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페로동화의 기독교적 정체성 연구 = Etude Sur La Nature Chretienne Des Contes De Charles Perraul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912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훈이 첨가된 옛이야기』로 1697년에 출판된 페로동화는 민중문화와 기독교문화의 만남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페로동화는 기독교적 동화로의 정체성이 논의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페...

      『교훈이 첨가된 옛이야기』로 1697년에 출판된 페로동화는 민중문화와 기독교문화의 만남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페로동화는 기독교적 동화로의 정체성이 논의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페로동화의 기독교적 정체성을 인물중심으로 해석해본 시도이다. 사용된 기본 도구는 기독교 진리의 기본 계명인 사랑, 구체적으로는 마가복음 l2장 30절의 말씀, 즉 마음과 혼과 정신과 힘을 다하여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라는 말씀과 인간의 제자리는 사랑의 자리라는 성 아우구스티누스의『고백론』에 나타난〈제자리 사랑론〉이다. 분석결과 작중 인물들은 이야기 시작에서는 모두 제자리의 사랑 안에 있지 못한 불안한 상태의 인물이다. 그러나 은총으로 선택된 주인공들은 (기독교화된)요정의 명령이나 예언에 순종하여 마음과 혼과 정신이 건강하게 제자리를 찾아가도록 변화하는 인물이고 적대자들은 딴자리를 제자리로 삼아 변함없이 욕망이나 사망의 길로 간 인물들이다. 페로동화는 교육적 가치가 큰 기독교적 진리를 나타내기에 모두에게 생명의 양식이 된다. 그러나 아우구스티누스도 언급하였듯이 성경이 단단한 밥이라면 동화는 우유이고 당의정이다. 그러므로 동화 속 인물들은 아직 참 진리를 소화할 수 없는 어린 인물들이라 동화속 진리는 영적어린이를 위한 우유나 당의정 같은 것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동화나라 역시 참왕국의 모형이기에 동화에서의 제자리란 아직은 최고의 진리와 영원한 행복에 다다른 제자리가 아니라 영생의 제자리 사랑의 길로 들어선 시작이라는 뜻이 된다. 동화세계는 이처럼 보이지 않는 참 진리의 세계를 상상의 모형으로 보여주는 나라이기에 잠시 머물러야 하는 세계이다. 그렇지만 페로동화를 기독교화된 옛이야기이자 옛이야기화한 진리의 이야기로 행복을 선사하는 복음의 전도서로 인식한다면 페로동화는 20세기에 나타난 판타지동화의 그림자나라와 기독교문화의 맥을 이으며 옛부터 전수되었고 영원히 전수되어야 할 진리로서의 생명력을 이어갈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istoires Ou Contes Du Temps Passe, Avec Des Moralites est un recueil de contes ecrits par Charles Perrault et publies en 1697. Ils illustrent la rencontre de la culture chretienne avec les traditions populaires de l`epoque. Toutefois, il n`existe que...

      Histoires Ou Contes Du Temps Passe, Avec Des Moralites est un recueil de contes ecrits par Charles Perrault et publies en 1697. Ils illustrent la rencontre de la culture chretienne avec les traditions populaires de l`epoque. Toutefois, il n`existe que tres peu d`articles traitant de la dimension chretienne des contes de Perrault. Nous proposons donc, a travers la presente etude, de revisiter cette uvre dans une perspective chretienne. Pour cela, nous decrivons et nous analysons les caracteristiques des personnages principaux en nous appuyant sur deux references theoriques: Les Confessions d`Augustin Hippone(dit <<Saint Augustin>>), et l`Evangile selon Marc Chapitre 12, verset 30: "Tu aimeras le Seigneur, ton Dieu, de tout ton coeur, de toute ton ame, de toute ta pensee, et de toute ta force." Dans Les Confessions, ce sont les themes de l`appartenance(<<`etre a son lieu propre>> vs <<ne pas etre a sa placev>> et du repos qui retiennent notre attention. Pour Saint Augustin, l`etre ne peut trouver le repos que lorsque qu`il se trouve a l`endroit ou il appartient. Il explique cela par le besoin de se retrouver en Dieu. En effet, le cur des hommes, charge de leur amour, tend naturellement vers Dieu. Les contes de fees traitent de la quete de l`amour et de la richesse, et surtout du chemin metaphorique qui permet de sortir de la foret afin de retrouver la securite et la quietude du foyer. Dans les contes de Perrault, les personnages sont en general deconnectes de leurs racines au debut de chaque recit. Seuls les personnages capables de controler leur coeur et leurs emotions peuvent trouver le lieu qui leur est propre et par consequent le bonheur et le repos. A l`oppose, les personnages incapables de faire la preuve de la noblesse de leur coeur et de leurs sentiments sont condamnes a errer dans des lieux ou ils n`ont pas leur place. Ils font alors l`experience d`une vie miserable, voire de la mort. Comme l`ecrit Perrault dans sa `Preface` des Histoires Ou Contes Du Temps Passe, Avec Des Moralites, "Partout la vertu y est recompensee, et partout le vice y est puni." La portee spirituelle et la visee educative contenues dans les contes de Perrault se rejoignent pour former la moralite, issue des preceptes du christianisme, tandis que la finesse de l`ecriture et l`intensite de la narration captivent le public, aussi bien les enfants que les adultes. Reconnaitre la dimension chretienne des contes de Perrault et s`en inspirer pour guider sa vie assure le lecteur d`une existence en accord avec les principes de la Bib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프라임 주석성경 개정 4판" 대한기독교서회 2009

      2 한용택, "페로의 텍스트에서의 환상과 사실" 동화와번역연구소 (12) : 321-347, 2006

      3 한용택, "페로의 옛이야기의 서술특성과 동화서사" 동화와번역연구소 (16) : 333-364, 2008

      4 박임전, "페로의 고양이 선생 연구" (4) : 2002

      5 김정란, "페로와 안데르센의 동화관" 동화와번역연구소 (18) : 73-104, 2009

      6 한용택, "페로에서 바르톡까지, 동화콘텐츠로서 b>른 수염’모티프 읽기" 동화와번역연구소 (17) : 385-422, 2009

      7 송태현, "톨킨, 루이스, 롤링의 환상세계와 기독교 판타지" 살림 2003

      8 고혜영, "요정 모르간(Morgane la Fée) 연구" 동화와번역연구소 (19) : 13-36, 2010

      9 송영규, "쌍드리옹 一考" (7) : 2004

      10 박임전, "세규르 백작 부인의 아동 소설 모범 소녀들 에 나타난 여성 교육의 지향" 동화와번역연구소 (19) : 147-168, 2010

      1 "프라임 주석성경 개정 4판" 대한기독교서회 2009

      2 한용택, "페로의 텍스트에서의 환상과 사실" 동화와번역연구소 (12) : 321-347, 2006

      3 한용택, "페로의 옛이야기의 서술특성과 동화서사" 동화와번역연구소 (16) : 333-364, 2008

      4 박임전, "페로의 고양이 선생 연구" (4) : 2002

      5 김정란, "페로와 안데르센의 동화관" 동화와번역연구소 (18) : 73-104, 2009

      6 한용택, "페로에서 바르톡까지, 동화콘텐츠로서 b>른 수염’모티프 읽기" 동화와번역연구소 (17) : 385-422, 2009

      7 송태현, "톨킨, 루이스, 롤링의 환상세계와 기독교 판타지" 살림 2003

      8 고혜영, "요정 모르간(Morgane la Fée) 연구" 동화와번역연구소 (19) : 13-36, 2010

      9 송영규, "쌍드리옹 一考" (7) : 2004

      10 박임전, "세규르 백작 부인의 아동 소설 모범 소녀들 에 나타난 여성 교육의 지향" 동화와번역연구소 (19) : 147-168, 2010

      11 선한용, "성어거스틴의 고백록" 2010

      12 이혜림, "성경과 함께 읽는 기독교 역사 100" 도마의 길 2010

      13 김정란, "설화의 동화화에 대한 연구⑵ -뻬로의 ‘잠자는 숲속의 미녀’" (3) : 2002

      14 김정란, "설화의 동화화에 대한 연구⑴ -뻬로의 ‘빨강모자’" (1) : 2001

      15 박임전, "샤를르 뻬로의 도가머리 리께에서의 주도권의 문제" 동화와번역연구소 (12) : 85-105, 2006

      16 박임전, "샤를르 뻬로의 고수머리 리께를 통해 본 사랑의 조건" 동화와번역연구소 (10) : 209-230, 2005

      17 고혜영, "샤를르 뻬로 연구 - 콩트와 순진한 모랄-" 동화와번역연구소 (11) : 37-62, 2006

      18 한용택, "뻬로의 텍스트에서의 화자의 문제" (8) : 2004

      19 박임전, "뻬로의 동화 ‘푸른수염’ 연구" (5) : 2003

      20 박임전, "뻬로의 동화 ‘꼬마엄지’에서의 권력의 문제" 2004

      21 김정란, "뻬로의 도가머리 리케 Riquet la Houppe는 왜 창작일까?" 동화와번역연구소 (10) : 179-208, 2005

      22 김정란, "뻬로의 ‘요정들’에 대한 소고- 요정들은 왜 복수인가?" (7) : 2004

      23 김정란, "뻬로의 ‘상드리용 또는 작은유리구두’ 연구" (5) : 2003

      24 김정란, "동화의 탄생조건과 정체성 연구 - 페로의 콩트들Contes을 중심으로 -" 동화와번역연구소 (14) : 41-69, 2007

      25 송영규, "동화의 전파에 대하여" (1) : 2001

      26 한용택, "동화, 콘텐츠를 만나다" 상상문화박물과 2010

      27 김정란, "공인(公人)이었던 저자의 관점으로 본 페로동화 - 「도가머리 리케」(Riquet à la Houppe)를 중심으로 -" 동화와번역연구소 (16) : 105-135, 2008

      28 김경온, "고양이 선생과 10편의 옛이야기" 논장 2001

      29 고혜영, "『멜뤼진 로망(Roman de Mélusine)』연구 - ‘행복하지 않은 결말’을 중심으로 -" 동화와번역연구소 (16) : 15-44, 2008

      30 SORIANO, Marc, "les contes de Perrault, Cultrue sanvante et traditions populaires" pour la préface 1977

      31 SAINTYVES, P., "contes de Perrault et les récits parallèles" Laffont 1987

      32 LEWIS, C.S., "Till we have faces, A Myth Retold" Harcourt, Inc. 1984

      33 COURTÉS, J., "Sémiotique narrative et discursive" Hachette 1976

      34 SIMONSEN, Michèle, "Perrault Contes, Etudes Littéraires" PUF 1992

      35 LA SAINTE BIBLE, "Les éditions du cerf" Paris 1972

      36 SAINTE-BEUVE, "La vie de Lettres, Le siècle de Versaille, Antholgie, Charles Perrault" des Sciences et des Arts 1992

      37 MIQUEL, Pierre, "Histoire de la France" Fayard 1976

      38 "GOD’s WORD" World Publishing 1995

      39 ROUGER, Gilbert, "Contes de Perrault" Garnier Frères 1967

      40 SORIANO, Marc, "Charles Perrault, Contes, textes établis et présentés par Marc Soriano" Flammarion 1989

      41 M. SKUTELLA, "AUGUSTIN, Bibliothèque Augustinienne publiée sous le direction des Études Augustinienne OEUVREES DE SAINT AUGUSTIN, 13, Deuxième série: Dieu et son oeuvre LES CONFESSIONS livres Ⅰ-Ⅶ Texte de l’édition de. in: Études Augustiennes, 1992.; Livres Ⅷ-ⅩⅢ, 14, Études Augustiniennes Études Augustiennes,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11-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Fairy Tales and Translation -> Children’s Literature and Translation KCI등재
      2014-11-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Fairy Tales and Translation Research Institute -> Children's Literature and Translation Research Institure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Fairy Tales and Transl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4-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Fairy tale and Traslation's Institute -> Fairy Tales and Translation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37 0.642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