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경찰인사관리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348001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백산출판사, 2014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50.7350.3 판사항(5)

      • DDC

        353.36 판사항(21)

      • ISBN

        9788961838962 93350: ₩2500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경찰인사관리론 / 전병용 저

      • 형태사항

        519 p. : 양식 ; 27 cm

      • 일반주기명

        권말부록: 경찰교육원의 직무과정
        참고문헌: p. 516-519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삼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립창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남부대학교 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선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우석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조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초당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서문 = 3
      • 제1편 총론
      • 제1장 경찰인사관리의 기초
      • 제1절 경찰인사관리의 개관 = 15
      • 목차
      • 서문 = 3
      • 제1편 총론
      • 제1장 경찰인사관리의 기초
      • 제1절 경찰인사관리의 개관 = 15
      • 1. 경찰인사관리의 의의 = 15
      • 2. 경찰인사관리의 목표 = 16
      • 3. 경찰인사관리의 이념 = 17
      • 4. 경찰인사관리의 특성 및 중요성 = 25
      • 5. 인사관리의 기초가 되는 인간관 = 26
      • 제2절 경찰인사관리의 발전과정 = 28
      • 1. 근대경찰제도 도입 이전 = 28
      • 2. 근대 경찰제도의 도입 = 30
      • 3. 일제 강점기 = 32
      • 4. 미군정시대 한국경찰 = 34
      • 5. 대한민국정부 출범과 경찰 위상 = 42
      • 6. 정치적 격변기 및 군사정권 초기 = 44
      • 7.「경찰공무원법」제정 = 45
      • 8. 경찰청 승격 이후 = 46
      • 9. 경찰사의 창에서 본 경찰인사관리 = 48
      • 제3절 경찰인사관리의 환경과 인사관리법규 = 51
      • 1. 정치적ㆍ제도적 환경 = 52
      • 2. 경제적 환경 = 54
      • 3. 사회적ㆍ문화적ㆍ기술적 환경 = 56
      • 4. 법적ㆍ행정적 환경 = 59
      • 5. 경찰공무원 인사관리 관련 법령규칙 = 60
      • 제4절 실적주의와 직업공무원제도 = 63
      • 1. 엽관주의와 실적주의 = 63
      • 2. 직업공무원제도 = 68
      • 제5절 경찰공무원의 분류 = 72
      • 1. 국가공무원법상의 분류 = 73
      • 2. 경찰공무원의 계급에 의한 분류 = 74
      • 제6절 경찰 인사권자 및 인사관리 참여자 = 76
      • 1. 인사권자(임용권자) = 76
      • 2. 인사관리자 = 78
      • 3. 인사실무자 = 79
      • 4. 인사관리 관련 기구 = 83
      • 제7절 인사관리에 대한 감사 = 87
      • 1. 인사관리에 대한 감사의 필요성과 주체 = 87
      • 2. 경찰인사감사의 범위와 절차 = 88
      • 3. 경찰인사감사의 실효성 확보방안 = 90
      • 제8절 남북통일과 경찰 인사관리 = 91
      • 1. 우리나라 6ㆍ25 당시 모습 = 91
      • 2. 독일의 동서독 경찰통합 = 91
      • 3. 북한의 경찰과 통일 시 경찰통합 문제 = 93
      • 제2장 인적자원과 직무관리
      • 제1절 직무와 직무수행자 = 97
      • 1. 직무성과를 결정하는 요인 등 = 97
      • 2. 인적자원의 자질 = 98
      • 3. 인사관리대상으로서의 인적자원의 특이성 = 100
      • 4.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 101
      • 5. 경과 및 특기 = 105
      • 제2절 직무관리 = 111
      • 1. 직무관리 개관 = 111
      • 2. 직무설계 = 112
      • 3. 직무분석 = 121
      • 4. 직무평가 = 130
      • 제2편 각론
      • 제3장 경찰관의 확보
      • 제1절 경찰공무원의 확보 개관 = 139
      • 1. 경찰공무원 확보의 의의 = 139
      • 2. 인력확보 전략 = 139
      • 3. 인력확보의 중요성 = 140
      • 4. 인력확보 제도 = 141
      • 제2절 인력수요 및 공급의 예측 = 143
      • 1. 인력수요ㆍ공급의 예측필요성 = 143
      • 2. 인력수요 예측 = 144
      • 3. 인력공급 예측 = 149
      • 4. 인력기획 = 151
      • 제3절 경찰공무원의 모집 = 153
      • 1. 모집의 의의 = 153
      • 2. 적극적 모집 = 153
      • 제4절 경찰공무원의 선발 = 157
      • 1. 개관 = 157
      • 2. 응시자격과 임용자격 = 160
      • 3. 채용시험제도의 개관 = 168
      • 4. 신체 및 체력기준 등 = 171
      • 5. 시험과목 및 출제수준 = 176
      • 6. 시험의 합격결정 = 180
      • 7. 시험위원의 임명 및 채용심사관 = 183
      • 제5절 채용후보자의 등록과 임용 = 184
      • 1. 채용후보자 명부 = 184
      • 2. 경찰공무원의 임용 = 185
      • 3. 초임경찰관의 보직과 경과 부여 = 189
      • 제4장 경찰공무원의 교육훈련
      • 제1절 개관 = 191
      • 1. 교육훈련의 요체 = 191
      • 2. 교육훈련에 대한 각급 경찰기관장의 역할 = 191
      • 3. 경찰교육기관장의 교육계획 작성 = 192
      • 제2절 경찰공무원 교육의 목표 = 192
      • 1. 신임경찰관 교육 = 192
      • 2. 재직경찰관 교육 = 196
      • 제3절 교육훈련 수요의 조사 = 197
      • 1. 교육수요조사의 의의 = 197
      • 2. 교육수요조사의 방법 = 197
      • 제4절 교육과정의 책정 및 과정별 교육계획의 작성 = 199
      • 1. 교육과정의 책정 주체와 절차 = 199
      • 2. 교육과정 및 교육내용 개편과정 = 199
      • 3. 신임경찰관 교육, 재직자 교육, 퇴직자 교육 = 200
      • 4. 신임교육, 기본교육, 전문교육 = 201
      • 5. 학교교육, 위탁교육, 직장훈련 등 = 209
      • 제5절 교육훈련 내용, 방법 및 교재 개발 = 221
      • 1. 교육훈련 내용 개발 = 221
      • 2. 교재 개발 및 교안 작성 = 222
      • 3. 교육방법 개발 = 222
      • 제6절 교육훈련 담당자의 선정 및 육성 = 229
      • 1. 교육훈련 담당자 = 229
      • 2. 교수요원의 선발과 계급 = 230
      • 3. 교수요원에 대한 지원 및 순환근무 = 230
      • 4. 교수요원의 자격에 대한 법령 규정 = 231
      • 제7절 교육훈련 효과의 측정 = 232
      • 1. 교육효과 측정의 필요성 = 232
      • 2. 교육효과 측정방법 = 233
      • 3. 교육훈련체제 전반에 대한 평가 = 235
      • 제5장 경찰관의 평가
      • 제1절 근무성적 평정제도 개관 = 237
      • 1. 근무성적 평정의 의의와 직무분석과의 관계 = 237
      • 2. 근무성적 평정제도 변천 및 평정대상 = 238
      • 3. 근무성적 평정제도의 기능 = 238
      • 4. 근무성적 평정제도가 갖추어야 할 성질 = 240
      • 5. 지금까지 개발된 근무성적평정 방법 = 244
      • 6. 근무성적 평정의 한계 = 248
      • 제2절 현행 근무성적 평정제도 = 251
      • 1. 근무성적 평정자와 평정대상자 = 251
      • 2. 다면평가제 = 251
      • 3. 근무성적의 평정요소 = 252
      • 4. 근무성적의 평정방법 = 253
      • 5. 근무성적평정의 예외 등 = 262
      • 6. 근무 성적 평정결과의 비공개 = 263
      • 7. 근무성적 평정제도의 운용실태 및 발전방향 = 263
      • 제3절 경력평정제도 = 265
      • 1. 경력평정의 의미와 평정자 = 265
      • 2. 경력평정의 기준 및 대상 = 266
      • 3. 경력평정 대상기간 = 266
      • 4. 경력평정의 계산방법 및 평정표의 작성ㆍ제출 = 267
      • 제4절 가점 평정 = 271
      • 1. 개요 = 271
      • 2. 특수지근무수당 지급대상자 및 감찰외근 근무자 가점 = 271
      • 3. 어학능력, 자격증, 직무전문화 교육, 학위취득 관련 가점 = 272
      • 제5절 교육훈련 평정제도 = 275
      • 1. 평정시기와 평정자 = 275
      • 2. 평정대상 및 평정결과 반영 = 275
      • 3. 교육훈련성적 평정의 기준 = 275
      • 제6장 재직경찰관의 보직관리, 휴직 및 승진
      • 제1절 보직관리 = 277
      • 1. 보직관리의 기능, 현실 및 방향 = 277
      • 2. 직위의 부여 = 280
      • 3. 전보 = 282
      • 4. 경찰기관 사이의 인사교류 = 283
      • 5. 파견근무 = 284
      • 6. 경찰의 직위공모제 = 285
      • 제2절 휴직 = 286
      • 1. 직권휴직 = 286
      • 2. 의원휴직 = 287
      • 3. 휴직자의 복무관리 = 289
      • 제3절 승진 = 289
      • 1. 개관 = 289
      • 2. 경찰승진의 유형 = 291
      • 3. 경찰 내부승진과 외부인사 채용 = 292
      • 4. 승진소요 최저연한과 승진임용의 제한 = 295
      • 5. 승진임용 예정인원 책정 = 297
      • 6. 승진대상자 명부와 승진심사위원회 = 298
      • 7. 승진심사 = 302
      • 8. 시험승진 = 309
      • 9. 특별승진 = 315
      • 10. 근속승진 = 318
      • 11. 승진후보자 명부의 작성 = 320
      • 12. 대우공무원 제도 = 321
      • 제7장 경찰공무원의 권리ㆍ의무
      • 제1절 경찰공무원의 권리 = 323
      • 1. 개관 = 323
      • 2. 직무집행권 = 324
      • 3. 그 외의 권리 및 권한 = 328
      • 4. 노동3권 및 직장협의회 문제 = 330
      • 제2절 경찰공무원의 의무 = 331
      • 1. 공무원의 복무관련 법령과 공무원 행동지침 = 331
      • 2. 공무원에 공통되는 의무규정 = 332
      • 3. 공무원의 덕목과 행동지침 = 338
      • 4. 경찰공무원법 상의 의무 = 338
      • 5. 경찰공무원 복무규정 상의 의무 = 340
      • 제3절 경찰공무원의 책임 = 343
      • 1. 개관 = 343
      • 2. 징계책임과 형사책임의 차이 = 343
      • 3. 변상책임 = 345
      • 4. 형사책임 = 346
      • 5. 민사책임 = 347
      • 제8장 경찰관의 사기, 보수, 후생복지 등
      • 제1절 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49
      • 1. 사기의 의의 = 349
      • 2. 사기와 동기부여, 직무만족과의 관계 = 350
      • 3. 동기부여이론 = 351
      • 4. 직무만족의 결정이론 = 355
      • 5. 경찰공무원의 삶의 질 = 356
      • 제2절 경찰공무원의 보수 = 357
      • 1. 보수의 의의 = 357
      • 2. 현행 보수제도 = 360
      • 제3절 경찰관의 후생복지 = 370
      • 1. 경찰관의 후생복지의 의의와 종류 = 370
      • 2. 경찰공무원에 대한 보건, 안전 및 복지에 대한 현행 제도 = 374
      • 3. 경찰공무원의 휴가 = 380
      • 제4절 경찰공무원에 대한 상훈 및 표창 = 386
      • 1. 훈장과 포장 = 387
      • 2. 표창 = 387
      • 3. 상벌상계 = 389
      • 4. 경찰관 기장제도 = 389
      • 5. 모범공무원 제도 = 389
      • 제5절 제안제도 = 390
      • 1. 제안제도 개관 = 390
      • 2. 제안심사의 주체 = 392
      • 3. 제안의 모집 및 제안 준비 지원 = 393
      • 4. 제안의 제출 = 393
      • 5. 제안의 심사 및 재심사 = 395
      • 6. 제안에 대한 포상 및 보상 등 = 399
      • 7. 직무제안에 대한 권리의 국가승계 등 = 404
      • 8. 채택제안의 사후 관리 = 404
      • 제9장 공무원의 부패와 징계
      • 제1절 공무원의 부패 = 407
      • 1. 공무원부패 = 407
      • 2. 공무원부패의 원인 = 408
      • 3. 반부패운동의 성격과 기본전략 = 415
      • 4. 반부패 대책(모델) = 416
      • 제2절 경찰관의 징계 = 431
      • 1. 징계제도의 의의 = 431
      • 2. 징계제도의 기능 = 432
      • 3. 현행 징계제도 = 435
      • 4. 현행 징계의 양정 기준 = 442
      • 제3절 직위해제 = 445
      • 1. 의의 = 445
      • 2. 직위해제 사유 = 445
      • 3. 직위해제 사유의 경합 및 복직 = 446
      • 제10장 경찰관의 소청심사 및 고충처리
      • 제1절 소청심사제도 = 447
      • 1. 소청심사제도의 의의 = 447
      • 2. 소청심사의 대상 = 448
      • 3. 소청심사위원회의 설치 = 449
      • 4. 소청심사위원회 위원 = 449
      • 5. 소청심사의 청구 등 = 450
      • 6. 심사절차 = 451
      • 7. 위원의 제척, 기피, 회피 = 452
      • 8. 소청심사위원회의 결정 = 453
      • 제2절 경찰공무원의 고충심사 = 455
      • 1. 개관 = 455
      • 2. 고충심사위원회 = 455
      • 3. 고충심사청구 = 456
      • 4. 회피 및 기피 = 456
      • 5. 고충심사 = 457
      • 6. 결정서 작성, 심사결과 처리 등 = 457
      • 제11장 경찰공무원의 퇴직 관리
      • 제1절 경찰공무원 퇴직제도의 개관 = 459
      • 1. 경찰공무원 퇴직의 의의 = 459
      • 2. 퇴직의 제도적 기능 = 460
      • 제2절 자발적 퇴직 = 460
      • 1. 자발적 퇴직의 의의와 종류 = 460
      • 2. 사임(의원면직) = 461
      • 3. 명예퇴직 = 462
      • 4. 조기퇴직 = 464
      • 제3절 비자발적 퇴직 = 465
      • 1. 직권면직 = 465
      • 2. 당연퇴직 = 466
      • 제4절 퇴직자 지원 = 473
      • 1. 퇴직자 지원의 의의 등 = 473
      • 2. 경찰 퇴직자 지원대책의 유형 = 474
      • 3. 현행 퇴직자지원제도 = 475
      • 제12장 연금제도
      • 제1절 연금제도 개관 = 479
      • 1. 연금의 의의 및 제도적 기능 = 479
      • 2. 공무원연금제도 개편 = 480
      • 제2절 현행 제도 = 481
      • 1. 비용부담 = 481
      • 2. 급여 산정의 기초, 급여의 공제 등 = 482
      • 3. 급여지급 절차, 유족 등 = 483
      • 4. 단기급여 = 485
      • 5. 장기급여 = 486
      • 6. 형벌 등에 따른 급여의 제한 = 491
      • 부록 : 경찰교육원의 직무과정 = 495
      • 참고문헌 = 5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