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has estimated Gyeongju National Park's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al relic value in the same way and then been performed to c 1 접수 2012년 1월 30일, 수정(1차: 2012년 2월 28일, 2차: 2012년 3월 30일), 게재확정 201...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899515
201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73-282(10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estimated Gyeongju National Park's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al relic value in the same way and then been performed to c 1 접수 2012년 1월 30일, 수정(1차: 2012년 2월 28일, 2차: 2012년 3월 30일), 게재확정 201...
This study has estimated Gyeongju National Park's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al relic value in the same way and then been performed to c
1 접수 2012년 1월 30일, 수정(1차: 2012년 2월 28일, 2차: 2012년 3월 30일), 게재확정 2012년 3월 31일Received 30 January 2012; Revised(1st: 28 February 2012, 2nd: 30 March 2012); Accepted 31 March 20122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Kyungpook Nat'l Univ., Daegu(702-701), Korea 3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Miryang(627-706), Korea a 이 논문은 2012 한국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의 발표논문을 수정 보완한 것임.
*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kr4yn@naver.com)ompare the size of the value. Representative method to measure environmental property is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CVM. The variables and estimated models adopted for the calculation were same and the respondents were asked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 amount which they would pay to preserve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at which they were willing to pay to preserve the cultural relics. As the result, WTP(Willing to pay), the amount that they were willing to pay to preserve the natural environment of Gyeongju National Park was 17,838 won per person and that to preserve the cultural relics appeared to be 316,248 won per person. Based on this, it was estimated that the value of the natural environment with which Gyeongju National Park provided annual visitors was 47 billion won and that the annual value of the cultural relics was 845.7 billion. I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cultural relics value elements are united,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al relic value got at the time of people's first visit to Gyeongju National Park is 334,086 won and that the annual value is 893.4 billion won. In this study, the value of the cultural relics has been estimated 18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natural environment. This reason was that visitors judged that a total of 66 cultural properties including 11 national treasures, 23 treasures, 13 historic places, one historic sites and scenic spot and 18 local cultural properties ,etc. which were distributed in Gyeongju National Park were worth far more than the natural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operating management plan of Gyeongju National Park should include a differentiated operation strategy through consultation with relevant experts by taking into account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components.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적지형 경주국립공원의 자연환경 가치와 문화유적의 가치를 동일한 방식으로 추정하여 그 크기를 비교해 보고자 수행 되었다. 각각의 가치 추정방식은 환경재의 가치추정방법...
본 연구는 사적지형 경주국립공원의 자연환경 가치와 문화유적의 가치를 동일한 방식으로 추정하여 그 크기를 비교해 보고자 수행 되었다. 각각의 가치 추정방식은 환경재의 가치추정방법으로 널리 알려진 CVM 기법을 이용하였다. 투입된 변수와 추정모형은 동일하며 응답자에게 자연환경을 보존하는데 지불할 금액과 문화유적을 보존하는데 지불할 의사액을 구분하여 질문하였다. 그 결과 경주국립공원의 자연환경을 보전하는데 지불할 의사액 WTP는 1인당 17,838원으로 추정되었으며 문화유적을 보전하는데 지불할 의사액 WTP는 1인당 316,248원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경주국립공원이 연간 방문객에게 제공하는 자연환경의 가치는 470억원, 문화유적의 연간 가치는 8,457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두 가지 가치요소를 합하면 경주국립공원 1회 방문 시 얻는 자연환경과 문화유적의 가치는 334,086원, 연간 가치는 8,934억 원으로 추산 할 수 있으며 문화유적의 가치가 자연환경의 가치보다 18배가량 높게 추정되었다. 이러한 이유는 경주국립공원에 분포하고 있는 국보 11점, 보물 23점, 사적 13개소, 사적 및 명승 1개소, 지방문화재 18개소 등 총 66건으로 보유한 문화재가 자연환경의 가치보다 월등히 높다고 응답자들은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경주국립공원의 운영관리계획은 물리적 구성요소의 특성을 감안하여 관련전문가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차별화된 운영전략을 마련해야할 것으로 판단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강기래,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자연휴양림 휴양가치 측정" 한국조경학회 37 (37): 42-52, 2009
2 표희동,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안면도 갯벌의 생태관광에 대한 경제적 가치추정" 한국해양연구원 26 (26): 77-86, 2004
3 곽소윤,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생태체육공원 조성의 경제적 편익 추정" 한국재정정책학회 10 (10): 257-276, 2008
4 채수복, "조건부 가치추정법을 이용한 단수상황 회피의 경제적 가치 추정 연구" 서울연구원 12 (12): 141-153, 2011
5 강기래, "자연휴양림 보존가치 측정을 위한 조건부가치측정법(CVM) 추정액 비교" 한국조경학회 38 (38): 25-36, 2010
6 변일용, "울산의 역사문화자원 이용 특성 및 가치평가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 10 (10): 69-78, 2007
7 강기래, "가상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한 경남수목원의 환경가치추정 연구" 한국조경학회 39 (39): 46-55, 2011
8 Hanemann, W.M., "Welfare Evaluation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s" 6 (6): 332-341, 1984
9 Navrud, S, "Valuing Cultural Heritage" Edward Elgar 2002
10 Davis, R.K., "The Value of Outdoor Recreation: An Economic Study of the Maine Woods" Harvard University 1963
1 강기래,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자연휴양림 휴양가치 측정" 한국조경학회 37 (37): 42-52, 2009
2 표희동,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안면도 갯벌의 생태관광에 대한 경제적 가치추정" 한국해양연구원 26 (26): 77-86, 2004
3 곽소윤,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생태체육공원 조성의 경제적 편익 추정" 한국재정정책학회 10 (10): 257-276, 2008
4 채수복, "조건부 가치추정법을 이용한 단수상황 회피의 경제적 가치 추정 연구" 서울연구원 12 (12): 141-153, 2011
5 강기래, "자연휴양림 보존가치 측정을 위한 조건부가치측정법(CVM) 추정액 비교" 한국조경학회 38 (38): 25-36, 2010
6 변일용, "울산의 역사문화자원 이용 특성 및 가치평가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 10 (10): 69-78, 2007
7 강기래, "가상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한 경남수목원의 환경가치추정 연구" 한국조경학회 39 (39): 46-55, 2011
8 Hanemann, W.M., "Welfare Evaluation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s" 6 (6): 332-341, 1984
9 Navrud, S, "Valuing Cultural Heritage" Edward Elgar 2002
10 Davis, R.K., "The Value of Outdoor Recreation: An Economic Study of the Maine Woods" Harvard University 1963
11 Arrow, K, "Report of the NOAA Panel on Contingent Valuation"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U.S. Department of Commerce 1993
12 McConnellm, K.E., "Models for Referendum Data : The Structure of Discrete Choice Models for Contingent Valuation" 18 : 19-34, 1990
13 Cameron, T. A., "Efficient estimation methods for closed-ended contingent valuation surveys" 69 : 269-276, 1987
14 Santagata, W., "Contingent Valuation of a Cultural public Good and Policy Design: The Case of Napoli Musei Aperti" 24 (24): 181-204, 2000
15 Sanz, J., "Contingent Valuation and Semiparametric Methods: A case study of the National Museum of Sculpture in Valladolid, Spain" 27 (27): 241-257, 2003
16 Ciraicy-Wantrup, S.V., "Capital returns from soil-conservation practicies" 29 : 1181-1196, 1947
17 정민섭, "CVM을 이용한 근대문화유산의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인천 최초사 박물관의 건립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17 (17): 175-195, 2008
18 김학용, "CVM을 이용한 水原 華城의 이용가치 평가" 한국관광학회 27 (27): 157-172, 2003
설악산국립공원 오색계곡 관속식물의 고도별 온도구배에 따른 수직분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1 | 0.61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8 | 0.773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