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디지털 형태변형 기법을 이용한 비정형 건축형태생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nformal Architectural Form Creation based on the Digital Transformation Method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Digital Transformation Method as a new design method. First,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 and the relation between Transformation Process and Form Creation Language of Peter Eisenman's and Greg Lynn's works. Based on the analysis, despite their different methods, this study demonstrates they both use the Digital Transformation Method as a tool leading to architectural form from their creative idea. Thus, it means the Digital Transformation Method can be a useful method to realize architects' intention as well as their conceptual idea. In addition, it implies the method is a useful tool to create architectural form by unexpected run of computer program. Further, such a form creating process contributes to non-formal architecture reflecting the indeterminate and uncertain phases of the contemporary cul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Digital Transformation Method as a new design method. First,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 and the relation between Transformation Process and Form Creation Language of Peter Eisenman's and Greg Ly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Digital Transformation Method as a new design method. First,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 and the relation between Transformation Process and Form Creation Language of Peter Eisenman's and Greg Lynn's works. Based on the analysis, despite their different methods, this study demonstrates they both use the Digital Transformation Method as a tool leading to architectural form from their creative idea. Thus, it means the Digital Transformation Method can be a useful method to realize architects' intention as well as their conceptual idea. In addition, it implies the method is a useful tool to create architectural form by unexpected run of computer program. Further, such a form creating process contributes to non-formal architecture reflecting the indeterminate and uncertain phases of the contemporary cul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피터아이젠만 건축설계에 활용되는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에 의한 형태생성과 변형에 관한 연구" 2000.12

      2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3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4 "접힘과 펼쳐짐" 2000.

      5 "디지털 건축디자인으로서 ‘주름 ’에 관한 연구" (193) : 2004.11.

      6 "그렉 린의 디지털 형태 생성기법 한계와 극복에 관한 연구" (193) : 2004.11.

      7 "The Fold Leibniz and the Baroque" Minnesota Press 1993

      8 "Mille Plateaux" 1980

      9 "Diagram Diaries" universe 1999.

      10 "Blurred Zone (Eisenman architects 1988 ~ 1998)" The Monacelli Press 1998

      1 "피터아이젠만 건축설계에 활용되는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에 의한 형태생성과 변형에 관한 연구" 2000.12

      2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3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4 "접힘과 펼쳐짐" 2000.

      5 "디지털 건축디자인으로서 ‘주름 ’에 관한 연구" (193) : 2004.11.

      6 "그렉 린의 디지털 형태 생성기법 한계와 극복에 관한 연구" (193) : 2004.11.

      7 "The Fold Leibniz and the Baroque" Minnesota Press 1993

      8 "Mille Plateaux" 1980

      9 "Diagram Diaries" universe 1999.

      10 "Blurred Zone (Eisenman architects 1988 ~ 1998)" The Monacelli Press 1998

      11 "Architectural Design no.102" 1993

      12 "Animate Form"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Constructi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4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