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아고갈이 처벌판단에 미치는 영향 = Too Exhausted to Catch a Clue: Ego Depletion Effect on the Juror's Consideration for Counter Evid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605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자아고갈의 정도에 따라 처벌판단과 반박증거를 고려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상에서 배심원 역할을 맡은 대학생들(N=62)을 자아고갈 집단과 자아 고갈이 낮은 통제집단에 무선적으로 배정하여 자아 고갈을 조작하였다. 자아 고갈 조작 후, 대학생 참여자들에게 범죄 사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피의자에 대한 처벌판단과 반박증거에 대해 고려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자아고갈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피의자의 반박증거를 덜 고려하였고, 유죄를 더 많이 선고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그리고 자아고갈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더 높은 양형을 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아고갈과 양형판단간의 관계를 반박증거 대한 고려 정도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법정에서 배심원들에게 자아고갈이 발생할 경우, 재판 후반부 제시되는 정보를 정확하게 고려하지 않아 양형 판단 등에서 심각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자아고갈의 정도에 따라 처벌판단과 반박증거를 고려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상에서 배심원 역할을 맡은 대학생들(N=62)을 자아고갈 ...

      본 연구에서는 자아고갈의 정도에 따라 처벌판단과 반박증거를 고려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상에서 배심원 역할을 맡은 대학생들(N=62)을 자아고갈 집단과 자아 고갈이 낮은 통제집단에 무선적으로 배정하여 자아 고갈을 조작하였다. 자아 고갈 조작 후, 대학생 참여자들에게 범죄 사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피의자에 대한 처벌판단과 반박증거에 대해 고려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자아고갈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피의자의 반박증거를 덜 고려하였고, 유죄를 더 많이 선고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그리고 자아고갈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더 높은 양형을 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아고갈과 양형판단간의 관계를 반박증거 대한 고려 정도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법정에서 배심원들에게 자아고갈이 발생할 경우, 재판 후반부 제시되는 정보를 정확하게 고려하지 않아 양형 판단 등에서 심각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and how ego depletion influences making judgments objectively and judgments of punishment when evidences are presented in a serial manner. We hypothesized that the group of ego depletion would less deliberate on counter evidence and thus the group would give more judgments of guilty and heavier sentencing judgments than a control group would. 62 participants randomly were assigned to ego depletion group or control group. Consistent with our hypothe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of ego depletion less consider the evidences against prior arguments than the control group. More importantly, the group of ego deple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vinced the suspect of the crime more and gave heavier sentencing.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extent of consideration for counter evidence mediated the effect of ego depletion on sentencing.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ego depletion could have effects on jurors’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ir judgment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and how ego depletion influences making judgments objectively and judgments of punishment when evidences are presented in a serial manner. We hypothesized that the group of ego depletion would less deliberate...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and how ego depletion influences making judgments objectively and judgments of punishment when evidences are presented in a serial manner. We hypothesized that the group of ego depletion would less deliberate on counter evidence and thus the group would give more judgments of guilty and heavier sentencing judgments than a control group would. 62 participants randomly were assigned to ego depletion group or control group. Consistent with our hypothe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of ego depletion less consider the evidences against prior arguments than the control group. More importantly, the group of ego deple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vinced the suspect of the crime more and gave heavier sentencing.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extent of consideration for counter evidence mediated the effect of ego depletion on sentencing.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ego depletion could have effects on jurors’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ir judgment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희,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2 (22): 935-946, 2003

      2 김범준, "처벌 기준이 양형판단에 미치는 효과: 남여차이" 한국여성심리학회 13 (13): 343-361, 2008

      3 최승혁, "잘난 사람의 범죄는?: 처벌판단에서 사회경제적 지위의 역할과 그 심리기제"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6 (26): 127-140, 2012

      4 김류원, "자아조절자원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규범 단서를 활용한 설득 메시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1 (61): 379-404, 2017

      5 김재휘,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자기통제에 미치는 효과: 심적 계정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5 (15): 157-170, 2014

      6 김은영, "이야기모델을 적용한 배심원들의 판단결정과정의 검증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4 (24): 361-392, 2013

      7 송찬섭, "융·복합 시대의 자기효능감이 목표설정이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아조절자원의 고갈과 비고갈 집단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151-164, 2016

      8 성유리, "유죄판단 역치에 대한 배심설시 절차의 효과"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1 (21): 497-510, 2015

      9 백소라, "소비자의 조절방식이 시간한정 프로모션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4 (14): 471-487, 2013

      10 표지민, "반박증거의 제시시점에 따른 배심원의 판단 변화" 241-241, 2014

      1 이현희,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2 (22): 935-946, 2003

      2 김범준, "처벌 기준이 양형판단에 미치는 효과: 남여차이" 한국여성심리학회 13 (13): 343-361, 2008

      3 최승혁, "잘난 사람의 범죄는?: 처벌판단에서 사회경제적 지위의 역할과 그 심리기제"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6 (26): 127-140, 2012

      4 김류원, "자아조절자원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규범 단서를 활용한 설득 메시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1 (61): 379-404, 2017

      5 김재휘,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자기통제에 미치는 효과: 심적 계정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5 (15): 157-170, 2014

      6 김은영, "이야기모델을 적용한 배심원들의 판단결정과정의 검증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4 (24): 361-392, 2013

      7 송찬섭, "융·복합 시대의 자기효능감이 목표설정이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아조절자원의 고갈과 비고갈 집단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151-164, 2016

      8 성유리, "유죄판단 역치에 대한 배심설시 절차의 효과"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1 (21): 497-510, 2015

      9 백소라, "소비자의 조절방식이 시간한정 프로모션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4 (14): 471-487, 2013

      10 표지민, "반박증거의 제시시점에 따른 배심원의 판단 변화" 241-241, 2014

      11 길원미, "국민 참여 재판에서 증거사진 제시 시기의 효과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2

      12 최승혁, "공정한 사회를 위한 형사처벌: 공정세상 믿음 및 기대의 상호작용"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5 (25): 113-125, 2011

      13 하사랑, "공인(公人)의 개념과 위법행위에 대한 처벌과 용서"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7 (27): 67-84, 2013

      14 Mead, N. L., "Too tired to tell the truth : Self-control resource depletion and dishonesty" 45 : 594-597, 2009

      15 Reinhard, M. A., "Too exhausted to see the truth : Ego depletion and the ability to detect deception" 52 : 618-630, 2013

      16 Baumeister, R. F., "The strength model of self-control" 16 : 351-355, 2007

      17 Gailliot, M. T., "The physiology of willpower : Linking blood glucose to self-control" 11 : 303-327, 2007

      18 Douglas, K. S., "The impact of graphic photographic evidence on mock jurors' decisions in a murder trial : probative or prejudicial?" 21 : 485-501, 1997

      19 Mazzella, R., "The effects of physical attractiveness, race, socioeconomic status, and gender of defendants and victims on judgments of mock jurors : A metaanalysis" 24 (24): 1315-1338, 1994

      20 Hayes, A. F., "Sourcebook for pol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measures, and analytical techniques" Routledge 434-465, 2011

      21 Baumeister, R. F., "Self‐Regulation, ego depletion, and motivation" 1 : 115-128, 2007

      22 Baumeister, R. F., "Self-regulation, ego depletion, and inhibition" 65 : 313-319, 2014

      23 Muraven, M., "Self-regulation and depletion of limited resources : Does self-control resemble a muscle?" 126 : 247-259, 2000

      24 Gailliot, M. T., "Self-control relies on glucose as a limited energy source : Willpower is more than a metaphor" 92 : 325-336, 2007

      25 Muraven, M., "Self-control as a limited resource : Regulatory depletion patterns" 74 : 774-789, 1998

      26 Wegner, D. M., "Paradoxical effects of thought suppression" 53 : 5-130, 1987

      27 MacKinnon, D. P., "Mediation analysis" 58 : 593-614, 2007

      28 Hayes, A. 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ress 2013

      29 Schmeichel, B. J., "Intellectual performance and ego depletion : role of the self in logical reasoning and other information processing" 85 : 33-46, 2003

      30 Vohs, K. D., "Handbook of self-regulation: Research, theory, and applications" Guilford 2016

      31 Bright, D. A., "Gruesome evidence and emotion : Anger, blame, and jury decision-making" 30 : 183-202, 2006

      32 Danziger, S., "Extraneous factors in judicial decisions" 108 : 6889-6892, 2011

      33 Pennington, N., "Explanation-based decision making: Effects of memory structure on judgment" 14 : 521-533, 1988

      34 Pennington, N., "Explaining the evidence : Tests of the Story Model for juror decision making" 62 : 189-206, 1992

      35 Pennington, N., "Evidence evaluation in complex decision making" 51 : 242-258, 1986

      36 Baumeister, R. F., "Ego depletion: Is the active self a limited resource?" 74 : 1252-1265, 1998

      37 Hagger, M. S., "Ego depletion and the strength model of self-control : a meta-analysis" 136 : 495-525, 2010

      38 Watson, 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 The PANAS scale" 54 : 1063-1070, 1988

      39 Vohs, K. D., "Depletion enhances urges and feelings" University of Minnesota. unpublished manuscript 2016

      40 Harkness, E. L., "Can ego depletion and post-event discussion change the way we remember a crime?" 22 : 172-183, 2015

      41 Diamond, S. S., "Blindfolding the jury to verdict consequences : Damages, experts, and the civil jury" 26 : 513-563, 1992

      42 Carlson, K. A., "Biased interpretation of evidence by mock jurors" 7 : 91-103, 2001

      43 Bargh, J. A., "Beyond behaviorism : on the automaticity of higher mental processes" 126 : 925-945,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0-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법정 -> 한국심리학회지:법 KCI등재
      2016-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 산하 법정심리학회 -> 한국법심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Forensic Psychology -> Korean Association of Psychology and Law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