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외상을 경험한 모자가족을 대상으로 가족미술치료를 실시하여 가족기능 성을 회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A시에 거주하는 모자가정의 형제(12세, 15 세)와 그 어머니이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394987
2021
Korean
650.5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49-83(3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외상을 경험한 모자가족을 대상으로 가족미술치료를 실시하여 가족기능 성을 회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A시에 거주하는 모자가정의 형제(12세, 15 세)와 그 어머니이며, ...
본 연구는 외상을 경험한 모자가족을 대상으로 가족미술치료를 실시하여 가족기능 성을 회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A시에 거주하는 모자가정의 형제(12세, 15 세)와 그 어머니이며, 가족미술치료는 주 1회 90∼120분씩 총 20회기 실시하였다. 연 구도구는 모-자녀 의사소통 척도와 가족체계진단, 동적가족화 검사로 사전·사후에 실 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가족기능성 변화과정은 미술작품, 회기과정의 녹취록, 비언 어적 표현에 대한 상담일지 등으로 초이론적 모델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자녀 의사소통 척도 검사에서 점수가 증가하였으며, 가 족체계진단 평가와 동적가족화에서도 가족의 정서적 교류 및 상호작용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초이론적 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 전인식단계에서는 서로 상대에 게 책임을 전가하고 치료를 거부하는 양상이 나타났으며, 가족(남편/아빠)의 죽음에 대해 금기시되어왔다. 인식단계에서는 가족(남편/아빠)의 자살에 대해 노출하고 애도 작업을 거치면서 가족치료를 수용하게 되었다. 준비단계에서는 변화를 위해 새로운 방법을 시도하면서 성공과 실패를 반복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행동단계에서는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을 실천해나가면서 가족 간의 친밀성과 상호소통에 긍정적 변화가 나타 났고 자신의 꿈을 찾아나갔다. 따라서 가족미술치료가 외상을 경험한 모자가족의 가 족기능성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tore family functioning by conducting family art therapy for mother and sons family who have experienced trauma. Research participants are a mother and two sons (age 12 and 15) residing in A City. There were a total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tore family functioning by conducting family art therapy for mother and sons family who have experienced trauma. Research participants are a mother and two sons (age 12 and 15) residing in A City. There were a total of 20 sessions once a week and a session took 90 to 120 minutes. Research instruments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pre-post-tes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PAC) Scale, Family System Diagnosis Scale (FSDS) and KFD (Kinetic Family Drawing). The family functional change process was analyzed based on a Transtheoretical Model (TTM), including works of art, transcripts of the session process, and counseling logs on nonverbal exp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C test showed an increase in scores. The FSDS and KFD revealed a positive change in the family's emotional exchange and mutual communic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through the TTM, in the pre-recognition stage, the family refused the therapy with each family member shifting one’s responsibility to other family members. The death of the family member (husband/father) has been taboo but in the recognition stage, through processes of exposing the suicide of the family member and mourning about it, the family accepted the therapy. In the preparation stage, while trying new methods for change, he repeated successes and failures. Based on this,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intimacy and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mbers in the action stage by practicing what they can do, and started to search for one’s dream. In conclusion, family art therapy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restoring the family functioning of participants who with experienced traum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서현, "해결중심 가족치료를 적용한 집단 모자미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모-자 관계,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5 (15): 295-316, 2008
2 주혜선, "트라우마 사례개념화 양식(TCFF)의 개발: 사례개념화 기반의 트라우마 심리치료" 한국상담심리학회 28 (28): 89-125, 2016
3 Herman, J., "트라우마 가정폭력에서 정치적 테러까지" 열린책들 2012
4 김영애, "통합적 사티어변형체계치료 적용" 김영애 가족치료연구소 2011
5 추영란, "취학전 아동의 주의력결핍, 과잉활동장애 및 가족변인이부모역할, 가족기능지각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33 (33): 241-253, 1995
6 홍유경,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애착과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김유경, "제주4・3생존자의 트라우마와 미술치료적 접근" 한국미술치료학회 19 (19): 537-563, 2012
8 서청희, "자조모임을 통한 자살유가족의 ‘고통 이겨냄’ 과정: SPACE 모델" 한국가족관계학회 22 (22): 73-101, 2017
9 윤명숙, "자살자 자녀를 둔 농촌지역 어머니의 경험"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9) : 115-148, 2010
10 박혜선, "자살자 유가족의 자조모임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2) : 277-311, 2016
1 김서현, "해결중심 가족치료를 적용한 집단 모자미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모-자 관계,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5 (15): 295-316, 2008
2 주혜선, "트라우마 사례개념화 양식(TCFF)의 개발: 사례개념화 기반의 트라우마 심리치료" 한국상담심리학회 28 (28): 89-125, 2016
3 Herman, J., "트라우마 가정폭력에서 정치적 테러까지" 열린책들 2012
4 김영애, "통합적 사티어변형체계치료 적용" 김영애 가족치료연구소 2011
5 추영란, "취학전 아동의 주의력결핍, 과잉활동장애 및 가족변인이부모역할, 가족기능지각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33 (33): 241-253, 1995
6 홍유경,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애착과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김유경, "제주4・3생존자의 트라우마와 미술치료적 접근" 한국미술치료학회 19 (19): 537-563, 2012
8 서청희, "자조모임을 통한 자살유가족의 ‘고통 이겨냄’ 과정: SPACE 모델" 한국가족관계학회 22 (22): 73-101, 2017
9 윤명숙, "자살자 자녀를 둔 농촌지역 어머니의 경험"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9) : 115-148, 2010
10 박혜선, "자살자 유가족의 자조모임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2) : 277-311, 2016
11 이경미, "자살자 유가족의 애도과정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655-685, 2015
12 강명수, "자살유가족을 위한 가족상담과 치료적 개입" 4 : 9-32, 2015
13 김용분, "자살유가족 위기와 스트레스 극복에 대한 연구" 호남신학대학교 기독상담대학원 2014
14 김용분, "자살로 인한 사별 가족 경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5
15 박혜영, "자살로 부모 상실한 기독교인 유가족의 성장 경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16 박지영, "자살로 가족을 잃은 유가족의 생존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사례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36) : 203-231, 2010
17 전혜성, "자살 유가족의 외상 대처 및 가족재구조화를 위한 위기개입 가족상담 -위기개입모델 및 구조적 가족치료이론에 기반하여-"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375-400, 2017
18 김신옥, "여아가 엄마를 사별한 후에 놀이치료를 통한 애도연구" 6 (6): 25-65, 2010
19 황종인, "비행청소년의 부모상실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6 (26): 317-339, 2018
20 김정남, "부모자살을 경험한 청소년의 외상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2 (22): 183-201, 2015
21 최광현, "부모상실의 트라우마에 대한 가족세우기치료 사례개념화" 한국가족치료학회 17 (17): 23-41, 2009
22 서청희, "부모를 자살로 상실한 청소년기 성장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8
23 전지혜, "미술치료가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를 경험한 형제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 2010
24 최외선, "마음을 나누는 미술치료" 학지사 2006
25 최외선, "동적 가족화와 심리진단" 중문출판사 2004
26 최광현, "가족희생양 역할을 수행한 청소년 내담자에 대한 트라우마가족치료 사례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9 (9): 13-21, 2011
27 구미례, "가족의사소통과 가족건강성 향상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17 (17): 443-472, 2010
28 김효숙, "가족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및 가족관계 개선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8
29 차명자, "가족의 자실이 유가족에게 미치는 심리적 영향 연구" 6 (6): 157-175, 2014
30 정은, "가족상담" 창지사 2012
31 김주영, "가족미술치료가 한부모 가족의 지적장애와 비장애 남매의 의사소통과 형제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2014
32 이현미, "가족미술치료가 재혼가정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치료상담대학원 2014
33 박은혜, "가족미술치료가 사별가족의 애도와 정서안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술치료학회 26 (26): 83-109, 2019
34 김진숙, "가족미술심리치료" 학지사 2012
35 김주연, "가족기능에 따른 아동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7
36 Brent D. A, "The impact of adolescent suicide on siblings and parents : a longitudinal follow-up" 26 (26): 253-259, 1996
37 Seo Hye Seok, "The Effect of Satir Family Sculpture Technique for Low-income Single-Parents' Female" Korean Association for Psychodrama and Sociodrama 17 (17): 49-64, 2014
38 Davis L., "The Courage to Heal Workbook : For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sexual Abuse" Harper and Row 1990
39 Prochaska, P. O., "Stage and processes of self-change of smoking : Toward an integrative model of change" 51 : 390-395, 1983
40 Kellermann, P. F., "Psychodrama with trauma surviors" Jessica Kingslely Publishers 2000
41 Figley, C. R., "Posttrauma stress disorder" Brunner & Mazel 1998
42 Barnes, H.,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the circumplex model" 56 : 437-447, 1985
43 Barnes, H., "P 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inventories" University of Minnesota 1982
44 Mcniel, D. A., "Family consequences of suicide and accidental death : Consequences of suicide and accidental death : Consequences for widows" 18 : 137-148, 1988
45 Landgarten, H. B., "Family art psychotherapy" Brunner &Mazel 1987
46 Olson, D. H.,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s : I. Cohesion and adaptability dimension, family type and clinical applications" 18 : 3-28, 1979
47 민혜영, "Circumplex Model과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 청소년 자녀를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1
48 Young-Mi Woo, "A Single Case Research for the Mourning Process of Suicide Family : A Christian Counseling Perspective" The Korean Society for Practical Theology 66 : 323-350, 2019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다문화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콜라주 미술치료 사례연구
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기술에 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보고형 부모양육태도 검사(PAT-Y)와 집 그림검사(House test)의 반응특성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