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Anaphor Resolution in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240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읽기이해 과정에서 대용어 참조해결 특성을 범주단서와 문맥단서에 따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초등학교 3-6학년 읽기이해부진 아동 13명과 일반아동 13명을 대상으로 대용어 참조해결에 대해 범주단서와 문맥단서 조건으로 온라인 읽기과제를 진행하였다. 문항은 선행어 문장과 대용어 문장의 두 문장으로 구성되었다. 문항 이후에 대용어 참조해결을 확인하는 판단문장이 제시되었다. 아동들은 테블릿으로 제시되는 문항을 문장단위로 읽었고, 대용어 문장의 읽기시간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읽기이해부진 아동은 두 조건 모두에서 일반아동보다 대용어 문장의 읽기시간이 느렸다. 일반아동은 범주조건의 대용어 문장읽기 시간이 문맥조건 보다 빨랐지만 읽기이해부진 아동은 문맥조건의 대용어 문장읽기 시간이 범주조건 보다 빨랐다. 논의 및 결론: 읽기이해부진 아동은 대용어 참조해결에 낮은 수행을 보이고 대용어 참조해결 단서를 적절히 활용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읽기이해부진 아동과 일반아동의 범주단서와 문맥단서에 따른 대용어 참조해결 양상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읽기이해 과정에서 대용어 참조해결 특성을 범주단서와 문맥단서에 따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초등학교 3-6학년 읽기이해부진 아동 ...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읽기이해 과정에서 대용어 참조해결 특성을 범주단서와 문맥단서에 따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초등학교 3-6학년 읽기이해부진 아동 13명과 일반아동 13명을 대상으로 대용어 참조해결에 대해 범주단서와 문맥단서 조건으로 온라인 읽기과제를 진행하였다. 문항은 선행어 문장과 대용어 문장의 두 문장으로 구성되었다. 문항 이후에 대용어 참조해결을 확인하는 판단문장이 제시되었다. 아동들은 테블릿으로 제시되는 문항을 문장단위로 읽었고, 대용어 문장의 읽기시간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읽기이해부진 아동은 두 조건 모두에서 일반아동보다 대용어 문장의 읽기시간이 느렸다. 일반아동은 범주조건의 대용어 문장읽기 시간이 문맥조건 보다 빨랐지만 읽기이해부진 아동은 문맥조건의 대용어 문장읽기 시간이 범주조건 보다 빨랐다. 논의 및 결론: 읽기이해부진 아동은 대용어 참조해결에 낮은 수행을 보이고 대용어 참조해결 단서를 적절히 활용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읽기이해부진 아동과 일반아동의 범주단서와 문맥단서에 따른 대용어 참조해결 양상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anaphor resolution during discourse reading in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3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and 13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grades 3 to 6. The children performed an online reading task where they were presented 40 discourses of two sentences where the first sentence containing two antecedents and the second containing an anaphor. The discourses were divided into half based on the types of cues that the children could utilize for anaphor resolution: categorical cues and contextual cues. The children were asked to press a button as soon as they comprehended each sentence and the reading times were measured online. A verification sentence followed each discourse to confirm the children’s anaphor resolution. Results: The reading time of the sentences with an anaphor were significantly slower in the poor comprehenders compared to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read anaphor sentences with categorical cues faster than those with contextual cues. However, the poor comprehenders read anaphor sentences with contextual cues faster than those with categorical cues. Conclusion: The poor comprehenders’ performances during the online reading task indicated that they had difficulties in anaphor resolution. In addition, the poor comprehenders and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ppeared to be different in utilizing the two types of cues (categorical and contextual cues) during the process of anaphor resolution.
      번역하기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anaphor resolution during discourse reading in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3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and 13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grades 3 to...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anaphor resolution during discourse reading in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3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and 13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grades 3 to 6. The children performed an online reading task where they were presented 40 discourses of two sentences where the first sentence containing two antecedents and the second containing an anaphor. The discourses were divided into half based on the types of cues that the children could utilize for anaphor resolution: categorical cues and contextual cues. The children were asked to press a button as soon as they comprehended each sentence and the reading times were measured online. A verification sentence followed each discourse to confirm the children’s anaphor resolution. Results: The reading time of the sentences with an anaphor were significantly slower in the poor comprehenders compared to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read anaphor sentences with categorical cues faster than those with contextual cues. However, the poor comprehenders read anaphor sentences with contextual cues faster than those with categorical cues. Conclusion: The poor comprehenders’ performances during the online reading task indicated that they had difficulties in anaphor resolution. In addition, the poor comprehenders and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ppeared to be different in utilizing the two types of cues (categorical and contextual cues) during the process of anaphor resolu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연구방법
      • 연구결과
      • 논의 및 결론
      • REFERENCES
      • Abstract
      • 연구방법
      • 연구결과
      • 논의 및 결론
      • REFERENCES
      • 국문초록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진애, "학령기 아동이 읽기이해력 발달: 중심내용파악, 참조 및 추론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2 (12): 412-428, 2007

      2 손정진, "읽기이해부진아동의 접속부사 처리 특성: 인과적, 부가적 접속부사를 중심으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 (20): 510-517, 2015

      3 남기춘, "연결어미가 글 이해와 기억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9 (9): 51-71, 2004

      4 이재호, "설명문의 대용어 참조해결과정: 지시사 유형의 효과" 한국심리학회 28 (28): 547-569, 2009

      5 이재호, "담화글의 대명사 참조해결과정: 명명과제에 반영된 성별표지와 언급순서의 상호작용"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18 (18): 39-56, 2006

      6 Kim, K., "Vocabularies for different levels of Korean educational" Parkijung 2003

      7 Seo, J., "The realities and instructions of using anaphoric expression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5

      8 Just, M. A., "The psychology of reading and language comprehension" Allyn & Bacon 1987

      9 Jeong, M., "The predictors of poor comprehenders reading comprehension in 3 to 6 grades" Dankook University 2009

      10 Bang, H., "The contextual effects on reference resolution during text comprehension" Ewha Womans University 1990

      1 황진애, "학령기 아동이 읽기이해력 발달: 중심내용파악, 참조 및 추론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2 (12): 412-428, 2007

      2 손정진, "읽기이해부진아동의 접속부사 처리 특성: 인과적, 부가적 접속부사를 중심으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 (20): 510-517, 2015

      3 남기춘, "연결어미가 글 이해와 기억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9 (9): 51-71, 2004

      4 이재호, "설명문의 대용어 참조해결과정: 지시사 유형의 효과" 한국심리학회 28 (28): 547-569, 2009

      5 이재호, "담화글의 대명사 참조해결과정: 명명과제에 반영된 성별표지와 언급순서의 상호작용"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18 (18): 39-56, 2006

      6 Kim, K., "Vocabularies for different levels of Korean educational" Parkijung 2003

      7 Seo, J., "The realities and instructions of using anaphoric expression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5

      8 Just, M. A., "The psychology of reading and language comprehension" Allyn & Bacon 1987

      9 Jeong, M., "The predictors of poor comprehenders reading comprehension in 3 to 6 grades" Dankook University 2009

      10 Bang, H., "The contextual effects on reference resolution during text comprehension" Ewha Womans University 1990

      11 McKoon, G., "The comprehension processes and memory structures involved in anaphoric reference" 19 : 668-682, 1980

      12 Van Dijk, T. A., "Strategy of discourse" Academic Press 1983

      13 Ehrlich, M. F., "Skilled and less skilled comprehenders : French children’s processing of anaphoric devices in written texts" 15 : 291-309, 1997

      14 Oakhill, J., "Pronoun resolution in skilled and less-skilled comprehenders : effects of memory load and inferential complexity" 29 : 25-37, 1986

      15 Garnham, A., "On‐line resolution of anaphoric pronouns : effects of inference making and verb semantics" 76 : 385-393, 1985

      16 Catts, H. W., "Language and reading disabilities" Allyn & Bacon 2005

      17 Kwak, G., "Korean versio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K-WISC-III)" Special Education 2001

      18 Park, G.,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Basic Academic Achievement Test(KISE-BATT)"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2008

      19 Cain, K., "Individual differences in children’s memory and reading comprehension : an investigation of semantic and inhibitory deficits" 14 : 553-569, 2006

      20 Kim, S., "Comprehension skill and the efficiency of suppression mechanism in anaphoric reference" 4 : 66-75, 1992

      21 Halliday, M. K., "Cohesion in English" Longman 1976

      22 Cain, K., "Children’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 concurrent prediction by working memory, verbal ability, and component skills" 96 : 31-41,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등재유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13-03-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br>외국어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KCI등재
      2012-1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7-06-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6-09-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8 1.62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