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과 학교수준 요인의 효과: 다수준 분석의 적용 = Effect of Individual- and School-level Factors on Obesity in Korean Adolescents: A Multilevel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847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생태학적 접근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 및 학교수준 요인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2010 한국청소년건강실태조사’ 자료 중 중고등학생 6,809명을 ...

      본 연구는 생태학적 접근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 및 학교수준 요인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2010 한국청소년건강실태조사’ 자료 중 중고등학생 6,809명을 대상으로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 개인 간 비만의 차이는 학교수준이 5.6% 설명하였으며, 개인수준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학교수준 요인이 청소년의 비만을 2.1% 설명하였다. 개인수준 요인에서는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연령이 많을수록, 일주일에 5일 이상 신체활동을 실천하고, 과일 섭취를 많이 할수록, 가정형편이 못사는 경우에 비만 위험이 높았으며, 걷기를 하루에 2시간 이상하고, 채소 섭취를 많이 하고,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비만 위험이 더 낮았다. 학교수준 요인에서는 주당 체육수업시간이 2시간 미만인 학교에 비해 2시간 이상이고, 교사와의 관계가 친밀한 학교의 청소년이 비만 위험이 더 낮았으며, 학교영양교육 경험률이 높은 학교의 청소년이 비만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비만 예방을 위해 개인수준 요인과 체육교육, 보건교육 등의 학교환경 개선을 포함한 다수준의 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이를 위한 정책반영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 of individual- and school-level factors on obesity among Korean adolescents. Cross-sectional data from the 2010 Korean survey on the health of youth and children, administer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 of individual- and school-level factors on obesity among Korean adolescents. Cross-sectional data from the 2010 Korean survey on the health of youth and children, administer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as utilized for analysis. The sample consisted of 6,809 among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incorporating individual- and school-level variables determined factors of adolescent obesity. Individual factors associated with obesity included gender, age, physical activity, walking,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self esteem, self efficacy, and household economic status. School-level factors tha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includ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of ≤2 hours per a week, better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higher percent of students having nutrition education in school. The findings indicate that multilevel prevention strategies to manage and prevent adolescent obesity should include both behavioral modification and improvement of school environm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정민, "한국 청소년의 비만과 식습관 환경요인 변화 추이 분석" 한국생활환경학회 21 (21): 97-107, 2014

      2 임희랑, "한국 청소년의 가구풍요도, 식습관, 주관적 건강인지가 체질량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875-885, 2014

      3 임수민, "한국 청소년에서 과체중과 사회 경제적 요인과의 관계: 2007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한가정의학회 31 (31): 703-710, 2010

      4 이주연,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과체중·비만 및 신체상만족도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29-55, 2014

      5 지영주, "청소년의 비만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1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조사를 중심으로" 대한비만학회 22 (22): 39-49, 2013

      6 박민희, "중·고등학생의 식생활습관, 건강행태와 우울과의 관련성"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2683-2694, 2014

      7 장암미, "부모 및 교사의 심리적 환경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951-967, 2015

      8 강희태, "도시지역 초등학생 비만 수준 및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사회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 대한예방의학회 39 (39): 371-378, 2006

      9 박민희, "남녀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이미지 왜곡과 건강행태와의 관련성"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2237-2249, 2015

      10 Rolls, B. J., "What can intervention studies tell u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weight management" 62 (62): 1-17, 2004

      1 조정민, "한국 청소년의 비만과 식습관 환경요인 변화 추이 분석" 한국생활환경학회 21 (21): 97-107, 2014

      2 임희랑, "한국 청소년의 가구풍요도, 식습관, 주관적 건강인지가 체질량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875-885, 2014

      3 임수민, "한국 청소년에서 과체중과 사회 경제적 요인과의 관계: 2007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한가정의학회 31 (31): 703-710, 2010

      4 이주연,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과체중·비만 및 신체상만족도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29-55, 2014

      5 지영주, "청소년의 비만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1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조사를 중심으로" 대한비만학회 22 (22): 39-49, 2013

      6 박민희, "중·고등학생의 식생활습관, 건강행태와 우울과의 관련성"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2683-2694, 2014

      7 장암미, "부모 및 교사의 심리적 환경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951-967, 2015

      8 강희태, "도시지역 초등학생 비만 수준 및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사회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 대한예방의학회 39 (39): 371-378, 2006

      9 박민희, "남녀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이미지 왜곡과 건강행태와의 관련성"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2237-2249, 2015

      10 Rolls, B. J., "What can intervention studies tell u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weight management" 62 (62): 1-17, 2004

      11 Xavier, S., "The psychosocial impacts of obesity in children and young people : a future health perspective" 6 (6): 23-27, 2005

      12 Kegler, M. C., "The influence of rural home and neighborhood environments on healthy eating, physical activity, and weight" 15 (15): 1-11, 2014

      13 Ministry of Educati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9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3 in Korea" Ministry of Educati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14 Emmons, K. M., "Social influences, social context, and health behaviors among working-class, multi-ethnic adults" 34 (34): 315-334, 2007

      15 Keresztes, N., "Social influences in sports activity among adolescents" 128 (128): 21-25, 2008

      16 Reynolds, K. D., "Psychosocical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in adolescents" 19 (19): 541-551, 1990

      17 Koplan, J. P., "Preventing child obesity: health imbalance" National Academies Press 2005

      18 Veugelers, P. J.,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childhood overweight and obesity" 173 (173): 607-613, 2005

      19 Guo, S. S., "Predicting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hood from body mass index valu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76 : 653-658, 2002

      20 Kumanyika, S. K., "Population-based prevention of obesity : the need for comprehensive promotion of healthful eating, physical activity, and energy balance" 118 : 428-464, 2008

      21 Dietz, W. H., "Overweight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350 (350): 855-857, 2004

      22 Kumanyika, S. K., "Obesity prevention : the case for action" 26 : 425-436, 2002

      23 Franklin, J., "Obesity and risk of low self-esteem : a statewide survey of Australian children" 118 (118): 2481-2487, 2006

      24 Snijders, T. A. B., "Multilevel Analysis: an Introduction to Basic and Advanced Multilevel Modeling" SAGE Publications 1999

      25 Hox, J. J., "Multilevel Analysi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Quantitative methodology seri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2

      26 Reilly, J. J., "Long-term impac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on morbidity and premature mortality in adulthood : systematic review" 35 (35): 891-898, 2011

      27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Korean Youth Indicator Survey V: Korean Survey on the Health of Youth and Children in 2010"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1

      28 Sallis, J. F.,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Jossey-Bass 465-486, 2008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Strategy on Diet,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WHO

      30 Veugelers, P. J., "Effectiveness of school programs in preventing childhood obesity : a multilevel comparison" 95 (95): 432-435, 2005

      31 Kim, B., "Ecological risk factors of childhood obesity in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34 (34): 952-972, 2012

      32 Richard, L., "Ecological models revisited : their uses and evolution in health promotion over two decades" 32 : 307-326, 2011

      33 Janssen, I., "Comparison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school-aged youth from 34 countri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patterns" 6 : 123-132, 2005

      34 Goss, J., "Comparative analysis of body mass index,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smoking, and physical activity among Florida residents" 22 (22): 37-46, 2005

      35 Han, J. C., "Childhood obesity" 375 : 1737-1748, 2010

      36 Cullen, K. W., "Child-reported family and peer influences on fruit, juice and vegetable consumption :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s" 16 (16): 187-200, 2001

      37 Mendelson, B. K., "Adolescents' weight, sex and family functioning" 17 (17): 73-79, 1995

      3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n Pediatric Society, "2007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growth standar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8 0.956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