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양성 추구용과 구색용 카테고리에 대한 소매업체의 점포 내 전술 실행이 점포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주된 연구목적은 첫째, 카테고리 관리를 실행하고 있는 소매업체에서 상품구색, 가격정책, 진열형태, 촉진 등의 점포 내 전술이 점포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고, 둘째 상품 카테고리 유형(다양성 추구용과 구색용 카테고리)에 어떤 전술이 어떤 형태로 점포성과 향상에 기여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대표 할인점인 ‘A’할인점의 매장 Scanner Data를 이용하여 점포성과는 매출액과 재고투자수익률(GMROI)로 측정하였고, 점포 내 전술은 스캐너 데이터와 매장에서의 실사를 병행하여 상품구색, 가격할인, 가격 및 비가격촉진, 진열위치 등으로 평가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검정을 한 결과 다양성 추구용 카테고리에서는 상품구색, 일시적 가격할인, 가격촉진 그리고 특정진열위치 전술들은 매출액을 증가시켰고, 상품구색은 GMROI를 떨어뜨리는 반면 비가격촉진 전술은 GMROI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구색용 카테고리에서는 상품구색과 특정진열위치 전술은 매출액과 GMROI를 모두 높였으나, 일시적 가격할인, 가격촉진, 그리고 비가격촉진 전술들은 매출액과 GMROI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공헌점과 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주된 연구목적은 첫째, 카테고리 관리를 실행하고 있는 소매업체에서 상품구색, 가격정책, 진열형태, 촉진 등의 점포 내 전술이 점포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고, 둘째 ...

      본 논문의 주된 연구목적은 첫째, 카테고리 관리를 실행하고 있는 소매업체에서 상품구색, 가격정책, 진열형태, 촉진 등의 점포 내 전술이 점포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고, 둘째 상품 카테고리 유형(다양성 추구용과 구색용 카테고리)에 어떤 전술이 어떤 형태로 점포성과 향상에 기여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대표 할인점인 ‘A’할인점의 매장 Scanner Data를 이용하여 점포성과는 매출액과 재고투자수익률(GMROI)로 측정하였고, 점포 내 전술은 스캐너 데이터와 매장에서의 실사를 병행하여 상품구색, 가격할인, 가격 및 비가격촉진, 진열위치 등으로 평가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검정을 한 결과 다양성 추구용 카테고리에서는 상품구색, 일시적 가격할인, 가격촉진 그리고 특정진열위치 전술들은 매출액을 증가시켰고, 상품구색은 GMROI를 떨어뜨리는 반면 비가격촉진 전술은 GMROI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구색용 카테고리에서는 상품구색과 특정진열위치 전술은 매출액과 GMROI를 모두 높였으나, 일시적 가격할인, 가격촉진, 그리고 비가격촉진 전술들은 매출액과 GMROI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공헌점과 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jor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wofold. The first is to discover which in-store tactics influence store performance when a retailer implements category management in variety enhancer and fill-ins categories. The second is to analyze how and why specific in-store tactics achieve better or worse performance than other in-store tactics across categorie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canner data and direct observations in ‘A' discount store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discount stores in Korea. The in-store tactics were measured by product assortment, temporary price discount, price and non-price promotion, and shelving. The store performance was measured by sales and gross margin return on inventory investment(GMROI).
      Empirical result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were as follows: In variety enhancer category,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sales were product assortment, temporary price discount, price promotion, and shelving. Non-price promotion also influenced GMROI positively but product assortment impacted on GMROI negatively. In fill-ins category,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sales and GMROI were product assortment and shelving. However, the other factors such as temporary price discount, price promotion, and non-price promotion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sales and GMROI.
      This paper presents a number of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empirical results and concludes by addressing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번역하기

      The major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wofold. The first is to discover which in-store tactics influence store performance when a retailer implements category management in variety enhancer and fill-ins categories. The second is to analyze how and wh...

      The major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wofold. The first is to discover which in-store tactics influence store performance when a retailer implements category management in variety enhancer and fill-ins categories. The second is to analyze how and why specific in-store tactics achieve better or worse performance than other in-store tactics across categorie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canner data and direct observations in ‘A' discount store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discount stores in Korea. The in-store tactics were measured by product assortment, temporary price discount, price and non-price promotion, and shelving. The store performance was measured by sales and gross margin return on inventory investment(GMROI).
      Empirical result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were as follows: In variety enhancer category,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sales were product assortment, temporary price discount, price promotion, and shelving. Non-price promotion also influenced GMROI positively but product assortment impacted on GMROI negatively. In fill-ins category,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sales and GMROI were product assortment and shelving. However, the other factors such as temporary price discount, price promotion, and non-price promotion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sales and GMROI.
      This paper presents a number of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empirical results and concludes by addressing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 Ⅳ. 실증 분석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 Ⅳ. 실증 분석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노영, "한국 유통산업의 SCM 현황과 전망" 한국유통학회 2004

      2 박연우, "차세대 경영혁신 기법 SCM" 한국수퍼체인협회 출판부 2003

      3 김학문, "점포 레이아웃과 진열기법" 한국수퍼체인협회 출판부 2000

      4 A, "영업전략을 수립을 위한 Trade Availability 지수의 활용과 적용" 2001

      5 Needle, Stephen P, "Understanding Consumer Response to Category Management Through Virtual Reality" 61-67, 1998

      6 Padgett, "The Relationship Between Retail Price Promotion and Regular Price Purchases" 83-90, 1995

      7 Progressive Grocer, "The Pathway to Category Management" 1992

      8 Basuroy, Suman, "The Impact of Category Management on Retailer Prices and Performance: Theory and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16-32, 2001

      9 Hoch,Stephen J, "Store Brand and Category Management" the wharton school : 1998

      10 Frank,R.E, "Shelf Position and Space Effects on Sales" 7 : 59-66, 1970

      1 김노영, "한국 유통산업의 SCM 현황과 전망" 한국유통학회 2004

      2 박연우, "차세대 경영혁신 기법 SCM" 한국수퍼체인협회 출판부 2003

      3 김학문, "점포 레이아웃과 진열기법" 한국수퍼체인협회 출판부 2000

      4 A, "영업전략을 수립을 위한 Trade Availability 지수의 활용과 적용" 2001

      5 Needle, Stephen P, "Understanding Consumer Response to Category Management Through Virtual Reality" 61-67, 1998

      6 Padgett, "The Relationship Between Retail Price Promotion and Regular Price Purchases" 83-90, 1995

      7 Progressive Grocer, "The Pathway to Category Management" 1992

      8 Basuroy, Suman, "The Impact of Category Management on Retailer Prices and Performance: Theory and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16-32, 2001

      9 Hoch,Stephen J, "Store Brand and Category Management" the wharton school : 1998

      10 Frank,R.E, "Shelf Position and Space Effects on Sales" 7 : 59-66, 1970

      11 Levy, Michael, "Retailing Management, 6th Edition" 2004

      12 Narasimhan, Chakravarthi, "Promotional Elasticities and Category Characteristics" 17-30, 1996

      13 Urbany,J, "Price Search in the Retail Grocery Market" 60 (60): 91-104, 1996

      14 Dhar, Sanjay K, "Price Discrimination Using In-Store Merchandising" 60 (60): 17-30, 1996

      15 Hair, Joseph F. Jr,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2004

      16 Russell, Gary J, "Multiple Category Decision Making: Review and Synthesis" 319-332, 1999

      17 Maqbul Jamil, "Measuring Cross-Category Specials Purchasing: Theory, Empirical Results, and Implications" 25-42, 2002

      18 Xavier, "Journal of Retailing" 301-326, 1994

      19 Chintagunta, P, "Investigating Purchase Timing Behavior in Two Related Product Categories" 35 : 43-53, 1998

      20 Mulhern,Francis J.and Robert P.Leone, "Implicit Price Bundling of Retail Products:A Multiproduct Approach to Maximizing Store Profitability" 55 (55): 63-76, 1991

      21 Gupta, S., "Impact of Sales Promotions on When and How Much to Buy" 342-355, 1998

      22 Khan, Barbara E, "Grocery Revolution: The New Focus on the Consumer" tion : 1997

      23 Washington, "Grocery Manufacturers of America" 1995

      24 Desmet,Pierre, "Estimation of Product Category Sales Responsiveness to Allocated Shelf Space" 15 : 443-457, 1998

      25 Nanda Kumar, "Effective Category Management Depends on the Role of the Category" 77 (77): 165-184, 2001

      26 Gruen, Thomas, "Determinants and Outcomes of Plan Objectivity and Implementation in Category Management" 76 (76): 483-510, 2000

      27 Broniarczyk, Susan M, "Consumer's Perceptions of the Assortment Offered in a Grocery Category The Impact of Item Reduction" 166-176, 1998

      28 Dussart, Christian, "Category Manage- ment: Strengths, Limits and Devel- opments" 50-62, 1998

      29 Blattberg,Robert C, "Category Mana- gement:Key Insights" august : 32-34, 1996

      30 Bolton, Ruth N, "An Empirically Derived Taxonomy of Retailer Pricing and Promotion Strategies" 79 (79): 213-224, 2003

      31 Walters,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of the Impact of Price Promotions on Store Performance" 25 (25): 51-63, 1988

      32 and Edward J, "A Series of Implementation Guides" -1, 1995

      33 Borin, "A Model for Determining Retail Product Category Assortment and Shelf Space Allocation" (rm) : 359-384, 1994

      34 Chiang, Jeongwen, "A Cross-Category Analysis of Shelf-Space Allocation, Product Variety, and Retail Margins" 1997

      35 Fader, "A Cross-Category Analysis of Category Structure and Promotional Activity of Grocery Products" 54 (54): 52-65,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4-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 Journal of Channel and Retailing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통비지니스리뷰 -> 유통연구
      외국어명 : Distribution Business Review ->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2 1.42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3 1.37 1.843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