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역사적 연구방법에 따라 미국과 영국을 대상으로 영 미 양국에서의 고위공무원단 설립에 내포된 역사적 배경이 무엇인가를 고찰하였다. 영국은 1853년 노스코트-트레벨리안 보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역사적 연구방법에 따라 미국과 영국을 대상으로 영 미 양국에서의 고위공무원단 설립에 내포된 역사적 배경이 무엇인가를 고찰하였다. 영국은 1853년 노스코트-트레벨리안 보고...
본 논문은 역사적 연구방법에 따라 미국과 영국을 대상으로 영 미 양국에서의 고위공무원단 설립에 내포된 역사적 배경이 무엇인가를 고찰하였다. 영국은 1853년 노스코트-트레벨리안 보고서(the Northcote-Trevelyan Report) 이후 굳어진 영국 공직사회에서의 일반행정가 중심의 전통을 불식하고, 1968년 풀턴위원회(Fulton Committee)의 개혁이후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고위관료들의 전문성과 관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위공무원단을 만들었다. 그리고 미국은 1883년 펜들턴법과 1923년 직위분류법의 제정으로 정착된 소극적인 실적주의의 제약에서 벗어나 관리중심의 적극적인인사행정이 가능하도록 고위공무원집단에 계급제적인 요소를 도입하여 이들의 신분보장을 강화하였다. 영 미 양국의 고위공무원단의 설립배경에 대한 역사적 고찰이 한국의 고위공무원단에 대해 시사하는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은 정부수립이후 오랜 시간 속에서 굳어진 일반행정가 중심의 고위직 공직구조를 타파하는 방향으로 고위공무원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고위공무원단의 운영은 고위공무원의 관리능력을 배양하는데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고위공무원단의 도입에 따른 정치적 영향력의 증대로 인해 실적주의가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세심한 주의가 필 요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중앙인사위원회, "「14개 OECD회원국의 고위공무원제도」. CSC 정책자료집 제2000-2호"
2 박천오, "한국형 고위공무원단제도 도입: 제도의 특징과 전망" 명지대학교 24 : 45-60, 2005
3 조선일, "한국과 미국의 인사개혁 비교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 8 (8): 155-186, 2009
4 중앙인사위원회, "참여정부 공무원인사개혁백서" 2007
5 정재명, "주요국의 공무원 인사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06
6 박연호, "인사행정신론" 법문사 1984
7 총무처 직무분석기획단, "신정부혁신론" 동명사 1997
8 강신택, "사회과학연구의 논리" 박영사 1981
9 차배근, "사회과학연구방법" 세영사 1988
10 박천오, "미국 고위공무원단제도의 특징" 명지대학교 25 : 51-69, 2006
1 중앙인사위원회, "「14개 OECD회원국의 고위공무원제도」. CSC 정책자료집 제2000-2호"
2 박천오, "한국형 고위공무원단제도 도입: 제도의 특징과 전망" 명지대학교 24 : 45-60, 2005
3 조선일, "한국과 미국의 인사개혁 비교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 8 (8): 155-186, 2009
4 중앙인사위원회, "참여정부 공무원인사개혁백서" 2007
5 정재명, "주요국의 공무원 인사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06
6 박연호, "인사행정신론" 법문사 1984
7 총무처 직무분석기획단, "신정부혁신론" 동명사 1997
8 강신택, "사회과학연구의 논리" 박영사 1981
9 차배근, "사회과학연구방법" 세영사 1988
10 박천오, "미국 고위공무원단제도의 특징" 명지대학교 25 : 51-69, 2006
11 이우권, "고위공무원단제도의 설계와 효율적인 운영방안" 한국국정관리학회 16 (16): 1-24, 2006
12 안중현, "고위공무원단제도: 특징과 설계" 명지대학교 22 : 51-71, 2004
13 김연수, "고위공무원단 제도 비교분석: Huddleston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14 (14): 31-64, 2007
14 남궁근, "고위공무원단 도입에 따른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주요국가 사례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05
15 "http://www.opm.gov/pressrel/html/fdelist.htm"
16 Huddleston, Mark W., "To the Threshold of Reform: The Senior Executive Service and America's Search for a Higher Civil Service. in : The Promise and Paradox of Civil Service Reform"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65-197, 1992
17 Fry, Geoffrey K., "The Thatcher Government, The Financial Management Initiative, and the 'New Civil Service'" 66 : 1988
18 Nigro, F. A., "The New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P. E. Peacock Publishers, Inc. 1981
19 Lah, T. J., "The Diffusion of Civil Service Reform Act of 1978 in OECD Countries" 28 (28): 282-299, 2008
20 Fry, Geoffrey K., "The Development of the Thatcher Government's 'Grand Strategy' for the Civil Service: A Public Plicy Perspective" 62 : 1984
21 Perry, James L., "The Civil Service Reform Act of 1978: A 30-Year Retrospective and a Look Ahead" 28 (28): 200-204, 2008
22 Birch, Anthony H., "The British System of Government, 9th ed" Routledge 1993
23 Campbell, A. K., "Testimony on Civil Service Reform and Reorganization. in : Classics of Public Personnel Policy" Moore Publishing Company, Inc. 77-102, 1979
24 Cabinet Office, "Reform of the civil service" HMSO 1999
25 Stahl, O. Glenn,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Harper & Row 1983
26 Dresang, D., "Public Personnel Reform: a summary of state government activity" 7 : 287-294, 1978
27 Greenwood, John R., "Public Administration in Britain" George Allen & Unwin 1984
28 Horton, Sylvia, "Participation and Involvement of Senior Staff in the Reform of the British Civil Service" 1 : 56-68, 2005
29 Cabinet Office, "Modernising government" HMSO 1999
30 Coxall, Bill, "Contemporary British Politics" MacMillan Education Ltd. 1989
31 Bovaird, Tony, "Civil Service Reform in the UK, 1999-2005: Revolutionary Failure or Evolutionary Success?" 85 (85): 301-328, 2007
32 Johnson, Nevil, "Change in the Civil Service: Retrospect and Prospects" 63 : 415-433, 1985
33 Chapman, R. A., "Change in the Civil Service" 72 : 599-610, 1994
34 Peters, B. Guy, "Burning the Village: The Civil Service Under Reagan and Thatcher" 39 (39): 1986
35 Loverd, R. A., "Analyz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American Civil Service. in : Handbook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Marcel Dekker, Inc. 1995
일본 국가공무원제도의 변혁 흐름: 하토야마 정권의 개혁 사례를 중심으로
해방이후 우리나라 중앙부처 공무원 교육훈련에 대한 추세분석
공무원연금제도 개편에 관한 국민과 공무원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국무회의록을 통해 살펴본 제1공화국 후기의 국가관리와 공무원 인사정책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7 | 1.47 | 1.4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5 | 1.46 | 1.648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