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인의 정당방위 판단: 한국, 일본, 미국 법문화의 영향 = Lay Judgment for Self-defense Claim: Effects of legal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605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lf-defense reflects the function of law in situation where the elements of a crime are satisfied, but the legality is denied. While the Criminal Procedure Law in South Korea and Japan aims at securing social order and guaranteeing individual rights, Amendments in the United State focus on ensuring individual rights and freedom. The couple of functions and purposes of the law would be differently influenced as the legal culture to the lay people's judgment of self-defense. 202 Korean, 64 Japanese and 190 Americ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As a result, the proportion of accepting self-defense by the American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Koreans and Japanes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It was suggested that legal culture exerts influence on the judgment of the self-defense.
      번역하기

      Self-defense reflects the function of law in situation where the elements of a crime are satisfied, but the legality is denied. While the Criminal Procedure Law in South Korea and Japan aims at securing social order and guaranteeing individual rights,...

      Self-defense reflects the function of law in situation where the elements of a crime are satisfied, but the legality is denied. While the Criminal Procedure Law in South Korea and Japan aims at securing social order and guaranteeing individual rights, Amendments in the United State focus on ensuring individual rights and freedom. The couple of functions and purposes of the law would be differently influenced as the legal culture to the lay people's judgment of self-defense. 202 Korean, 64 Japanese and 190 Americ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As a result, the proportion of accepting self-defense by the American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Koreans and Japanes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It was suggested that legal culture exerts influence on the judgment of the self-defen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법의 질서를 침해하였는가에 대한 위법성 고려는 법이 존재하는 이유와 목적을 반영한다. 한국과 일본은 사회의 질서안정과 개인의 권리보장을 법의 주목적으로 하는 반면, 미국의 법은 개인의 인권과 자유를 보장하는데 집중한다. 법의 기능과 목적은 역사 및 문화와 결합되어 법문화가 되고, 국민은 각 문화에서 더 가치 있게 여기는 법의 기능을 암묵적으로 학습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배심원이 문화에 따라 다른 법기능을 중심으로 피고인의 유무죄를 판단할 것이라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인이 정당방위를 주장하는 사건을 판단할 때 법의 기능에 따른 법문화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국인 202명, 일본인 64명, 미국인 19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미국인이 한국인과 일본인에 비해 정당방위를 유의하게 높은 비율로 인정하였고, 한국인과 일본인 간에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동양의 한국과 일본, 서양의 미국 간에 서로 다른 법문화가 존재하며, 법문화에 따라 일반인의 정당방위 판단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법의 질서를 침해하였는가에 대한 위법성 고려는 법이 존재하는 이유와 목적을 반영한다. 한국과 일본은 사회의 질서안정과 개인의 권리보장을 법의 주목적으로 하는 반면, 미국의 법은 개...

      법의 질서를 침해하였는가에 대한 위법성 고려는 법이 존재하는 이유와 목적을 반영한다. 한국과 일본은 사회의 질서안정과 개인의 권리보장을 법의 주목적으로 하는 반면, 미국의 법은 개인의 인권과 자유를 보장하는데 집중한다. 법의 기능과 목적은 역사 및 문화와 결합되어 법문화가 되고, 국민은 각 문화에서 더 가치 있게 여기는 법의 기능을 암묵적으로 학습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배심원이 문화에 따라 다른 법기능을 중심으로 피고인의 유무죄를 판단할 것이라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인이 정당방위를 주장하는 사건을 판단할 때 법의 기능에 따른 법문화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국인 202명, 일본인 64명, 미국인 19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미국인이 한국인과 일본인에 비해 정당방위를 유의하게 높은 비율로 인정하였고, 한국인과 일본인 간에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동양의 한국과 일본, 서양의 미국 간에 서로 다른 법문화가 존재하며, 법문화에 따라 일반인의 정당방위 판단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해목, "형법총론" 법문사 1996

      2 이상돈, "형법의 세계화와 전문화" 박영사 2010

      3 최석윤, "정당방위의 성립요건" 3 (3): 381-406, 2001

      4 이용식, "정당방위와 긴급피난의 몇 가지 요건" 3 : 89-, 1995

      5 법무부, "일본형법"

      6 성유리, "일반인의 정당방위판단에 대한 법적 지침의 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2

      7 성유리, "일반인의 정당방위 판단에 대한 법문화의 영향"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7 (27): 69-83, 2013

      8 성유리, "일반인의 정당방위 판단: 개인/집단주의 가치관의 효과"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6 (26): 1-12, 2012

      9 최종고, "법사와 법사상" 박영사 1980

      10 김혜경, "‘실체적 진실발견’은 형사소송법의 목적인가?" 한국형사법학회 26 (26): 161-192, 2014

      1 손해목, "형법총론" 법문사 1996

      2 이상돈, "형법의 세계화와 전문화" 박영사 2010

      3 최석윤, "정당방위의 성립요건" 3 (3): 381-406, 2001

      4 이용식, "정당방위와 긴급피난의 몇 가지 요건" 3 : 89-, 1995

      5 법무부, "일본형법"

      6 성유리, "일반인의 정당방위판단에 대한 법적 지침의 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2

      7 성유리, "일반인의 정당방위 판단에 대한 법문화의 영향"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7 (27): 69-83, 2013

      8 성유리, "일반인의 정당방위 판단: 개인/집단주의 가치관의 효과"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6 (26): 1-12, 2012

      9 최종고, "법사와 법사상" 박영사 1980

      10 김혜경, "‘실체적 진실발견’은 형사소송법의 목적인가?" 한국형사법학회 26 (26): 161-192, 2014

      11 Vidmar, N., "When All of Us Are Victims : Juror Prejudice and Terrorist Trials" 78 : 1143-1178, 2003

      12 Robinson, P. H., "Utility of desert" 91 : 453-, 1996

      13 Nelken, D., "Using the concept of legal culture" 29 (29): 1-26, 2004

      14 Markus, H. R., "The self: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Spring-Verlag 1991

      15 Ross, L., "The intuitive psychologist and his shortcomings : Distortions in the attribution process" 10 : 174-228, 1977

      16 Zebrowitz, L. A., "Social perception" Brooks/Cole 1990

      17 Kraus, M. W., "Social class, sense of control, and social explanation" 97 : 992-1004, 2009

      18 Greenewald, J. P., "Psychological self-defense jury instruction : Influence on verdicts for battered woman defendants" 8 : 171-180, 1990

      19 Smith, V. L., "Prototypes in the courtroom : Lay representations of legal concepts" 61 : 857-872, 1991

      20 Hung, Y., "Progres in Asian social psychology Vol. 1" Wiley 135-146, 1997

      21 Masuda, T., "Perceiver-induced constraint and attitude attribution in Japan and the US : A case for the cultural dependence of the correspondence bias" 40 : 409-416, 2004

      22 Gilbert, D. T., "Perceiver-induced constraint : Interpretations of self-generated reality" 50 : 269-280, 1986

      23 Kassin, S. M., "On the requirements of proof : The timing of judicial instruction and mock juror verdicts" 37 (37): 1877-, 1979

      24 Goldberg, J. C., "Memory, Magic, and Myth : The Timing of Jury Instructions" 59 (59): 451-454, 1981

      25 Rutherford, S., "Lex, Rex, or the law and the prince" Portage Publications 2000

      26 Baron, M., "Justifications and excuses" 2 : 387-406, 2005

      27 Devine, D. J., "Jury decision making"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2

      28 ForsterLee, L., "Juror competence in civil trials : Ef ects of preinstruction and evidence technicality" 78 (78): 14-, 1993

      29 Elwork, A., "Juridic decisions : In ignorance of the law or in light of it?" 1 (1): 163-, 1977

      30 Malone, L. A., "Is there really a dif erence between justification and excuse, or did we academics make it up?" 42 : 321-325, 2009

      31 Pennington, N., "Inside the juror: The psychology of juror decision mak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2-221, 1993

      32 Smith, V. L., "Impact of pretrial instruction on jurors' information processing and decision making" 76 (76): 220-228, 1991

      33 Grumer, J., "IX. Self-Defense" 36 : 1575-1595, 2004

      34 Chu, Y., "How East Asians View Democrac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8

      35 Wilson, T., "Heuristics and Biases: The Psychology of Intuitive Judg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36 Vidmar, N., "Generic prejudice and the presumption of guilt in sex abuse trials" 21 (21): 5-25, 1997

      37 Pennington, N., "Explaining the evidence : Tests of the story model for juror decision making" 62 : 189-206, 1992

      38 Ji, L., "Culture, Control, and Perception of Relationships in the Environment" 78 : 943-955, 2000

      39 Markus, H. R., "Culture and the self :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98 : 224-253, 1991

      40 Morris, M. W., "Culture and cause : American and Chinese attributions for social and physical events" 67 : 949-971, 1994

      41 Morris, M. W., "Culture and case: American and Chinese understandings of physical and social causality" University of Michigan 1993

      42 Brody, D. C., "Criminal Law" Jones & Bartlett Learning 2014

      43 Finkel, N. J., "Crime prototypes, objective versus subjective culpability, and a commonsense balance" 21 (21): 209-230, 1997

      44 Finkel, N. J., "Commonsense justice: Jurors'notions of the law"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45 Morris, M. W., "Causal cognition: A multidisciplinary debate" Oxford University Press 577-612, 1995

      46 Choi, I., "Causal attribution across cultures : variation and universality" 125 : 47-63, 1999

      47 Vidmar, N., "Case studies of pre-and midtrial prejudice in criminal and civil litigation" 26 (26): 73-105, 2002

      48 Finkel, N. J., "But it's not fair!Commonsense notions of unfairness" 6 (6): 898-952, 2000

      49 Katz, L., "Bad acts and guilty minds:Conundrums of the criminal law"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50 Snyder, M., "Attitude attribution when behavior is constrained" 10 : 585-600, 1974

      51 Simon, D., "A third view of the black box:Cognitive coherence in legal decision making" 511-586, 2004

      52 Pennington, N., "A Cognitive Theory of Juror Decision Making : The Story Model" 13 : 519-557,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0-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법정 -> 한국심리학회지:법 KCI등재
      2016-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 산하 법정심리학회 -> 한국법심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Forensic Psychology -> Korean Association of Psychology and Law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