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민들레의 부위별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536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민들레 꽃, 잎, 뿌리, 전초의 부위별 항산화성과 생리활성을 탐색하기 위해 열수 추출물에서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활성 그리고 tyrosinase 억제활성을 분석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및 폴리페놀 함량은 다른 부위보다 꽃 추출물에서 32.91 ㎎/g, 49.31㎎/g으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1 ㎎/mL의 농도에서 꽃, 잎 그리고 전초 추출물이 각각 87.07%, 87.66%, 81.06%를, 뿌리 추출물은 66.20%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되었다. SOD 유사활성능은 1.0 ㎎/mL의 농도에서 부위별 추출물이 9.07~10.97%를 나타내었다. pH 1.2 조건에서 측정한 아질산염 소거능은 1 ㎎/mL의 농도에서 꽃과 잎 추출물이 각각 36.34%, 38.16%로 전초와 뿌리보다 높았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1 ㎎/mL의 농도에서 잎추출물이 34.19%로 가장 높았으며 전초와 뿌리 추출물에서도 20% 이상의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민들레꽃, 잎, 뿌리 및 전초 열수 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지녀 이를 기능성 건강식품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번역하기

      민들레 꽃, 잎, 뿌리, 전초의 부위별 항산화성과 생리활성을 탐색하기 위해 열수 추출물에서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활성 그리고 tyrosinase 억제활성을 분...

      민들레 꽃, 잎, 뿌리, 전초의 부위별 항산화성과 생리활성을 탐색하기 위해 열수 추출물에서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활성 그리고 tyrosinase 억제활성을 분석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및 폴리페놀 함량은 다른 부위보다 꽃 추출물에서 32.91 ㎎/g, 49.31㎎/g으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1 ㎎/mL의 농도에서 꽃, 잎 그리고 전초 추출물이 각각 87.07%, 87.66%, 81.06%를, 뿌리 추출물은 66.20%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되었다. SOD 유사활성능은 1.0 ㎎/mL의 농도에서 부위별 추출물이 9.07~10.97%를 나타내었다. pH 1.2 조건에서 측정한 아질산염 소거능은 1 ㎎/mL의 농도에서 꽃과 잎 추출물이 각각 36.34%, 38.16%로 전초와 뿌리보다 높았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1 ㎎/mL의 농도에서 잎추출물이 34.19%로 가장 높았으며 전초와 뿌리 추출물에서도 20% 이상의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민들레꽃, 잎, 뿌리 및 전초 열수 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지녀 이를 기능성 건강식품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flower, leaf, root, and the whole plant) of Taraxacum officinale. The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were measured to obtain total flavonoids content, total polyphenol content, electron donating ability, SOD-like activity, nitrite-scavenging abil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effects. Total flavonoid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in flower extract were 32.91 ㎎/g and 49.31 ㎎/g, respectively, which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any other parts.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flower, leaf, the whole plant, and root extracts were 87.07%, 87.66%, 81.06% and 66.20%, respectively at a concentration of 1 ㎎/mL. The activitie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SOD-like activity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showed 9.07~10.97% at a concentration of 1 ㎎/mL. The nitrite-scavenging abilities of flower and leaf extracts measured at pH 1.2 were 36.34% and 38.16%, respectively at a concentration of 1 ㎎/mL.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the leaf extract at a concentration of 1 ㎎/mL was the highest (34.19%) and that of the whole plant and root extracts was shown to be more than 20%. These results suggest that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officinale could be used as an antioxidative functional food source.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flower, leaf, root, and the whole plant) of Taraxacum officinale. The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were measured to obtain t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flower, leaf, root, and the whole plant) of Taraxacum officinale. The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were measured to obtain total flavonoids content, total polyphenol content, electron donating ability, SOD-like activity, nitrite-scavenging abil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effects. Total flavonoid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in flower extract were 32.91 ㎎/g and 49.31 ㎎/g, respectively, which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any other parts.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flower, leaf, the whole plant, and root extracts were 87.07%, 87.66%, 81.06% and 66.20%, respectively at a concentration of 1 ㎎/mL. The activitie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SOD-like activity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showed 9.07~10.97% at a concentration of 1 ㎎/mL. The nitrite-scavenging abilities of flower and leaf extracts measured at pH 1.2 were 36.34% and 38.16%, respectively at a concentration of 1 ㎎/mL.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the leaf extract at a concentration of 1 ㎎/mL was the highest (34.19%) and that of the whole plant and root extracts was shown to be more than 20%. These results suggest that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officinale could be used as an antioxidative functional food sour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감사의 글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현용, "흰민들레 잎조직으로 부터 기관형성을 통한 식물체 재생" 한국약용작물학회 15 (15): 62-66, 2007

      2 김은영,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약용식물 소재 탐색" 한국식품과학회 36 (36): 333-338, 2004

      3 고윤정, "항산화 활성 증진을 위한 민들레 잎의 열수추출 조건의 최적화" 한국식품과학회 40 (40): 283-289, 2008

      4 임정대, "한국산 약용식물로부터의 SOD 활성 및 Phenolic Compounds 함량 비교" 한국약용작물학회 12 (12): 191-202, 2004

      5 임애경, "포공영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적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231-1237, 2008

      6 안봉전, "진달래꽃(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aninow) 추출물의항산화, 항암 효과 및 tyrosinase 저해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8 (48): 280-284, 2005

      7 조영제, "진달래꽃(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Flower)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276-281, 2008

      8 이양숙, "우산나물(Syneilesis palmata)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471-1477, 2009

      9 박찬성, "쑥과 솔잎의 항산화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9 (9): 248-252, 2002

      10 임무현, "솔잎발효추출물의 효소적 저해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 (11): 94-99, 2004

      1 박현용, "흰민들레 잎조직으로 부터 기관형성을 통한 식물체 재생" 한국약용작물학회 15 (15): 62-66, 2007

      2 김은영,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약용식물 소재 탐색" 한국식품과학회 36 (36): 333-338, 2004

      3 고윤정, "항산화 활성 증진을 위한 민들레 잎의 열수추출 조건의 최적화" 한국식품과학회 40 (40): 283-289, 2008

      4 임정대, "한국산 약용식물로부터의 SOD 활성 및 Phenolic Compounds 함량 비교" 한국약용작물학회 12 (12): 191-202, 2004

      5 임애경, "포공영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적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231-1237, 2008

      6 안봉전, "진달래꽃(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aninow) 추출물의항산화, 항암 효과 및 tyrosinase 저해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8 (48): 280-284, 2005

      7 조영제, "진달래꽃(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Flower)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276-281, 2008

      8 이양숙, "우산나물(Syneilesis palmata)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471-1477, 2009

      9 박찬성, "쑥과 솔잎의 항산화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9 (9): 248-252, 2002

      10 임무현, "솔잎발효추출물의 효소적 저해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 (11): 94-99, 2004

      11 김영중, "산딸나무의 부위별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생리활성 비교" 한국자원식물학회 21 (21): 28-35, 2008

      12 임명희, "백련꽃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9 (19): 3-10, 2008

      13 박성진, "발효더덕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983-988, 2009

      14 한소희, "민들레(Taraxacum mongolicum H.) 추출분획물이 위장보호에 미치는 효능" 한국식품과학회 37 (37): 84-89, 2005

      15 허성일, "민들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세포독성 효과" 한국생약학회 39 (39): 255-259, 2008

      16 김광수, "민들레 물추출물의 항산화 및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9 (9): 253-259, 2002

      17 최복동, "국내산과 중국산 자화지정(Viola mandshurica)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101-1108, 2008

      18 이양숙, "구릿대 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생리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4 (14): 78-86, 2007

      19 Kang MJ,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araxacum officinale consumed in Korea" 16 : 182-187, 2000

      20 Katrin S, "Taraxacum-A review on its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profile" 107 : 313-323, 2006

      21 Jung SW,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27 : 891-896, 1995

      22 Miliauskas G, "Screening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ome medicinal and aromatic plants extracts" 85 : 231-237, 2004

      23 Kim KH,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dandelion (Taraxacum platycarum) extract" 24 : 114-118, 1998

      24 Prota G, "Progress in the chemistry of melanins and related metabolites" 8 : 525-556, 1988

      25 Kitani K,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n aging and age- associated disorders: potentials of propargylamines for human use" 959 : 295-307, 2002

      26 Kim TJ, "Our Flower, 100 Species. 9th ed" Hyunamsa 2-5, 1994

      27 Tina H, "Medicinaleherbs" A Dorling Kindersley Book 101-102, 1993

      28 Marklund S,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47 : 468-474, 1975

      29 Yagi A, "Inhibition of mushroom tyrosinase by aloe extract" 53 : 517-519, 1987

      30 Gray JI,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40 : 981-984, 1975

      31 Ferreres F, "Improved loquat (Eribotrya japonica Lindl) cultivars: vari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tive potential" 114 : 1019-1027, 2009

      32 Lawrence RA,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in selenium deficient rat liver" 71 : 952-958, 1976

      33 Valko M,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39 : 44-84, 2007

      34 Williams CA, "Flavonoids, cinnamic acids and coumarins from the different tissues and medicinal preparations of Taraxacum officinale" 42 : 121-127, 1996

      35 Cho SY, "Effect of dandelion leaf extracts on lipids metabolism in rats high cholesterol diet" 29 : 676-682, 2000

      36 Byers T, "Dietary carotenes, vitamin C and vitamin E as protective antioxidants in human cancers" 12 : 135-159, 1992

      37 Zhishen J,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othe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64 : 555-559, 1999

      38 Ho C, "Desacetylmatricarin, an anti-allergic component from Taraxacum platycarpum" 64 : 577-578, 1998

      39 Kang MJ, "Current trends of research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dandelion" 6 : 60-67, 2001

      40 Jo JW, "Compositae 10. In: Encyclopedia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Press 514-, 1999

      41 Kim JK, "Compositae 1. In: Illustrated Natural Drugs Encyclopedia" Namsundang 77-, 1997

      42 Singleton VL, "Ca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16 : 144-158, 1965

      43 Lee KD,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 29 : 432-436, 1997

      44 Namiki MO, "Antioxidants/antimutagens in food" 29 : 273-300, 1990

      45 Hu C, "Antioxidant, prooxidant, and cytotoxic activities of solvent-fractionated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flower extracts in vitro" 51 : 301-310, 2003

      46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181 : 1199-1200, 1958

      47 Kim HK,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27 : 80-85, 1995

      48 Takasaki M, "Anti carcinogenic activity of Taraxacum plant.Ⅱ" 22 : 606-610, 1999

      49 Takasaki M, "Anti carcinogenic activity of Taraxacum plant.Ⅰ" 22 : 602-605,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