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유튜브(YouTube) 시대'라고 불릴 만큼 유튜브가 우리 사회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유튜브는 뉴스, 음악, 쇼핑, 영화, 라이브 커머스 등 다양한 분야로 영역을 확장하며 시장 점유율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75761
서울 : 고려대학교 미디어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미디어대학원 , 광고PR전공 , 2024. 8
2024
한국어
서울
ⅵ, 56p ; 26 cm
지도교수: 신혜린
I804:11009-00000028787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금은 '유튜브(YouTube) 시대'라고 불릴 만큼 유튜브가 우리 사회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유튜브는 뉴스, 음악, 쇼핑, 영화, 라이브 커머스 등 다양한 분야로 영역을 확장하며 시장 점유율을...
지금은 '유튜브(YouTube) 시대'라고 불릴 만큼 유튜브가 우리 사회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유튜브는 뉴스, 음악, 쇼핑, 영화, 라이브 커머스 등 다양한 분야로 영역을 확장하며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올해 2월, 모바일인덱스 통계에 따르면 유튜브는 2024년 1월 한 달을 기준으로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4,547만 명을 기록하며 카카오톡(4,525만명)을 제치고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월 한 달간 유튜브는 국내 총 사용 시간이 약 19억5,000만 시간으로 사용량에서도 2위 카카오톡 보다 3배, 3위 네이버보다 5배에 달하는 이용 수치를 보였다. 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23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에서도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OTT 서비스의 경우 10명 중 8명이 1순위로 유튜브를 꼽았다. 이처럼 유튜브 사용이 일상 속 곳곳에 스며든 상황에서 유소년들의 유튜브 사용경험과 교육 현장에서 직접 지도하고 있는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유튜브 활용과 지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유소년 3명과 같은 지역에 근무하는 초등교사 3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소년들이 유튜브를 사용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보상과 휴식’이었다. 다양한 정보와 오락을 통해 휴식을 즐기면서도 취미, 학습, 또래 관계 등 자신의 상황에 맞춰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교육 현장에서는 정규교육 과정의 동기부여와 흥미 유발을 위해 유튜브를 활용하고 있으나 검증되지 않은 콘텐츠의 유해성, 폭력성과 같은 유튜브의 이면적 특성에 대해 우려도 있었다. 동시에 정규 교과 외에도 학습, 취미, 진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소년들이 새로운 배움의 기회를 탐색하고 있었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현실을 드러내며 체계적인 법적 기반과 실효성 있는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본 연구는 소수의 사례를 수집했다는 한계는 있지만, 성장에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는 유소년 시기의 유튜브 사용 탐색을 통해 그들의 유튜브 사용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 교육 뿐만 아니라 가정과 지역 사회, 국가 차원에서 유튜브 및 소셜미디어 관련 교육과 관리 방안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