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의 자녀 사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lderly’s Experience of Child Berea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61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sence and the meaning of the elderly’s experience of child bereavement and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the patterns of changes in the lives of the elderly who lost their children in their old age.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it has set the research question as follows: “How is the elderly’s experience of child bereavement?”. It has chose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especially Giorgi’s(1985) phenomenological approach method which can be best used in understanding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The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with 6 elderly people who had lost any of their children to death in their old age, from February to September 2018. The analysis identified from the statements of the 6 participants 7 components and 21 subcomponents that constructed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elderly’s experience of child bereavement. The 7 components are <Holding on to memory: the episodes about my child, afraid of being forgotten>, <Experience Hell in this world>, <Living as half-mad>, <Living as a hollow shell>, <A struggle between the two worlds>, <Quotidianization of grief>, and <Embracing life in death>. Based on the discuss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social welfare implications and practical interventions as to the elderly’s experience of child bereavement and mad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sence and the meaning of the elderly’s experience of child bereavement and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the patterns of changes in the lives of the elderly who lost their children in their old ag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sence and the meaning of the elderly’s experience of child bereavement and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the patterns of changes in the lives of the elderly who lost their children in their old age.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it has set the research question as follows: “How is the elderly’s experience of child bereavement?”. It has chose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especially Giorgi’s(1985) phenomenological approach method which can be best used in understanding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The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with 6 elderly people who had lost any of their children to death in their old age, from February to September 2018. The analysis identified from the statements of the 6 participants 7 components and 21 subcomponents that constructed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elderly’s experience of child bereavement. The 7 components are <Holding on to memory: the episodes about my child, afraid of being forgotten>, <Experience Hell in this world>, <Living as half-mad>, <Living as a hollow shell>, <A struggle between the two worlds>, <Quotidianization of grief>, and <Embracing life in death>. Based on the discuss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social welfare implications and practical interventions as to the elderly’s experience of child bereavement and mad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년기에 자녀의 죽음을 겪은 노인들의 사별 경험과 사별 이후 그들의 삶의 변화 양상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참여자로는 노년기에 성인 자녀를 잃은 경험이 있는 노인 6명이 선정되었고, 자료수집은 2018년 2월부터 9월까지 개별 심층인터뷰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Giorgi(1985)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억의 끈 붙잡기: 잊혀질까 두려운 내 자식 이야기>, <이승에서 지옥을 경험하기>, <반 미치광이로 살아가기>, <빈 껍데기로 살아가기>, <두 개의 세상에서 버텨내기>, <슬픔의 일상화 과정>, <죽음 속에서 삶을 부둥켜안기> 등 총 7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자녀 사별 경험에 대한 사회복지적 함의와 사회복지실천 개입방안 등에 논의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노년기에 자녀의 죽음을 겪은 노인들의 사별 경험과 사별 이후 그들의 삶의 변화 양상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참여자로는 노년기에 ...

      본 연구는 노년기에 자녀의 죽음을 겪은 노인들의 사별 경험과 사별 이후 그들의 삶의 변화 양상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참여자로는 노년기에 성인 자녀를 잃은 경험이 있는 노인 6명이 선정되었고, 자료수집은 2018년 2월부터 9월까지 개별 심층인터뷰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Giorgi(1985)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억의 끈 붙잡기: 잊혀질까 두려운 내 자식 이야기>, <이승에서 지옥을 경험하기>, <반 미치광이로 살아가기>, <빈 껍데기로 살아가기>, <두 개의 세상에서 버텨내기>, <슬픔의 일상화 과정>, <죽음 속에서 삶을 부둥켜안기> 등 총 7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자녀 사별 경험에 대한 사회복지적 함의와 사회복지실천 개입방안 등에 논의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경림,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현문사 2004

      2 김명숙, "한국인의 행복과 좋은 죽음에 대한 표상과 인식의 특징" 인문과학연구소 39 (39): 307-352, 2012

      3 김열규, "한국인의 죽음과 삶" 철학과 현실사 2001

      4 박완서, "한 말씀만 하소서" 세계사 2004

      5 신지영, "청소년 자녀와 사별한 부모의 부부관계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세월호 유가족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37 (37): 221-255, 2018

      6 한나영, "좋은 죽음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 대한가정의학회 23 (23): 769-777, 2002

      7 전명수, "종교와 사회복지의 접점 — 종교의 사회적 책임과 복지활동의 실제 —" 한국종교학회 (68) : 253-280, 2012

      8 노길명, "종교 사회복지의 성격과 과제" 1 (1): 191-215, 2010

      9 김용분, "자살피해자의 승화하기 경험" 정신간호학회 15 (15): 446-458, 2006

      10 윤명숙, "자살자 자녀를 둔 농촌지역 어머니의 경험"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9) : 115-148, 2010

      1 신경림,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현문사 2004

      2 김명숙, "한국인의 행복과 좋은 죽음에 대한 표상과 인식의 특징" 인문과학연구소 39 (39): 307-352, 2012

      3 김열규, "한국인의 죽음과 삶" 철학과 현실사 2001

      4 박완서, "한 말씀만 하소서" 세계사 2004

      5 신지영, "청소년 자녀와 사별한 부모의 부부관계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세월호 유가족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37 (37): 221-255, 2018

      6 한나영, "좋은 죽음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 대한가정의학회 23 (23): 769-777, 2002

      7 전명수, "종교와 사회복지의 접점 — 종교의 사회적 책임과 복지활동의 실제 —" 한국종교학회 (68) : 253-280, 2012

      8 노길명, "종교 사회복지의 성격과 과제" 1 (1): 191-215, 2010

      9 김용분, "자살피해자의 승화하기 경험" 정신간호학회 15 (15): 446-458, 2006

      10 윤명숙, "자살자 자녀를 둔 농촌지역 어머니의 경험"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9) : 115-148, 2010

      11 김가득, "자살로 자녀를 잃은 부모의 경험-참척(慘慽) 고통과 화해"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5-29, 2012

      12 박지영, "자살로 가족을 잃은 유가족의 생존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사례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36) : 203-231, 2010

      13 이석호, "인간의 이해-철학적 인간학 입문-" 철학과 현실사 2001

      14 Kast. V., "애도: 상실과 마주하고 상실과 더불어 살아가기" 궁리 2015

      15 박찬희, "세월호 희생 학부모의 심리경험" 한국목회상담학회 28 : 124-148, 2017

      16 양상은, "세월호 참사 후 희생자 부모의 건강상태 변화" 대한불안의학회 14 (14): 44-52, 2018

      17 이동훈,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들의 사회적 지지, 갈등, 고립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학회 18 (18): 331-355, 2017

      18 김은미, "세월호 유가족의 자녀상실 경험연구"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9 (29): 89-129, 2018

      19 이형득, "상담의 이론적 접근" 형설출판사 2000

      20 Padgett, D.,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 나남출판 2005

      21 김미혜, "노인이 인지하는 '좋은 죽음' 의미 연구-'복(福) 있는 죽음'-"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195-213, 2004

      22 이명숙, "노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83-299, 2013

      23 정순둘, "노인의 상담경험과 상담욕구가 상담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5 (35): 609-625, 2015

      24 노승석, "난중일기" 민음사 2014

      25 Perluxo, D., "Use of Facebook in the maternal grief process: An exploratory qualitative study" 42 (42): 79-88, 2018

      26 Van Humbeeck, L., "The suffering in silence of older parents whose child died of cancer: A qualitative study" 40 (40): 607-617, 2016

      27 Arnold, J., "The continuing process of parental grief" 32 (32): 658-673, 2008

      28 Giorgi, A.,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in psychology: A Modified Husserlian approach" Duquesne University Press 2009

      29 Ribaudo, A., "Temporal trends in spirituality research: A meta-analysis of journal abstracts between 1944 and 2003" 20 (20): 16-28, 2008

      30 Lindemann, E, "Symptomatology and management of acute grief" 101 (101): 141-148, 1944

      31 Walsh, K., "Spiritual beliefs may affect outcome of bereavement: prospective study" 324 (324): 1551-, 2002

      32 Gamino, L. A., "Scott and White grief study—Phase 2: Toward an adaptive model of grief" 24 : 633-660, 2000

      33 Wortmann, J. H., "Religion/spirituality and change in meaning after bereavement:Qualitative evidence for the meaning making model" 14 (14): 17-34, 2009

      34 Hanlon, P., "Reflections on the development of a therapeutic recreation-based bereavement camp for families whose child has died from serious illness" 42 (42): 593-603, 2018

      35 Giorgi, A.,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Duquesne university press 1985

      36 Wheeler, I, "Parental bereavement: The crisis of meaning" 25 (25): 51-66, 2001

      37 Cohen-Mansfield, J., "Parental bereavement increases mortality in older persons" 5 (5): 84-, 2013

      38 Floyd, F. J., "Parental bereavement during mid-to-later life: Pre-to post bereavement functioning and intrapersonal resources for coping" 28 (28): 402-, 2013

      39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1985

      40 Frankl, V. E., "Man’ s search for meaning" Simon and Schuster 1985

      41 Coleman, P. G., "In sure and uncertain faith: belief and coping with loss of spouse in later life" 27 (27): 869-890, 2007

      42 Joseph, S., "Growth following adversity: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26 (26): 1041-1053, 2006

      43 Kelley, M. M., "Grief: Contemporary theory and the practice of ministry" Fortress Press 2010

      44 Havighurst, R.,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David McKay Co 1972

      45 Lekalakala-Mokgele, E, "Death and dying: elderly persons’ experiences of grief over the loss of family members" 1-4, 2018

      46 Rogers, C. R, "Comment on Slack’s article" 25 (25): 43-44, 1985

      47 Woods, "Clinical psychology of aging" Wiley 2008

      48 Robbins-Welty, G. A., "Clinical Handbook of Bereavement and Grief Reactions" Humana Press 2018

      49 Wilber, K, "An integral theory of consciousness" 4 (4): 71-92, 1997

      50 통계청, "2017 고령자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7 1.03 1.33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