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論語"
2 이찬, "행복감과 좋은 삶: <맹자>, 「양혜왕」장의 獨樂과 與民同樂의 이해를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115) : 1-29, 2016
3 노상우 ; 권희숙, "타자의 타자성의 교육학적 메시지: E. Levinas의 철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47 (47): 1-25, 2009
4 손영창, "타자성에 대한 해석과 언어의 역할 ― 레비나스와 데리다 비교연구" 대동철학회 (57) : 89-116, 2011
5 강영안, "타인의 얼굴 레비나스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2005
6 강신주, "장자철학에서의 소통의 논리 : 『장자』〈내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7 강남순, "용서에 대하여" 도서출판 동녘 2017
8 엠마누엘 레비나스,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1996
9 강남순, "배움에 관하여" 도서출판 동녘 2019
10 임부연, "미래학교를 위한 놀이와 교육 1" 교육과학사 2020
1 "論語"
2 이찬, "행복감과 좋은 삶: <맹자>, 「양혜왕」장의 獨樂과 與民同樂의 이해를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115) : 1-29, 2016
3 노상우 ; 권희숙, "타자의 타자성의 교육학적 메시지: E. Levinas의 철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47 (47): 1-25, 2009
4 손영창, "타자성에 대한 해석과 언어의 역할 ― 레비나스와 데리다 비교연구" 대동철학회 (57) : 89-116, 2011
5 강영안, "타인의 얼굴 레비나스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2005
6 강신주, "장자철학에서의 소통의 논리 : 『장자』〈내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7 강남순, "용서에 대하여" 도서출판 동녘 2017
8 엠마누엘 레비나스,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1996
9 강남순, "배움에 관하여" 도서출판 동녘 2019
10 임부연, "미래학교를 위한 놀이와 교육 1" 교육과학사 2020
11 이상은, "미래지향적 교육과정 담론에 나타난 학생 주체성의 재개념화: 레비나스의 타자철학을 바탕으로" 한국교육철학회 (68) : 119-145, 2018
12 김환희, "미래·공생교육" 도서출판 살림터 2020
13 진태원, "문명이 낳은 철학, 철학이 바꾼 역사" 도서출판 길 2018
14 李順美, "맹자인성론의 도덕주체로서의 인간 연구" 成均館大學校 2020
15 이권영, "맹자의 소통원리와 방법론" 한국공자학회 (18) : 7-49, 2010
16 이진영, "맹자 수양론의 교육학적 연구 –부동심(不動心)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9
17 장사형, "레비나스(E. Levinas)의 타자윤리학에 기초한 인성교육의 방향과 실천 과제 탐색" 한국교육철학회 (72) : 97-124, 2019
18 이화도, "데리다 해체철학의 유아 교육적 함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53-72, 2012
19 이재박, "괴물신입 인공지능" ㈜엠아이디미디어 2020
20 유현준, "공간이 만든 공간 - 새로운 생각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을유문화사 2020
21 "韩非子"
22 "说文解字"
23 许慎, "画说汉字 1000个汉字的故事" 陕西师范大学出版社 2013
24 "淮南子"
25 "春秋穀梁傳"
26 "廣雅"
27 白川靜, "常用字解" 九州出版社 2010
28 "孟子"
29 Levinas, E, "Totality and infinity" Kluwer Academic Publishiers 1991
30 Levinas, E, "Time and the other" Duquesne University Press 1987
31 안오순, "Derrida의 해체담론에서 본 타자성의 교육관"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