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잠재계층에 따라 주의집중,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과 같은 정서문제가 학교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개인요인인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학교요인인 또래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247024
조윤영 (계명대학교)
2022
Korean
회귀혼합모형 ; 학교적응 ; 주의집중 ; 공격성 ; 사회적 위축 ; 우울 ; 잠재계층 ; Regression ; Mixture Model ; School Adaptation ; Attention ; Aggression ; Social Withdrawal ; Depression ; Latent Class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11-138(2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잠재계층에 따라 주의집중,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과 같은 정서문제가 학교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개인요인인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학교요인인 또래애...
본 연구는 잠재계층에 따라 주의집중,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과 같은 정서문제가 학교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개인요인인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학교요인인 또래애착, 가족요인인 방임과 학대가 잠재계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정서문제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총 3개의 계층이 도출되었고, 각 잠재계층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계층1의 경우, 주의집중은 유의미하지 않았고,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학교적응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계층2의 경우, 정서문제는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층3의 경우, 정서문제가 낮을수록 학교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영향요인 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계층1 혹은 계층3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고, 방임과 학대가 심할수록 계층2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자아탄려성과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계층3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emotional problems such as attention, aggression, social atrophy, and depression affect school adaptation, depending on the potential class as well as personal factors such as self-esteem, self-resilience, school factors, peer ...
This study examines how emotional problems such as attention, aggression, social atrophy, and depression affect school adaptation, depending on the potential class as well as personal factors such as self-esteem, self-resilience, school factors, peer attachment, and family factors, including neglect.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results, a total of three potential classes were derived from the influence of emotional problems on school adapt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otential clas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latent class 1, attention was not significant to school adaptation, and even although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were elevated, this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In the case of latent class 2, we found that emotional problems such as attention,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aptation. In the case of latent class 3, the less seere the emotional problems such as attention,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the greater the school adapta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influencing factors,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latent class 1 or latent class 3. The more severe neglect and abuse,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latent class 2. The higher the self-reliance and peer attachment,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class 3.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미, "한부모가정 중학생의 사회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4421-4428, 2013
2 이재인 ; 김춘경 ; 한은수,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7 (27): 345-367, 2014
3 신미 ; 전성희 ; 유미숙,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분석" 한국아동학회 33 (33): 81-92, 2012
4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5 김성수,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관계가 우울 / 불안, 위축행동,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교사지지, 친구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1 (21): 343-364, 2013
6 곽수란, "청소년의 학교적응도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26, 2006
7 남영옥,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부모의 양육태도, 자기통제력, 교사지지의 구조관계"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9 (19): 165-186, 2017
8 문은식 ; 김충회,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219-241, 2002
9 문은식,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관련변인의 탐색적 고찰" 23 (23): 153-167, 2002
10 김금순 ; 김은미, "청소년의 정서문제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의존을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38) : 33-57, 2015
1 김현미, "한부모가정 중학생의 사회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4421-4428, 2013
2 이재인 ; 김춘경 ; 한은수,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7 (27): 345-367, 2014
3 신미 ; 전성희 ; 유미숙,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분석" 한국아동학회 33 (33): 81-92, 2012
4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5 김성수,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관계가 우울 / 불안, 위축행동,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교사지지, 친구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1 (21): 343-364, 2013
6 곽수란, "청소년의 학교적응도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26, 2006
7 남영옥,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부모의 양육태도, 자기통제력, 교사지지의 구조관계"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9 (19): 165-186, 2017
8 문은식 ; 김충회,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219-241, 2002
9 문은식,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관련변인의 탐색적 고찰" 23 (23): 153-167, 2002
10 김금순 ; 김은미, "청소년의 정서문제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의존을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38) : 33-57, 2015
11 임수경 ; 이형실,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 부모와의 관계, 친구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9 (19): 169-183, 2007
12 안윤정 ; 현진희, "청소년의 우울 및 가족기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1 : 111-135, 2015
13 이정선 ; 이형실, "청소년의 우울 관련 요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4 (24): 77-89, 2012
14 소선숙 ; 김청송,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적응의 보호요인 및 위험요인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75-400, 2016
15 김현순, "청소년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203-225, 2009
16 홍명숙, "청소년의 또래관계와 교사와의 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4 (4): 183-211, 2017
17 김희진 ; 최장원 ; 이지현 ; Atterraya, Madhu Sudhan,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학교생활적응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아시아.유럽미래학회 9 (9): 273-298, 2012
18 최형임 ; 문영경,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0 (0): 189-209, 2013
19 김민주 ; 하은혜, "청소년의 ADHD 증상이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행기능의 매개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32 (32): 313-330, 2013
20 이봉주 ; 민원홍 ; 김정은, "청소년기 사회적 위축 문제의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발달-맥락주의적 관점을 적용한 탐색적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1 (21): 317-346, 2014
21 이규미, "중학생의 학교적응 구성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383-398, 2005
22 김경식, "중학생의 학교만족도에 대한 자아개념, 부모학습지원, 학 급풍토의 영향 : 학급풍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31 (31): 37-52, 2010
23 김정민 ; 송수지, "중학생의 주의집중 문제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5-27, 2014
24 강승희, "중학생의 부·모애착, 우울, 심리적 안녕감,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8 (58): 1-29, 2010
25 이린아 ; 최종옥, "주의력문제로 내원한 아동 ‧ 청소년의 지능검사 및 정밀주의력검사 프로파일 특성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0 (20): 73-96, 2013
26 이윤화, "조손가족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낙인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137-158, 2010
27 원재순 ; 김진숙,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 간 상관관계 메타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77-205, 2016
28 김경호, "아동학대 및 방임이 정서문제를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중・고등학생 간의 비교" 인문사회 21 13 (13): 1-16, 2022
29 최정미 ; 우희정 ; 이숙,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 관련변인과의 인과모형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7 (17): 29-41, 2006
30 조붕환 ; 임경희, "아동의 정서·행동문제 자기보고형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5 (15): 729-746, 2003
31 김선희, "아동 및 청소년의 행동 문제척도 개발" 16 (16): 155-166, 1998
32 이경아,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교사와의 관계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미치는 영향" 11 (11): 213-226, 1999
33 정규석, "사회적 관계요인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235-252, 2004
34 이윤아 ; 최진아, "부모의 학대, 방임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 53 (53): 331-339, 2015
35 채미경 ; 김현숙,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5 (25): 53-71, 2018
36 안혜진,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이 청소년의 우울과 학교적응 간의 종단연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475-493, 2016
37 김주연 ; 도현심 ; 김민정 ; 신나나,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외로움: 또래관계의 질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33 (33): 111-131, 2012
38 김경수, "부모의 양육태도가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19 (19): 143-170, 2011
39 이승출 ; 이성규 ; 최영진,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피해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65) : 93-127, 2021
40 정일영, "부모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학교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42) : 89-120, 2016
41 박영준 ; 성효정, "보호자로부터의 학대경험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우울과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46) : 85-114, 2014
42 박지선, "발달적 관점에서 본 아동·청소년의 정서조절" 한국건강심리학회 19 (19): 1-21, 2014
43 정경미 ; 신민정 ; 강지현 ; 김은성, "남자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문제의 하위 발달경로 확인: 성장모형을 적용한 2년간의 종단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32 (32): 177-197, 2013
44 이은희, "남녀 청소년들의 우울에 미치는 학교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부모의 내재적 지원의 효과" 12 (12): 69-84, 2000
45 박성연 ; 강지흔, "남.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6 (26): 1-14, 2005
46 박선희,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 스마트폰의존,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매개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3 (23): 131-156, 2021
47 김광일, "간이 정신진단검사 실시 요강" 중앙적성연구소 1984
48 閔炳壽, "學校生活適應과 自我槪念이 學業成績에 미치는 影響"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1991
49 Armsden, G. C.,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16 (16): 427-454, 1987
50 Estévez, E., "The influence of violent behavior and victimization at school on psychological distress : The role of parents and teachers" 32 (32): 143-, 2005
51 Orpinas, P., "The Aggression Scale : A self-report measure of aggressive behavior for young adolescents" 21 (21): 50-67, 2001
52 Verkuyten, M., "School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The role of performance, peer relations, ethnicity and gender" 59 : 203-228, 2002
53 Rosenberg, M., "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61 (61): 61-, 1965
54 Barriga, A. Q., "Relationships between problem behavior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olescents : The unique role of attention problems" 10 (10): 233-240, 2002
55 Parker, J. G., "Peer relations and later personal adjustment : are low-accepted children at risk?" 102 : 357-389, 1987
56 Buhs, E. S., "Peer exclusion and victimization : Processes that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peer group rejection and children's classroom engagement and achievement?" 98 (98): 1-13, 2006
57 Caldwell, T. M., "Patterns of association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young adults" 97 (97): 583-594, 2002
58 Muthén, L. K., "Mplus user’s guide" Muthén & Muthén 2015
59 Achenbach, T. M,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 University of Vermont 1983
60 Block, J., "IQ and ego-resiliency : Conceptual and empirical and separateness" 70 (70): 349-361, 1996
61 Ladd, G. W., "Having friends, keeping friends, making friends, and being liked by peers in the classroom : Predictors of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61 : 1081-1100, 1990
62 O’Neill, A. C., "Exa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ing and psychosomatic problems : self-esteem as a mediator across ages in early adolescence" 24 (24): 137-148, 2019
63 Rubin, K. H., "Emotionality, emotion regulation, and preschoolers' social adaptation" 7 (7): 49-62, 1995
64 Goodwin, R. D., "Early anxious/withdrawn behaviors predict later internalising disorders" 45 (45): 874-883, 2004
65 Nylund, K. L., "Deciding on the number of classes in latent class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14 (14): 535-569, 2007
66 Baker, J. A., "Contribution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to positive school adjustment during elementary school" 44 (44): 211-229, 2006
67 Swogger, M. T., "Childhood physical abuse, aggression, and suicide attempts among criminal offenders" 185 (185): 363-367, 2011
68 Aunola, K., "Adolescents`s achievement strategies, school adjustment, and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29 (29): 289-301, 2000
69 여성가족부, "2021학년도 학업중단 학생 현황조사" 2021
70 Denham, S. A., ""Plays nice with others" : Social–emotional learning and academic success" 21 (21): 652-680, 2010
테크놀로지 기반 개별화 학습에 대한 논의: 개념과 실행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중심으로
해외사례를 통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장애학생 교육지원의 발전 방향 탐색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방한림전> 교육 방안 연구 -<女駙馬>와의 대조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