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 Development, 이하 OECD)가 주관하는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이하 PISA)는 참여국의 만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미래 시민으로서의 역량을 점검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E1637229
2019년
Korean
300
국가정책연구포털(NKIS)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 Development, 이하 OECD)가 주관하는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이하 PISA)는 참여국의 만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미래 시민으로서의 역량을 점검하...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 Development, 이하 OECD)가 주관하는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이하 PISA)는 참여국의 만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미래 시민으로서의 역량을 점검하는 대규모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이다. PISA 2000을 시작으로 3년마다 시행되어, 현재는 여덟 번째 주기인 PISA 2021의 시행을 앞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OECD PISA 국제본부와 긴밀하게 협력하여 PISA 2021의 안정적인 시행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Ⅰ장에서는 PISA 2021의 특징과 PISA 2021의 혁신적 영역인 창의적 사고력 도입의 배경을 개괄적으로 제시하였다. PISA 2021의 인지적 영역은 핵심 영역인 수학(주영역)·읽기·과학과 혁신적 영역인 창의적 사고력이다. OECD PISA 국제본부는 변화하는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이 함양해야 할 역량을 혁신적 영역으로 선정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PISA 2012부터 도입하였는데, PISA 2021 혁신적 영역을 창의적 사고력(creative thinking)으로 최종 결정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였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과 지식 창출의 근간이 된다는 점에서 향후 지능정보화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역할이라 할 수 있다.
Ⅱ장에서는 PISA 2021의 평가틀을 영역별로 제시하였다. PISA 2021은 PISA 2012 이후 9년 만에 다시 수학이 주영역이 되는 주기로, 수학 영역의 평가틀이 수정되고 새 문항이 개발되며, 수학 소양을 좀 더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설문 문항이 추가되었다. OECD PISA 국제본부는 PISA 2021을 준비하면서 시대적 변화의 흐름에 따라 기존의 수학 소양 정의에 ‘수학적 추론’을 추가하였다. 보조 영역인 읽기와 과학에서는 PISA 2018의 평가틀을 바탕으로 추이를 점검하게 된다. 창의적 사고력은 ‘창의적 사고력의 범주(domains of creative thinking)’와 ‘창의적 사고력의 역량 모델(competency model of creative thinking)’을 축으로 하며, 두 축이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문항이 구성되었다. 교육맥락변인을 위한 설문은 내용 영역에 의한 분류에 따라 수학과 관련성이 있는 구인을 의미하는 ‘영역 한정 구인’과 다양한 영역의 학업성취와 관련이 있는 ‘일반 구인’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교육정책에 따라 분류하면 ‘학생 배경, 학생 신념, 태도, 감정 및 행동, 교수 실행 및 학습 기회, 학교 관행, 정책 및 인프라, 거버넌스, 시스템 수준 정책 및 실행’으로 구분되었다. 한편, PISA 2021에서 새롭게 개발된 수학 영역과 창의적 영역의 예시 문항을 제시하였다.
<이하 원문 확인>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