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젠 스타일 컬러 시스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lor Scheme for Zen Style in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619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Zen Style became one of the worldwide leading styles along with naturalism since the 1990’s. ‘Zen’ is a cultural and art movement influenced many art forms: architecture, interior design, drawing, graphics, industrial design, installation art, and also music. As a result, there are thousands of products made, and being made.
      Even with these spotlights. Zen Style’s design expressions are mostly subjective which failed to gain formative empathy: this lead to chaos in methods of Zen Style expression. The color expression of Zen Style is especially important in formative element, but so far, it only depended on the designer’s personal expression. Also, the research are shows only generic guidelines, which is not enough newer artworks; it has neither objective nor logical coloring syste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ress an intrinsic color system that Zen Style signifies and aims to apply.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llected representative works of Zen along with the methods found in previous study, a research on the formative elements of Zen. To evaluate and verify color derivation, the each element for formative empathy of selected Zen Style images based on standard Korean color analysis tool to examine the color and built a database. Based on that, the empirical analysis based on statistical process established Zen Style color system. In addition,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es and utilization of the results is also presen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Zen Style's color system can be used as an objective tool for art designers and creators who had been using a subjective sense of Zen Style
      번역하기

      Zen Style became one of the worldwide leading styles along with naturalism since the 1990’s. ‘Zen’ is a cultural and art movement influenced many art forms: architecture, interior design, drawing, graphics, industrial design, installation art, a...

      Zen Style became one of the worldwide leading styles along with naturalism since the 1990’s. ‘Zen’ is a cultural and art movement influenced many art forms: architecture, interior design, drawing, graphics, industrial design, installation art, and also music. As a result, there are thousands of products made, and being made.
      Even with these spotlights. Zen Style’s design expressions are mostly subjective which failed to gain formative empathy: this lead to chaos in methods of Zen Style expression. The color expression of Zen Style is especially important in formative element, but so far, it only depended on the designer’s personal expression. Also, the research are shows only generic guidelines, which is not enough newer artworks; it has neither objective nor logical coloring syste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ress an intrinsic color system that Zen Style signifies and aims to apply.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llected representative works of Zen along with the methods found in previous study, a research on the formative elements of Zen. To evaluate and verify color derivation, the each element for formative empathy of selected Zen Style images based on standard Korean color analysis tool to examine the color and built a database. Based on that, the empirical analysis based on statistical process established Zen Style color system. In addition,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es and utilization of the results is also presen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Zen Style's color system can be used as an objective tool for art designers and creators who had been using a subjective sense of Zen Sty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젠 스타일은 1990년대 이후 자연주의 흐름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끌고 있는 스타일 중 하나이다. 젠(zen)이란 문화 예술 사조는 건축, 인테리어, 회화, 그래픽, 산업디자인, 설치미술, 젠 음악(zen music)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으며 관련 제품 및 아이템도 수천여가지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젠 스타일의 디자인적 표현은 대부분 주관적이며 개인의 감성 중심으로 흘러 조형 공감성을 갖는 표현 방법에 많은 혼란이 대두되어 왔다. 특히 젠 스타일의 컬러 표현은 중요한 조형적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디자이너의 개인적인 감각에만 의존하고 있다. 또한 이에 대한 연구 결과도 대부분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뿐 디자인 작업시 구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컬러 시스템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젠 스타일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고유의 새로운 컬러 시스템을 도출하고 디자인 및 창작물에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논문은 젠 스타일의 조형적 요소인 형태 연구의 후속 연구로 선행 연구의 결과를 통해 수집된 젠 스타일을 대표하는 작품 및 이미지들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본 논문에서는 컬러 도출을 위해 조형적 공감요소 평가․검증을 통해 선정된 젠 스타일 이미지들을 중심으로 한국 표준 색채 분석 도구를 이용하여 컬러를 분석하고 컬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으며 이를 토대로 실증분석에 의한 통계 처리를 통해 젠 스타일 컬러 시스템을 정립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젠 스타일 컬러들의 속성간 상관관계 및 특성을 분석하고 결과에 대한 활용방안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젠 스타일을 상징하는 컬러 시스템은 디자이너의 개인적인 감각에만 의존하던 기존의 젠 스타일 컬러 문제를 객관적으로 풀어가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번역하기

      젠 스타일은 1990년대 이후 자연주의 흐름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끌고 있는 스타일 중 하나이다. 젠(zen)이란 문화 예술 사조는 건축, 인테리어, 회화, 그래픽, 산업디자인, 설치미술, 젠...

      젠 스타일은 1990년대 이후 자연주의 흐름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끌고 있는 스타일 중 하나이다. 젠(zen)이란 문화 예술 사조는 건축, 인테리어, 회화, 그래픽, 산업디자인, 설치미술, 젠 음악(zen music)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으며 관련 제품 및 아이템도 수천여가지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젠 스타일의 디자인적 표현은 대부분 주관적이며 개인의 감성 중심으로 흘러 조형 공감성을 갖는 표현 방법에 많은 혼란이 대두되어 왔다. 특히 젠 스타일의 컬러 표현은 중요한 조형적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디자이너의 개인적인 감각에만 의존하고 있다. 또한 이에 대한 연구 결과도 대부분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뿐 디자인 작업시 구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컬러 시스템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젠 스타일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고유의 새로운 컬러 시스템을 도출하고 디자인 및 창작물에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논문은 젠 스타일의 조형적 요소인 형태 연구의 후속 연구로 선행 연구의 결과를 통해 수집된 젠 스타일을 대표하는 작품 및 이미지들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본 논문에서는 컬러 도출을 위해 조형적 공감요소 평가․검증을 통해 선정된 젠 스타일 이미지들을 중심으로 한국 표준 색채 분석 도구를 이용하여 컬러를 분석하고 컬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으며 이를 토대로 실증분석에 의한 통계 처리를 통해 젠 스타일 컬러 시스템을 정립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젠 스타일 컬러들의 속성간 상관관계 및 특성을 분석하고 결과에 대한 활용방안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젠 스타일을 상징하는 컬러 시스템은 디자이너의 개인적인 감각에만 의존하던 기존의 젠 스타일 컬러 문제를 객관적으로 풀어가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정미, "현대패션에 나타난 젠 양식에 관한 연구" 50 : 한국복식학회-, 2000

      2 가마다 시게오, "현대를 살아가는 길" 대원정사 1992

      3 이정후, "현대 일본 복식에 나타난 신미학적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21 (21): 1997

      4 쓰지 노부오, "일본미술 이해의 길잡이" 시공사 1996

      5 김한응, "선사상에 의한 Zen Style의 조형적 공감성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6 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색동코리아"

      7 Suzuki Disetz T., "Zen and Japanese ciltu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9

      8 Leatrice Eiseman, "Panton, The 20th Century in color" 2011

      9 Shigenobu Kobayashi, "Colorist:A Practical Handbook for Personal and Professional Use"

      1 조정미, "현대패션에 나타난 젠 양식에 관한 연구" 50 : 한국복식학회-, 2000

      2 가마다 시게오, "현대를 살아가는 길" 대원정사 1992

      3 이정후, "현대 일본 복식에 나타난 신미학적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21 (21): 1997

      4 쓰지 노부오, "일본미술 이해의 길잡이" 시공사 1996

      5 김한응, "선사상에 의한 Zen Style의 조형적 공감성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6 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색동코리아"

      7 Suzuki Disetz T., "Zen and Japanese ciltu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9

      8 Leatrice Eiseman, "Panton, The 20th Century in color" 2011

      9 Shigenobu Kobayashi, "Colorist:A Practical Handbook for Personal and Professional Us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32 0.5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