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파종방법에 따른 기장과 조의 생육 및 수량 = Effects of Different Sowing Methods on Growth and Yield of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and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49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ltivation techniques of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and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such as sowing, weeding, and harvesting, are often not properly utilized, resulting in low productivity rate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ultivation techniques of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and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such as sowing, weeding, and harvesting, are often not properly utilized, resulting in low productivity rate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ultivation techniques to increase millet productivity rates and reduce labor inputs. We evalu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machine sowing methods compared with manual sowing methods from 2014 to 2016. The three machine sowing methods were dibbling, drilling, and broadcasting. Compared with manual sowing, the broadcasting method decreased labor times by 16.07 and 14.23 hr 10 a-1 for proso and foxtail millets, respectively. Proso millet showed greater culm lengths at 138 and 125 cm with the broadcasting method for two years, whereas foxtail millet after three years had greater culm lengths from both the drilling and broadcasting methods. Both crops exhibited the thickest culm stems in the 3rd year. The greatest number of seeds of the panicle were from the manual sowing method in both crops. Compared with manual sowing, broadcasting increased grain yields by 15– 35% and 9.1–28% for proso and foxtail millets, respectively.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application of broadcasting in mechanical sowing will increase labor efficiency and yields of proso and foxtail mille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장과 조의 생산량과 자급률 향상을 위하여 기장과 조의 기계화에 적합한 파종방법을 알아보기 위해서 지금까지개발된 기장과 조의 기계화 파종방법에 따른 생육특성 및 수량특성을 알아...

      기장과 조의 생산량과 자급률 향상을 위하여 기장과 조의 기계화에 적합한 파종방법을 알아보기 위해서 지금까지개발된 기장과 조의 기계화 파종방법에 따른 생육특성 및 수량특성을 알아보았다. 시험처리는 인력점파, 높은이랑 기계점파, 기계산파, 넓은이랑 줄뿌림 파종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노동투입시간에서의 기장의 산파는 인력점파 대비16.07 hr 10a-1 절감되었고, 조에서도 인력점파 대비 산파에서 14.23 hr 10a-1 절감되었다. 간장은 기장에서 2 및 3년차에서 산파 처리구에서 가장 큰 138, 125 cm가 조사되었으며, 조에서는 3년 모두 줄뿌림과 산파 처리구에서 가장 큰것으로 나타났다. 간경에서는 기장과 조에서 3년 모두 가장굵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실수는 인력점파 처리구에서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량에서는 기장의 경우 대조구인인력점파 대비 산파에서 15∼32% 증수되었다. 조의 경우에서도 대조구인 인력점파 비해 산파에서 9.1∼28% 증수 되었다. 따라서 기장과 조의 기계화 파종시 산파하여 재배할 경우 노동효율 및 수량증대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수, "파종밀도가 풋콩 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 53 (53): 64-69, 2008

      2 정기열, "조 고휴점파 시 재식본수에 따른 생육 및 수량특성" 한국작물학회 61 (61): 119-123, 2016

      3 조남기, "제주 재래수수의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4 (24): 225-230, 2004

      4 황동용, "벼 담수골표면산파 재배의 파종방법 및 효과"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4 (14): 275-283, 2002

      5 박현진, "남부지방 콩 만파 재배 시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변이" 한국작물학회 60 (60): 343-348, 2015

      6 정기열, "기장의 PE 멀칭과 재식밀도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 60 (60): 212-216, 2015

      7 Young, E., "Transplanting of sorghum and pearl millet as a means of increasing food security in semiarid, low income country, Zimbabwe and Ghana, Research report" 2002

      8 MIFAFF, "Statistical Yearbook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9 Agdag, M., "Row spacing affects grain yield and other agronomic character of proso millet" 32 : 2021-2032, 2001

      10 Peacock, J. M., "Response and Tolerance of Sorghum to temperature stress" ICRISAT 2-7, 1981

      1 이승수, "파종밀도가 풋콩 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 53 (53): 64-69, 2008

      2 정기열, "조 고휴점파 시 재식본수에 따른 생육 및 수량특성" 한국작물학회 61 (61): 119-123, 2016

      3 조남기, "제주 재래수수의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4 (24): 225-230, 2004

      4 황동용, "벼 담수골표면산파 재배의 파종방법 및 효과"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4 (14): 275-283, 2002

      5 박현진, "남부지방 콩 만파 재배 시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변이" 한국작물학회 60 (60): 343-348, 2015

      6 정기열, "기장의 PE 멀칭과 재식밀도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 60 (60): 212-216, 2015

      7 Young, E., "Transplanting of sorghum and pearl millet as a means of increasing food security in semiarid, low income country, Zimbabwe and Ghana, Research report" 2002

      8 MIFAFF, "Statistical Yearbook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9 Agdag, M., "Row spacing affects grain yield and other agronomic character of proso millet" 32 : 2021-2032, 2001

      10 Peacock, J. M., "Response and Tolerance of Sorghum to temperature stress" ICRISAT 2-7, 1981

      11 Modarres, A. M., "Plant population density effects on maze inbred line grown in short" 38 : 104-108, 1998

      12 Yousif, L. A., "Performance evaluation, of different seeding machines for rainfed sorghum,Agricultural Engineeriog Annual Report" Agricultural Research Corporation 2003

      13 Back, N. H, "Optimum Seeding Rate in Different to Soil Salinity for Broadcasting on the Rice Flooded Paddy Surface at Southwestern Reclaimed Saline Land of Korea" 42 : 47-51, 2006

      14 National Research Council, "Lost Crops of Africa. Volume 1: Grains" National Academy Press 1996

      15 NCAER, "Implications of tractorization on employment, productivity and income"

      16 Balishter, V., "Impact of mechanisation on employment and farm productivity" 32 (32): 484-489, 1991

      17 Song, Y. J., "Growth and Dry Matter Production of Direct Seeding on Flooded Paddy Surface and Machine Transplanting Rice" 42 (42): 459-465, 1997

      18 Shinggu, C. P., "Effects of planting methods, sowing dates and spacing on weed and the productivity of finger millet (Eleusine corocana L. Gaertn) in the northern guinea savanna of nigeria" 1 (1): 160-162, 2012

      19 Park, K. Y., "Effects of planting density and tiller removal on growth and yield of sweet corn hybrids" 34 : 192-197, 1989

      20 Edwards, R., "Dryland Farming in Africa" Mcmillan Press Ltd 69-94, 19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9 0.9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