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나라 국화과 식물의 화기구조와 방화 곤충 연구 = Floral Characteristics of Asteraceae Flowers and Insect Pollinator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995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search for the co-relationships between insect-pollinators and the plant species of Asteraceae, insects visiting in flower and the flowers in Korea, were studied from April 2010 to October 2011. The sum of flower visiting degrees are shown 38 in Lepidoptera, 38 in Diptera, 36 in Hymenoptera, and the lowest 6 in Coleoptera, respectively. 65 insect species are identified pollinators, Hymenoptera 13 species(Apidae 11 sp., Formicidae 2 sp.), Lepidoptera 29 species(Pieridae 5sp., Nymphalidae 12 sp., Satyridae 3 sp., Hesperirdae 3 sp., Lycaenidae 2 sp., Danaidae 1 sp., Moth 2 sp.), Diptera 16 species(Tachinidae 1 sp., Syrphidae 12 sp., Muscidae 1sp., Others 2 sp.), and Coleoptera 6 species(Cetoniidae 1 sp., Cermbycidae 3 sp., Chrysomelidae 1 sp., Mordellidae 1 sp.). 31 pollinator species visits the flower of Erigeron annuus, next 15 pollinator species does the flower of Eupatorium japonicum, and then 13 pollinator species does the flower of Aster ageratoides. Only 2 pollinator species visit the flower of Tephroseris kirilowii, Ixeridium dentatum,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Carduus crispus, Ligularia fischeri, Ainsliaea acerifolia, Synurus deltoides, Cirsium setidens, Crepidiastrum enticulatum and Dendranthema boreale. Pollinators of Lepidoptera visit more frequently white flower than yellow or purple one. This study found out that mutualisic relations between plants and insect pollinators is carried out in Korea.
      번역하기

      To search for the co-relationships between insect-pollinators and the plant species of Asteraceae, insects visiting in flower and the flowers in Korea, were studied from April 2010 to October 2011. The sum of flower visiting degrees are shown 38 in L...

      To search for the co-relationships between insect-pollinators and the plant species of Asteraceae, insects visiting in flower and the flowers in Korea, were studied from April 2010 to October 2011. The sum of flower visiting degrees are shown 38 in Lepidoptera, 38 in Diptera, 36 in Hymenoptera, and the lowest 6 in Coleoptera, respectively. 65 insect species are identified pollinators, Hymenoptera 13 species(Apidae 11 sp., Formicidae 2 sp.), Lepidoptera 29 species(Pieridae 5sp., Nymphalidae 12 sp., Satyridae 3 sp., Hesperirdae 3 sp., Lycaenidae 2 sp., Danaidae 1 sp., Moth 2 sp.), Diptera 16 species(Tachinidae 1 sp., Syrphidae 12 sp., Muscidae 1sp., Others 2 sp.), and Coleoptera 6 species(Cetoniidae 1 sp., Cermbycidae 3 sp., Chrysomelidae 1 sp., Mordellidae 1 sp.). 31 pollinator species visits the flower of Erigeron annuus, next 15 pollinator species does the flower of Eupatorium japonicum, and then 13 pollinator species does the flower of Aster ageratoides. Only 2 pollinator species visit the flower of Tephroseris kirilowii, Ixeridium dentatum,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Carduus crispus, Ligularia fischeri, Ainsliaea acerifolia, Synurus deltoides, Cirsium setidens, Crepidiastrum enticulatum and Dendranthema boreale. Pollinators of Lepidoptera visit more frequently white flower than yellow or purple one. This study found out that mutualisic relations between plants and insect pollinators is carried out in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에 생육하는 국화과 식물들의 화기구조와 화분매개충의 상호관련성을 밝히고자, 2010년 4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꽃을 찾는 곤충들을 조사였으며 꽃들의 화기구조를 관찰하였다. 나비목 곤충이 38, 꽃등에과를 비롯한 파리목 곤충의 방화빈도 등급의 합이 38, 벌목 곤충들이 36의 높은 방화빈도를 보였다. 꽃무지과를 비롯한 딱정벌레목의 방화빈도 등급의 합이 6으로 가장 낮았다. 주요 화분매개충은 벌목 13종(꿀벌과 11종, 개미과 2종), 나비목 29종(배추흰나비과 5종, 네발나비과 12종, 뱀눈나비과 3종, 팔랑나비과 3종, 부전나비과 2종, 왕나비과 1종 및 나방류 2종), 파리목 16종(기생파리과 1종, 꽃등에과 12종 및 집파리과 1종), 딱정벌레목 6종(꽃무지과 2종, 하늘소과 2종, 잎벌레과 1종 및 꽃벼룩과 1종) 등 65종으로 나타났다 개망초는 방화곤충이 31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등골나물이 15종, 까실쑥부쟁이가 13종 순으로 낮아졌다. 솜방망이, 씀바귀, 금불초, 지느러미엉겅퀴, 곰취, 단풍취, 수리취, 고려엉겅퀴, 이고들빼기 및 산국은 모두 방화곤충이 2종으로 매우 적었다. 나비목 곤충들은 황색이나 자주색에 비하여 백색의 꽃에 상대적으로 높은 방화빈도를 보였다. 이 연구로 국화과 식물의 화기구조와 화분 매개 곤충 간의 상리공생적 상호관계를 어느 정도 파악하였다.
      번역하기

      우리나라에 생육하는 국화과 식물들의 화기구조와 화분매개충의 상호관련성을 밝히고자, 2010년 4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꽃을 찾는 곤충들을 조사였으며 꽃들의 화기구조를 관찰하였다. 나비...

      우리나라에 생육하는 국화과 식물들의 화기구조와 화분매개충의 상호관련성을 밝히고자, 2010년 4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꽃을 찾는 곤충들을 조사였으며 꽃들의 화기구조를 관찰하였다. 나비목 곤충이 38, 꽃등에과를 비롯한 파리목 곤충의 방화빈도 등급의 합이 38, 벌목 곤충들이 36의 높은 방화빈도를 보였다. 꽃무지과를 비롯한 딱정벌레목의 방화빈도 등급의 합이 6으로 가장 낮았다. 주요 화분매개충은 벌목 13종(꿀벌과 11종, 개미과 2종), 나비목 29종(배추흰나비과 5종, 네발나비과 12종, 뱀눈나비과 3종, 팔랑나비과 3종, 부전나비과 2종, 왕나비과 1종 및 나방류 2종), 파리목 16종(기생파리과 1종, 꽃등에과 12종 및 집파리과 1종), 딱정벌레목 6종(꽃무지과 2종, 하늘소과 2종, 잎벌레과 1종 및 꽃벼룩과 1종) 등 65종으로 나타났다 개망초는 방화곤충이 31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등골나물이 15종, 까실쑥부쟁이가 13종 순으로 낮아졌다. 솜방망이, 씀바귀, 금불초, 지느러미엉겅퀴, 곰취, 단풍취, 수리취, 고려엉겅퀴, 이고들빼기 및 산국은 모두 방화곤충이 2종으로 매우 적었다. 나비목 곤충들은 황색이나 자주색에 비하여 백색의 꽃에 상대적으로 높은 방화빈도를 보였다. 이 연구로 국화과 식물의 화기구조와 화분 매개 곤충 간의 상리공생적 상호관계를 어느 정도 파악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용수, "뒤영벌류(Bombus terrestris와 Bombus ignitus)에서 꿀벌바이러스 진단" 한국양봉학회 25 (25): 259-266, 2010

      2 최용수, "국내 꿀벌에서의 Sacbrood Virus (SBV) 진단" 한국양봉학회 23 (23): 103-109, 2008

      3 Huang, S.-Q., "Variation of pollination and resource limitation in a low seed-set tree, Liriodendron chinense( Magnoliaceae)" 140 : 31-38, 2002

      4 Allen-Wardell, G., "The potential consequences of pollinator declines on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and stability of food crop yields" 12 (12): 8-17, 1998

      5 National Research Council, "Status of Pollinators in North America"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307-, 2007

      6 Alexandersson, R., "Pollinator-mediated selection on flower-tube length in a hawkmoth-pollinated Gladiolus (Iridaceae)" 269 : 631-636, 2002

      7 Schemske, D.W, "Pollinator preference and the evolution of floral traits in monkeyflowers( Mimulus)" 96 (96): 11910-11915, 1999

      8 Steffan-Dewenter, I., "Pollinator diversity and crop pollination services are at risk" 121 : 432-440, 2005

      9 Yumoto, T., "Pollination systems in the cool temperate mixed coniferous and broad-leaved forest zone of Yakushima island" 3 : 117-129, 1988

      10 Calzoni, G.L., "Insect controlled pollination in Japanese plum(Prunus salicina Lindl.)" 72 : 227-237, 1998

      1 최용수, "뒤영벌류(Bombus terrestris와 Bombus ignitus)에서 꿀벌바이러스 진단" 한국양봉학회 25 (25): 259-266, 2010

      2 최용수, "국내 꿀벌에서의 Sacbrood Virus (SBV) 진단" 한국양봉학회 23 (23): 103-109, 2008

      3 Huang, S.-Q., "Variation of pollination and resource limitation in a low seed-set tree, Liriodendron chinense( Magnoliaceae)" 140 : 31-38, 2002

      4 Allen-Wardell, G., "The potential consequences of pollinator declines on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and stability of food crop yields" 12 (12): 8-17, 1998

      5 National Research Council, "Status of Pollinators in North America"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307-, 2007

      6 Alexandersson, R., "Pollinator-mediated selection on flower-tube length in a hawkmoth-pollinated Gladiolus (Iridaceae)" 269 : 631-636, 2002

      7 Schemske, D.W, "Pollinator preference and the evolution of floral traits in monkeyflowers( Mimulus)" 96 (96): 11910-11915, 1999

      8 Steffan-Dewenter, I., "Pollinator diversity and crop pollination services are at risk" 121 : 432-440, 2005

      9 Yumoto, T., "Pollination systems in the cool temperate mixed coniferous and broad-leaved forest zone of Yakushima island" 3 : 117-129, 1988

      10 Calzoni, G.L., "Insect controlled pollination in Japanese plum(Prunus salicina Lindl.)" 72 : 227-237, 1998

      11 Park, K.T., "Insect Resources - Entomology" Academy Book 34-36, 2001

      12 Schowalter, T.D., "Insect Ecology; An Ecosystem Approach.2nd ed" Academic Press 572-, 2006

      13 Hirayama, K., "Effects of pollen shortage and self-pollination on seed production of an endangered tree, Magnolia stellata" 95 : 1009-1015, 2005

      14 Steffan-Dewenter, I., "Effects of habitat isolation on pollinator communities and seed set" 121 : 432-440, 1999

      15 Gŏmez, J.M., "Effectiveness of ants as pollinators of Lobularia maritima: effects on main sequential fitness components of the host plant" 122 : 90-97, 2000

      16 Mader, E., "Attracting Native Pollinators" Storey Publishing 371-,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8 0.77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