 漢字敎育의 多樣한 方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77-416, 2006
33 강덕희, "기초 조어표 활용을 통한 조어표의 효과적인 지도 방법" 韓國漢文敎育學會 5 : 1991
34 조규남, "그림을 活用한 漢字指導法 硏究" 韓國漢文敎育學會 5 : 1995
35 한연석, "구형학 이론을 적용한 한자학습 신장 방안"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3-76, 2005
36 전용한, "광수생각으로 漢字․漢文 익히기" 韓國漢文敎育學會 15 : 2000
37 노인숙, "高等學校 漢文科 漢文小說 敎授-學習 模型 硏究-許生傳과 兩班傳을 中心으로"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10 : 2003
38 金翊壽, "高校漢詩 指導方法에 관한 試論" 韓國漢文敎育學會 4 : 1990
39 李鍾虎, "高校漢詩 指導方法에 관한 試論" 韓國漢文敎育學會 2 : 1988
40 남궁원, "開化期 敎科書의 漢字漢字語 敎授-學習 方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7-74, 2007
41 이태희, "近體詩의 4단 구성과 그림으로 하는 漢詩 수업" 11 : 1997
42 金相洪, "近體詩 平仄法 敎授-學習 方法"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2 : 1996
43 허철, "誤謬 事例를 통해 본 漢字 語彙 敎育의 方向"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07-149, 2012
44 김연수, "認知的 徒弟 방식의 漢詩 敎授-學習 模型의 실제 적용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한문교육학회 27 (27): 167-201, 2006
45 한은수, "言語 學習 理論을 통한 漢字 敎育 試考"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33-470, 2007
46 余美玉, "視聽覺을 이용한 漢字敎育"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3 : 1997
47 柳修賢, "視聽覺 資料의 活用을 통한 ‘漢文’ 讀解指導 效率化 方案"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3 : 1997
48 張銅禧, "虛字指導를 통한 漢文 讀解力 伸張에 관한 硏究"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3 : 1998
49 한연석, "聲符를 활용한 한자의 교수학습법 연구" 한국한문교육학회 (33) : 311-338, 2009
50 김병철, "第7次 高等學校 漢文敎育에서의 媒體 活用 敎育 實態"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41-179, 2008
51 이승현, "第7次 中學校 漢文 敎育에서의 媒體 活用 敎育 實態"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77-110, 2008
52 변경애, "現場 敎育에서의 漢字 倂用 學習 適用 方法" 한국한문교육학회 19 : 251-282, 2002
53 이종복, "漢詩의 指導方法에 관한 硏究"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2 : 1996
54 박혜미, "漢詩敎育의 必要性 및 指導方案"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9 : 2002
55 김갑기, "漢詩指導와 用事의 問題- 7次檢認定 高校漢文敎材 收錄 漢詩를 中心으로 -" 한국한문교육학회 20 : 361-386, 2003
56 金相洪, "漢詩 鑑賞指導의 一斑"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1 : 1994
57 박유리, "漢文의 월형식 연구-독해를 위한 시도-" 韓國漢文敎育學會 9 : 1995
58 張基聖, "漢文의 讀解力 伸張을 위한 虛辭와 文型 學習指導에 관한 硏究" 韓國漢文敎育學會 2 : 1988
59 김왕규, "漢文科 統合 授業을 위한 敎授․學習 활동"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261-289, 2011
60 김경익, "漢文科 敎授?學習 方法의 摸索" 한국한문교육학회 22 (22): 71-92, 2004
61 송병렬, "漢文科 敎授·學習 方法 硏究의 成果와 方向" 한국한문교육학회 (37) : 55-84, 2011
62 김재영, "漢文科 敎授-學習 方法의 體系化 方案" 한국한문교육학회 29 (29): 129-157, 2007
63 裵源龍, "漢文科 敎授-學習 指導方法-視聽覺 資料活用을 中心으로"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3 : 1996
64 백광호, "漢文科 授業에서의 교육용 콘텐츠 활용 방안" 한국한문교육학회 (32) : 131-156, 2009
65 백광호, "漢文科 授業에 드러난 學習 樣相에 관한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89-121, 2009
66 金慶洙, "漢文科 授業設計에 관하여" 韓國漢文敎育學會 3 : 1989
67 백광호, "漢文科 授業 硏究의 성과와 앞으로의 方向" 한국한문교육학회 (37) : 241-266, 2011
68 白源鐵, "漢文科 學習의 傳統的 朗讀法에 대하여-漢文科 學習의 效果的 一方案의 摸索-" 韓國漢文敎育學會 11 : 1997
69 宋永日, "漢文敎育의 效率的 授業模型 硏究"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3 : 1997
70 이태희, "漢文敎育에 있어서 하이퍼미디어의 활용" 韓國漢文敎育學會 15 : 2000
71 金慶洙, "漢文敎科와 그 指導案" 韓國漢文敎育學會 1 : 1986
72 宋秉烈, "漢文敎科敎育에서 「漢字의 짜임」指導 方法의 一考察-象形字․指事字를 중심으로-" 韓國漢文敎育學會 16 : 2001
73 이승현, "漢文敎師의 漢字 字源 活用 授業"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55-87, 2009
74 任明浩, "漢文 끊어 읽기 敎育에 관한 硏究-虛詞를 중심으로-"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11 : 2003
75 卞英安, "漢文 讀解力 伸張을 위한 段階的 文型 指導方案"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1 : 1994
76 김경수, "漢文 解釋을 위한 語順의 構造 分析漢文 解釋을 위한 語順의 構造 分析" 한국한문교육학회 20 : 387-412, 2003
77 이돈석, "漢文 敎科 經書 敎育에 對한 一考 -2007 中學校 敎育課程 1學年 敎科書 四書 所載 經文을 中心으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43-472, 2013
78 양희용, "漢字의 학습효과 증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한문교육학회 26 (26): 303-327, 2006
79 余美玉, "漢字語를 活用한 統合授業의 實際와 學習效果"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8 : 2002
80 元容錫, "漢字語 敎授-學習 方法에 對한 硏究-中學校 6次 敎育課程을中心으로-"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2 : 1996
81 김창호, "漢字敎育 環境의 變化와 ‘읽기 위주’의 漢字敎育"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07-330, 2007
82 이영수, "漢字學習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部首 및 聲符 活用 硏究"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12 : 2004
83 宋永日, "漢字 병용시대 高等學校 漢字敎育의 方向-단계별 漢字敎育方法을 중심으로-"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7 : 2001
84 송병렬, "漢字 語彙 敎育의 方法 摸索과 實行 方案"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7-31, 2013
85 송병렬, "漢字 語彙 學習의 有用性"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285-307, 2010
86 김영옥, "漢字 敎育에서의 構形學 응용에 대한 연구漢字 敎育에서의 構形學 응용에 대한 연구" 한국한문교육학회 20 : 413-442, 2003
87 최승호, "構造類型의 探索活動을 통한 漢字․漢字語․漢文에로의 단계별 指導方案" 韓國漢文敎育學會 4 : 1990
88 張政遠, "日本漢字學習的傳統與方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23-339, 2011
89 김재영, "新聞放送을 活用한 漢字漢字語 敎授-學習 方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75-104, 2007
90 김은경, "文化遺産을 活用한 漢字漢字語 敎授-學習 方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05-158, 2007
91 裵源龍, "效果的인 漢字․漢文敎育의 方案"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4 : 1998
92 김미경, "意味學習을 통한 漢字指導 方案」, 漢字漢文敎育"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7 : 2001
93 이미애, "情意的 領域을 부과한 漢文科 授業이 학업성취도 및 情意的 領域에 미치는 효과"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277-309, 2008
94 백광호, "思考口述을 통한 漢文科 讀解 樣相 硏究"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91-432, 2007
95 오예승, "幼兒 漢字 敎育의 現況"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71-522, 2007
96 이정연, "幼兒 漢字 敎授 學習 方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91-250, 2007
97 한연석, "字源을 활용한 한자교수학습방법 연구-고등학교한문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21-172, 2006
98 한은수, "字源을 活用한 漢字 敎授學習 方法 硏究"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73-216, 2006
99 宋永實, "地名을 活用한 漢文 授業案 硏究-釜山 地域을 中心으로"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12 : 2004
100 김경환, "初等學校 漢字語의 位相과 效率的인 指導方案"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12 : 2004
101 방순영, "初等學校 漢字語 指導方案 - 4학년 2학기 『읽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21-54, 2009
102 윤재민, "初等學校 漢字 敎育의 體系와 內容"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47-186, 2009
103 진철용, "初等學校 漢字 指導 段階와 方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59-190, 2007
104 金國會, "傳統文化의 理解를 위한 效果的인 敎授-學習 方法의 탐구-제7차 高等學校漢文敎科書를 중심으로"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10 : 2003
105 박광민, "傳統 蒙學敎材를 활용한 效率的인 漢字學習 方法 考察"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5-46, 2007
106 이병혁, "傳統 漢文敎育-漢文 懸吐를 中心으로-"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3 : 2000
107 심재경, "中學校 漢文科에서의 읽기 敎育"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97-125, 2008
108 윤채근, "中學校 漢文 敎科書 學習 模型에 대한 硏究" 한국한문교육학회 26 (26): 279-302, 2006
109 김영옥, "中國에서의 漢字敎育 현황- 교과서에 나타난 한자 교수?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 한국한문교육학회 21 : 2003
110 양원석, "中國에서의 字源을 활용한 漢字 교육 방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53-93, 2006
111 김상홍, "中國 中學校의 漢詩敎育 硏究" 한국한문교육학회 26 (26): 247-277, 2006
112 백광호, "中․高校 敎科와 連繫한 漢字 語彙 敎育 方法 摸索"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51-186, 2012
113 黃炳鎬, "VTR과 mind map을 活用한 部首 指導 硏究"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11 : 2003
114 이경우, "U.C.C를 기반으로 하는 한시학습 방법 연구 -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한시를 중심으로" 한국한문교육학회 (32) : 87-129, 2009
115 최윤용, "ARCS모델을 적용한 한문과 교수-학습방법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03-330,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