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베이비부머 전후세대의 공동주택 외부환경과 건강관련 삶의 질 지표에 대한 인식 분석 = Perception of Baby boomers on Outdoor Environments of Multi-Family Housing and the Fa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734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urvey is performed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baby boomer and others about relation betwee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HRQoL) and outdoor environment. EQ-5D tool is used to figure out the human factors regarding HRQoL. Mobility and anxiety/depression factors are considered as the major factors influence HRQoL relating outdoor environment of multi-family hous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e baby boomer more feels that the green space and community space in multi-family housing(apartment) have positive effects on HRQoL while outdoor steps and stairs have negative effects. Woman and people with disorder replied that the outdoor steps and stairs lowers the HRQoL. There was a clear perception gap between the previously mentioned groups and the other groups. Consequently, it is required to design outdoor environment appropriately to improve HRQoL of occupants.
      번역하기

      The survey is performed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baby boomer and others about relation betwee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HRQoL) and outdoor environment. EQ-5D tool is used to figure out the human factors regarding HRQoL. Mobility and anxiety/...

      The survey is performed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baby boomer and others about relation betwee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HRQoL) and outdoor environment. EQ-5D tool is used to figure out the human factors regarding HRQoL. Mobility and anxiety/depression factors are considered as the major factors influence HRQoL relating outdoor environment of multi-family hous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e baby boomer more feels that the green space and community space in multi-family housing(apartment) have positive effects on HRQoL while outdoor steps and stairs have negative effects. Woman and people with disorder replied that the outdoor steps and stairs lowers the HRQoL. There was a clear perception gap between the previously mentioned groups and the other groups. Consequently, it is required to design outdoor environment appropriately to improve HRQoL of occupa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 방법
      • 3. 연구결과 및 논의
      • 4. 결론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 방법
      • 3. 연구결과 및 논의
      • 4.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창호, "지역 주거특성에 따른 주거환경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주거환경학회 15 (15): 1-11, 2017

      2 임승학, "주거환경이 거주자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연구- 환경성질환 유병률 분석 중심으로 -" 한국주거환경학회 15 (15): 101-117, 2017

      3 장수정, "주거환경의 삶의 질 향상을 고려하는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지표 제안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4 (24): 47-57, 2015

      4 배진희, "주거 관련 요인이 농촌 지역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2) : 1-25, 2012

      5 최예나, "전라북도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 개인요인과 지역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30 (30): 291-312, 2016

      6 신영일, "장년층의 부동산 투자만족도 및 재투자의도 특성에 관한 실증연구- 베이비부머 세대와 이전 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주거환경학회 16 (16): 441-462, 2018

      7 박윤진, "웰빙(Well-being)문화속의 노년기 건강관리" 한국웰니스학회 7 (7): 45-57, 2012

      8 이숙영, "스웨덴 노인보호주택을 대상으로 한 노인 건강과 삶의 질을 위한 주거환경특성연구" 한국주거학회 17 (17): 2006

      9 김지인, "도시거주 일하는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385-394, 2017

      10 이형숙, "도시 노인들의 걷기활동 참여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환경요인 분석" 한국조경학회 39 (39): 65-72, 2011

      1 정창호, "지역 주거특성에 따른 주거환경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주거환경학회 15 (15): 1-11, 2017

      2 임승학, "주거환경이 거주자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연구- 환경성질환 유병률 분석 중심으로 -" 한국주거환경학회 15 (15): 101-117, 2017

      3 장수정, "주거환경의 삶의 질 향상을 고려하는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지표 제안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4 (24): 47-57, 2015

      4 배진희, "주거 관련 요인이 농촌 지역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2) : 1-25, 2012

      5 최예나, "전라북도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 개인요인과 지역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30 (30): 291-312, 2016

      6 신영일, "장년층의 부동산 투자만족도 및 재투자의도 특성에 관한 실증연구- 베이비부머 세대와 이전 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주거환경학회 16 (16): 441-462, 2018

      7 박윤진, "웰빙(Well-being)문화속의 노년기 건강관리" 한국웰니스학회 7 (7): 45-57, 2012

      8 이숙영, "스웨덴 노인보호주택을 대상으로 한 노인 건강과 삶의 질을 위한 주거환경특성연구" 한국주거학회 17 (17): 2006

      9 김지인, "도시거주 일하는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385-394, 2017

      10 이형숙, "도시 노인들의 걷기활동 참여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환경요인 분석" 한국조경학회 39 (39): 65-72, 2011

      11 안지은, "노인의 정주성을 위한 주거환경 요구 조사 분석"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0 (10): 95-104, 2015

      12 신한나,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 주거환경 실태 분석"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1 (11): 485-493, 2011

      13 김철수,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51-73, 2009

      14 전명진, "노인의 삶의 만족도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수도권과 비수도권 거주 노인 비교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28 (28): 153-172, 2016

      15 문성미, "노인의 사회경제적 상태, 건강상태, 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259-271, 2017

      16 신동관, "노인공동주거시설의 공용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노인 여가활동 유형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6 (6): 31-41, 2011

      17 안은희, "노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거시설개발에 관한 연구- 대학연계 노인주거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9 (29): 87-94, 2013

      18 김영국, "고령사회 주거복지정책의 법적 쟁점과 개선 방안- 국민연금기금의 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40 : 79-110, 2018

      19 정성운, "건축실무자 조사를 통한 초고층 공동주택 주거환경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11-18, 2007

      20 이현수, "건강주택 관리요소 도출을 위한 기초 연구 -생활관리 매뉴얼 분석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9 (9): 73-88, 2010

      21 Lee, M. S., "Residential type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3 (3): 97-105, 1997

      22 Lee, S. C., "Remodeling Strategy of Public Rental House in Seoul" SDI 2011

      23 Oh, Y. P., "Policy recommendations for health city in Busan" 30 (30): 115-128, 2007

      24 Kwon, T. J., "Marans:Urban residents’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320 : 85-95, 2008

      25 Ha, S. K., "Housing poverty and quality of life in urban Korea" 35 (35): 295-306, 2000

      26 Chung, M., "Gender equality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comfortable saf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15 : 7-27, 2011

      27 Franz Faul,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Springer Nature 39 (39): 175-191, 2007

      28 Nam, H. S., "EQ-5D Korean Valuation Study Using Time Trade Off Method"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29 Jeong, K. H.,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aby-boomer generation" 3 (3): 5-11, 2013

      30 Jeong, K. H., "A study of policies and surveys on baby boomer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31 구혜경, "50세 이상 장년층 세대 유형별 주거선호 연구 - 베이비부머의 미래 주택 요구를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학회 27 (27): 57-84,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9-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외국어명 :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 0.37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