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황석영의『무기의 그늘』에 나타난 제국의 표상 연구 ―­주요 등장인물의 세계인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representation of empire in The Shadow of Arms by Hwang Sok-yong ­ ―Mainly concerns the world recognization of the main character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sider representation of empire by main characters ‘Pam Min and Ahn Young-gyu also Pam Kkuen and Oh Hye-jeong’ in The Shadow of Arms. Especially they Vietnamese and Korean has similarity and difference at the same time. Ahn Young-gyu reflect on himself consciously by superimposing the reality of Vietnam and Korea. But he is bystander on Vietnamese issues by Korean soldier as mercenary of tha America. Oh Hye-jeong is mistress of the US soldier with USFK camptowns clerk. She realized the ‘power of a dollar’ but change to stateless person as wife of Vietnamese general.
      Pam Min and Pam kkuen is the brothers. Pam Min is practitioners who hold the reasonable criticism as a young fighter of Vietnamese National Liberation Front. Pam kkuen is a major of Vietnam army but he is a slave of capital and makes a habit of doing corruption.
      번역하기

      This study consider representation of empire by main characters ‘Pam Min and Ahn Young-gyu also Pam Kkuen and Oh Hye-jeong’ in The Shadow of Arms. Especially they Vietnamese and Korean has similarity and difference at the same time. Ahn Young-gyu ...

      This study consider representation of empire by main characters ‘Pam Min and Ahn Young-gyu also Pam Kkuen and Oh Hye-jeong’ in The Shadow of Arms. Especially they Vietnamese and Korean has similarity and difference at the same time. Ahn Young-gyu reflect on himself consciously by superimposing the reality of Vietnam and Korea. But he is bystander on Vietnamese issues by Korean soldier as mercenary of tha America. Oh Hye-jeong is mistress of the US soldier with USFK camptowns clerk. She realized the ‘power of a dollar’ but change to stateless person as wife of Vietnamese general.
      Pam Min and Pam kkuen is the brothers. Pam Min is practitioners who hold the reasonable criticism as a young fighter of Vietnamese National Liberation Front. Pam kkuen is a major of Vietnam army but he is a slave of capital and makes a habit of doing corrup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황석영의『무기의 그늘』에 나타난 제국의 표상이 주요 등장인물에 의해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작품의 중심인물인 안영규와 팜 민을 중심에 놓고 그들의 쌍생아적 존재에 해당하는 팜 꾸엔과 오혜정의 시각을 함께 조망함으로써 한국인과 베트남인이 내포한 시점의 동일성과 차이를 부각하였다. 안영규는 의식적으로는 1960년대 베트남의 현실과 1980년대 한국의 현실을 중첩시켜보는 반성적 인물로 기능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제국의 용병으로 참전한 한국군으로서 베트남인들의 문제에 대해서는 방관자적 회의주의자로 그려진다. 오혜정은 주한미군 기지촌 사무원으로 생활하며 미군의 정부(情婦) 역할을 하다가 ‘달러의 강력한 힘’을 실감하는 비판적 존재이지만, 베트남에서는 팜 꾸엔 소령의 부인으로서 홍콩으로 떠나려는 무국적의 허무주의자로 그려진다. 팜 민과 팜 꾸엔은 형제이지만, 팜 민은 베트남민족해방전선의 청년 투사로 그려지면서 1980년대 한국사회의 변혁적 전망을 우회적으로 반영한 합리적 비판의식의 실천가로 그려지고, 팜 꾸엔은 학생운동을 하다가 전향한 뒤 베트남 정부군 소령으로서 자본의 노예가 되어 부정부패를 일삼는 허무주의적 배금주의자로 그려진다. 『무기의 그늘』은 이 인물들을 씨줄과 날줄로 삼아, 베트남과 한국의 동일성과 차이를 중심으로 첫째 제국주의와 식민지에서의 전쟁의 의미, 둘째 미군의 용병으로서의 한국군의 문제, 셋째 민족해방운동의 성격 문제, 넷째 제국주의적 자본의 힘을 내포하는 달러의 의미, 다섯째 소비제국주의적 표상으로서의 PX의 의미 등을 적극적으로 포착해낸 성과작에 해당한다.
      번역하기

      본고는 황석영의『무기의 그늘』에 나타난 제국의 표상이 주요 등장인물에 의해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작품의 중심인물인 안영규와 팜 민을 중심에 놓고 그들의 쌍생...

      본고는 황석영의『무기의 그늘』에 나타난 제국의 표상이 주요 등장인물에 의해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작품의 중심인물인 안영규와 팜 민을 중심에 놓고 그들의 쌍생아적 존재에 해당하는 팜 꾸엔과 오혜정의 시각을 함께 조망함으로써 한국인과 베트남인이 내포한 시점의 동일성과 차이를 부각하였다. 안영규는 의식적으로는 1960년대 베트남의 현실과 1980년대 한국의 현실을 중첩시켜보는 반성적 인물로 기능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제국의 용병으로 참전한 한국군으로서 베트남인들의 문제에 대해서는 방관자적 회의주의자로 그려진다. 오혜정은 주한미군 기지촌 사무원으로 생활하며 미군의 정부(情婦) 역할을 하다가 ‘달러의 강력한 힘’을 실감하는 비판적 존재이지만, 베트남에서는 팜 꾸엔 소령의 부인으로서 홍콩으로 떠나려는 무국적의 허무주의자로 그려진다. 팜 민과 팜 꾸엔은 형제이지만, 팜 민은 베트남민족해방전선의 청년 투사로 그려지면서 1980년대 한국사회의 변혁적 전망을 우회적으로 반영한 합리적 비판의식의 실천가로 그려지고, 팜 꾸엔은 학생운동을 하다가 전향한 뒤 베트남 정부군 소령으로서 자본의 노예가 되어 부정부패를 일삼는 허무주의적 배금주의자로 그려진다. 『무기의 그늘』은 이 인물들을 씨줄과 날줄로 삼아, 베트남과 한국의 동일성과 차이를 중심으로 첫째 제국주의와 식민지에서의 전쟁의 의미, 둘째 미군의 용병으로서의 한국군의 문제, 셋째 민족해방운동의 성격 문제, 넷째 제국주의적 자본의 힘을 내포하는 달러의 의미, 다섯째 소비제국주의적 표상으로서의 PX의 의미 등을 적극적으로 포착해낸 성과작에 해당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홍배, "황석영문학의 세계" 창비 2003

      2 안남일, "황석영 소설과 베트남전쟁" 11 : 265-283, 1999

      3 시어도어 휴즈, "황석영 문학의 세계" 창비 240-, 2003

      4 박진임, "한국소설에 나타난 베트남 전쟁의 특성과 참전 한국군의 정체성" 한국현대문학회 (14) : 111-140, 2003

      5 한국민중사연구회, "한국민중사Ⅱ-근현대편" 풀빛 323-, 1986

      6 오구라 사다오, "한 권으로 읽는 베트남사" 일빛 169-256, 1999

      7 이현우, "폭력이란 무엇인가" 난장이 23-25, 2011

      8 백낙청, "통일운동과 문학" 1989

      9 임홍배, "주체의 위기와 서사의 회귀-황석영의 근작소설" 2002

      10 김철, "제국주의와 정치적 무의식" 1990

      1 임홍배, "황석영문학의 세계" 창비 2003

      2 안남일, "황석영 소설과 베트남전쟁" 11 : 265-283, 1999

      3 시어도어 휴즈, "황석영 문학의 세계" 창비 240-, 2003

      4 박진임, "한국소설에 나타난 베트남 전쟁의 특성과 참전 한국군의 정체성" 한국현대문학회 (14) : 111-140, 2003

      5 한국민중사연구회, "한국민중사Ⅱ-근현대편" 풀빛 323-, 1986

      6 오구라 사다오, "한 권으로 읽는 베트남사" 일빛 169-256, 1999

      7 이현우, "폭력이란 무엇인가" 난장이 23-25, 2011

      8 백낙청, "통일운동과 문학" 1989

      9 임홍배, "주체의 위기와 서사의 회귀-황석영의 근작소설" 2002

      10 김철, "제국주의와 정치적 무의식" 1990

      11 안토니오 네그리, "제국" 이학사 164-183, 2011

      12 임헌영, "우리 시대의 소설 읽기" 글 1992

      13 에드워드 사이드,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11-33, 1991

      14 최원식, "생산적 대화를 위하여" 창작과비평사 1997

      15 정찬영, "사실의 재현과 기억, 연대를 위한 조건 ―『무기의 그늘』론" 현대문학이론학회 (35) : 187-213, 2008

      16 강정구, "분단과 전쟁의 한국현대사" 역사비평사 151-152, 1996

      17 방재석, "베트남전쟁을 통한 의식의 변화양상 비교연구 -≪무기의 그늘≫과 ≪그대 아직 살아 있다면≫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46) : 395-426, 2011

      18 고명철, "베트남전쟁 소설의 형상화에 대한 문제― 베트남전쟁 소설의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소설학회 19 : 291-312, 2003

      19 송승철, "베트남전쟁 소설론:용병의 교훈" 1993

      20 정호웅, "베트남 민족해방투쟁의 안과 밖-무기의 그늘론" 1990

      21 김명인, "민족민중문학론의 쟁점과 전망" 푸른숲 97-149, 1989

      22 최원식, "민족문학과 반미문학" 1988

      23 황석영, "무기의 그늘" 창작과비평사 1992

      24 금인숙, "마르크스주의 사회과학에서의 오리엔탈리즘- 1980년대 사회구성체논쟁 중심으로 -" 한국사회역사학회 9 (9): 109-157, 2006

      25 최원식, "리영희선생화갑기념문집" 두레 1989

      26 정성기, "80년대 한국사회구성체논쟁, 또 하나의 성찰적 재론" 역사문제연구소 (71) : 34-66,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2-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Learned Society of the Korean Culture -> The Association for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0-02-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Culture Journal -> The Review of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study of Han Min Jok's culture -> THE Korean Culture Journal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Learned Society Of Han-Min-Jok'S Culture -> The Learned Society of the Korean Culture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9 1.04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