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하산동층의 범람원 호수층에서 풍부하게 산출되는 생흔화석 Diplocraterion luniforme의 공간분포 양상을6개의 쿼드라트(quadrat)에서 T-스궤어 샘플링(T-square sampling)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E685186
1997년
English
450.000
한국연구재단(NRF)
1-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진주 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하산동층의 범람원 호수층에서 풍부하게 산출되는 생흔화석 Diplocraterion luniforme의 공간분포 양상을6개의 쿼드라트(quadrat)에서 T-스궤어 샘플링(T-square sampling)과...
진주 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하산동층의 범람원 호수층에서 풍부하게 산출되는 생흔화석 Diplocraterion luniforme의 공간분포 양상을6개의 쿼드라트(quadrat)에서 T-스궤어 샘플링(T-square sampling)과정을 통한 거리 측정 방법에 의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난수표를 통한 점과 가장 가까운 개체와의 거리의 제곱에 대한 기대값과 이 개체로부터 "T"의 위에 있는 가장 가까운 인접 개체의 거리의 제곱에 대한 기대값의 1/2과의 비율과 공간분포 양상지수는 Duplocraterion luniforme의 군집이 5개의 쿼드라트에서 군생의 분포 양상을 나타내고 1개의 쿼드라트에서 무질서한 분포 양상을 지시하였다 범람원 호수 환경의 저층의 상태는 Duplocraterion luniforme를 형성한 것으로 생각되는 부유물 섭취 생물의 공간분포 양상을 지배하는 요인 중의 하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체로 평탄하지 않은 얕은 호수 저층의 공기 중 노출로 형성된 비균질적으로 견고한 저층의 상태가 대부분 군생을 이루는 생흔 화석의 공간 분포 양상을 이루게 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