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이탈리아 건축문화재 보존정책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건축문화재 보존정책’과 ‘건축문화재의 보존과 복원 방법론적 특성’등 크게 두가지 관점에서 이탈리아 건축문화재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708021
2008
Korean
학술저널
43-55(13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이탈리아 건축문화재 보존정책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건축문화재 보존정책’과 ‘건축문화재의 보존과 복원 방법론적 특성’등 크게 두가지 관점에서 이탈리아 건축문화재의 ...
본 연구는 이탈리아 건축문화재 보존정책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건축문화재 보존정책’과 ‘건축문화재의 보존과 복원 방법론적 특성’등 크게 두가지 관점에서 이탈리아 건축문화재의 보존과 복원에 관련된 전반적이고 개략적인 특성을 고찰하였다. ‘건축문화재 보존정책’에 있어서는 MIBAC(Ministero per i Beni e le Attività Culturali’)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각 조직별 특성과 업무내용을 살쳐봄으로써, 문화재에 관련된 보존, 복원정책에 관련된 의사결정과정과 집행과정상의 특성을 살펴볼수 있었으며, ‘건축문화재 보존과 복원방법론적 특성’에 있어서는 <조사, 분석>,<계획, 설계>, <시공>에 이르는 건축문화재 보존과정의 전반적인 과정을 고찰하였다. 또한, 이러한 건축문화재의 보조 및 복원방법론의 실제 사례로서 ‘재난’을 극복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이탈리아 건축문화재 보존 및 복원방법의 우수성을 간접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재난에 관련된 건축문화재 관리체계에 있어서는 이탈리아 정부에서 건축문화재 위기 및 재난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Carta del Rischio del Patrimonio Culturale> 운영체계 및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봄으로써 국내로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진성, "진단학을 적용한 수표교의 훼손상태조사" 2007
2 Maria Piera Sette, "il restauro in architettura"
3 Maria Adriana Giusti, "Temi di Restauro"
4 Mauro Matteini, "Scienza e Restauro"
5 Stefano F. Musso, "Recupero e Restauro degli edifici storici"
6 M. Serio, "Progetto di Restauro : La Basilica di San Francesco in Assisii e Primi Avanzamenti"
7 Aldo Rossi, "Progetto del Restauro : Recostruzione di Teatro Felice"
8 Cordaro M., "Per una carta del rischio del patrimonio culturale in Memorabilia: il futuro della memoria, Ministero per i beni culturali e ambientali"
9 F. M. Mazzolani, "Nuove Strategie di Conservazione per Edifici Monumentali"
10 Coppi R., "Metodologia per la costruzione di modelli di rischio del patrimonio culturale, in La Carta del Rischio del Patrimonio Culturale (a cura di G. Castelli)"
1 안진성, "진단학을 적용한 수표교의 훼손상태조사" 2007
2 Maria Piera Sette, "il restauro in architettura"
3 Maria Adriana Giusti, "Temi di Restauro"
4 Mauro Matteini, "Scienza e Restauro"
5 Stefano F. Musso, "Recupero e Restauro degli edifici storici"
6 M. Serio, "Progetto di Restauro : La Basilica di San Francesco in Assisii e Primi Avanzamenti"
7 Aldo Rossi, "Progetto del Restauro : Recostruzione di Teatro Felice"
8 Cordaro M., "Per una carta del rischio del patrimonio culturale in Memorabilia: il futuro della memoria, Ministero per i beni culturali e ambientali"
9 F. M. Mazzolani, "Nuove Strategie di Conservazione per Edifici Monumentali"
10 Coppi R., "Metodologia per la costruzione di modelli di rischio del patrimonio culturale, in La Carta del Rischio del Patrimonio Culturale (a cura di G. Castelli)"
11 Campora Siome, "La Storia di Basilica di S. FRANCESCO"
12 Accardo G., "La Carta del Rischio e il sisma: per un piano di prevenzione nazionale"
13 Elisabetta Fabbri, "Il Teatro della Fenice : Mostra sulla Ricostruzione Artistica"
14 Accardo G., "Dati geostatici e patrimonio storico artistico"
15 Paolo Torsello, "Che cosa e' restauro"
16 Jukka Jokilehto, "A History of Architectural Conservation" University of York 1986
Collaborative Information Technology(CIT) Applications in Post-Disaster Public-Private Partnerships
Coombs의 관점으로 본 성희롱(sexual harassment) 사건에 대한 정치인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9-2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2-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외국어명 :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 Crisisonomy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5 | 0.86 | 1.09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