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종삼 시에 나타난 존재인식의 시적 효과 연구 = A Study on a Poetic Effect of Existence Cognition Shown in Kim Jong-sam's Poe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174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김종삼은 1950년대의 전통주의와 모더니즘, 1960년대의 순수시와 참여시로 양분된 시단의 경향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지키며 김종삼만의 독특한 시세계를 구축하였다. 30여 년의 시력에도 불...

      김종삼은 1950년대의 전통주의와 모더니즘, 1960년대의 순수시와 참여시로 양분된 시단의 경향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지키며 김종삼만의 독특한 시세계를 구축하였다. 30여 년의 시력에도 불구하고 김종삼의 내면 인식과 그 시세계는 큰 변화를 찾기 어렵다. 따라서 김종삼 시 전반에 나타난 시인의 존재인식을 파악하는 일은 김종삼 시세계를 밝히는 일이 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김종삼 시에 나타난 존재인식의 시적 효과를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시적 표현 방식의 양상을 기존의 은유와는 달리 의미 변용된 표현으로서의 묘사적 효과를 분석한 뒤, 반복적 구조 변주와 환언을 통한 서술적 효과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시적 효과를 파악하였다. 김종삼에게 있어 존재론적 은유의 사용은 창작에 구체성을 부여하여 관념적인 내면의 대상을 삶 속으로 끌어들여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창조적 글쓰기로 실현되었다. 자신의 개인적 경험인 과거 회상을 이야기로 풀어내는 김종삼 시의 서술적 성향은 하나의 구조로 반복되거나 환언되고 있다. 이는 문장의 리듬감을 살려 음악성을 강화하고 시의 표층적 도상성을 부여하여 회화성을 드러내며, 의도적으로 반복되는 어휘는 정보성을 높여 시인의 내면을 객관적으로 표면화하여 시적 메시지를 강조하는 동시에 시인의 존재인식을 확고하게 드높이는 효과를 자아낸다.
      김종삼 시에 나타난 존재론적 은유를 살피는 일은 시적 비유의 기능과 문학적 역할을 파악하고 텍스트 전체의 유기성을 살피는 일이 되었다. 나아가 내적 의미를 독자적 표현을 통해 표면화 해낸 기법상의 특성 분석을 통해 김종삼만의 실험적 시세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 Jong-sam implemented the poetic world peculiar to Kim Jong-sam while keep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tendency of poetical circles with a division into two of traditionalism and modernism in the 1950s and of pure poetry and participation poetry...

      Kim Jong-sam implemented the poetic world peculiar to Kim Jong-sam while keep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tendency of poetical circles with a division into two of traditionalism and modernism in the 1950s and of pure poetry and participation poetry in the 1960s. Despite the poetic history for about 30 years, a big change is difficult to be found in Ki m Jong-sam's internal awareness and poetic world. Accordingly, graspin g the poet's existence cognition, which appeared in Kim Jong-sam'swh ole poetry, comes to be what clarifies Kim Jong-sam's poetic world.
      Hence, this study examined a poetic effect of existence cognition, which was indicated in Kim Jong-sam's poetry, in two aspects. First of all, the aspect of a poetic expression method was understood a poetic effect according to it after analyzing a depictive effect as the expression with the meaning alteration unlike the existing metaphor, and then analyzing a descriptive effect through the repetitive structural variation and paraphrase. As for Kim Jong-sam, the use of ontological metaphor was realize d as the creative writing, which makes a new meaning through giving concreteness to creation and then drawing the ideological inner object into life. The descriptive tendency in Kim Jong-sam's poetry, which talks about retrospection as own individual experience, in addition to short poetry, is being recurred or paraphrased as one structure. In terms of this, reviving a rhythmic sense of a sentence leads to strengthening musicality. Assigning outer iconicity leads to revealing pictoriality. The recurred vocabulary increases information, leads to emphasizing a poetic message through objectively externalizing a poet's inner side, and simultaneously evokes an impact of firmly raising the poet's existence cognition.
      Figuring out ontological metaphor, which was shown in Kim Jong-sa m's poetry, came to be what grasps a function and a literary role in po etic simile and what figures out the organic in the whole text. Moreover, Kim Jong-sam's unique experimental poetic world could be confirmed through analyzing a characteristic in light of technique, which externaliz ed the inner meaning through an independent represent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Beaugrande, "텍스트 언어학 입문" 한신문화사 1995

      2 자크뒤부아, "일반수사학" 한길사 1989

      3 김춘수, "의미와 무의미" 문학과지성사 1976

      4 서우석, "시와 리듬" 문학과지성사 2011

      5 김준오, "스와니 강이랑 요단강이랑" 미래사 1991

      6 G. 레이코프, "삶으로서의 은유" 박이정 2006

      7 남진우, "미적 근대성과 순간의 시학" 소명출판 2001

      8 한이각, "김종삼시 연구" 서울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9 박은희, "김종삼, 김춘수 시의 모더니티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6

      10 김주연, "김종삼 전집" 청하출판사 1988

      1 Beaugrande, "텍스트 언어학 입문" 한신문화사 1995

      2 자크뒤부아, "일반수사학" 한길사 1989

      3 김춘수, "의미와 무의미" 문학과지성사 1976

      4 서우석, "시와 리듬" 문학과지성사 2011

      5 김준오, "스와니 강이랑 요단강이랑" 미래사 1991

      6 G. 레이코프, "삶으로서의 은유" 박이정 2006

      7 남진우, "미적 근대성과 순간의 시학" 소명출판 2001

      8 한이각, "김종삼시 연구" 서울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9 박은희, "김종삼, 김춘수 시의 모더니티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6

      10 김주연, "김종삼 전집" 청하출판사 1988

      11 김종삼, "김종삼 전집" 나남출판사 2005

      12 김종삼, "김종삼 전집" 청하출판사 1988

      13 김종삼, "김종삼 전집" 나남출판사 2005

      14 이승훈, "김종삼 전집" 청하출판사 1988

      15 송경호, "김종삼 읽기 : 상실과 환상의 사이에서" 한국학술정보 2010

      16 신현미, "김종삼 시의 현실인식에 대한 인지시학적 연구" 국어문학회 56 (56): 343-362, 2014

      17 오연경, "김종삼 시의 이중성과 순수주의―초기시(1953∼1969)를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40) : 117-147, 2011

      18 신현락, "김종삼 시의 공간구조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2 : 1989

      19 박현수, "김종삼 시와 포스트모더니즘의 수사학" 우리말글학회 31 : 247-272, 2004

      20 라기주, "김종삼 시에 나타난 환상성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6) : 229-259, 2008

      21 박선영, "김종삼 시에 나타난 ‘죽음’의 은유적 미감 연구" 한국문학회 (65) : 339-371, 2013

      22 송경호, "김종삼 시 연구 : 죄의식과 죽음의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7

      23 최민성, "김종삼 시 연구 : 방황의 정서를 중심으로"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6

      24 김화순, "김종삼 시 연구" 도서출판 월인 2011

      25 허금주, "김종삼 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2

      26 이숭원, "근대시의 내면구조" 새문사 1988

      27 하희정, "1960년대 시에 나타난 ‘부재의식’의 형상화 연구: 김춘수와 김종삼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예비평학회 -> 한국문예비평연구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3 0.82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