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태권도 정체성 연구의 한 영역으로서 「태권도, 그리고 무도스포츠」라는 주제 아래, 소위 ‘무도스포츠’라 정의되고 있는 태권도를 다각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 이에 따른 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11405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67-185(19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태권도 정체성 연구의 한 영역으로서 「태권도, 그리고 무도스포츠」라는 주제 아래, 소위 ‘무도스포츠’라 정의되고 있는 태권도를 다각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 이에 따른 다...
이 연구는 태권도 정체성 연구의 한 영역으로서 「태권도, 그리고 무도스포츠」라는 주제 아래, 소위 ‘무도스포츠’라 정의되고 있는 태권도를 다각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 이에 따른 다양성과 정체성을 파악함으로써 과연 그것들이 오늘날, 태권도를 ‘태권도’이게끔 하는 합당한 개념으로 정립되고 있는지, 아울러 ‘무도’와 ‘스포츠’란 용어가 현실적으로 융합될 수 있는 용어인지 최대한 경계적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과정 속에서 경계적 시각을 통해 바라보고자 한 이유는 그간의 선행연구를 통해 논의되었던 태권도 정체성에 관한 내용의 대부분이 태권도의 실천적인 측면에 중심을 두고 있기 보다는 다소 추상적이고 비가시적인 철학적 개념에 단순히 ‘무도성’의 개념을 강조하여 묘사해내기 급급하였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연구자의 이러한 판단은 결국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발생시키며 다시 초심의 질문으로 돌아간다.
▌태권도는 무엇인가?
▌태권도는 무술인가, 무예인가, 무도인가?
▌태권도는 무도(무술 혹은 무예)인가 스포츠인가?
▌태권도는 무도적 가치를 추구하는가? 스포츠적 가치를 추구하는가?
▌태권도는 과연 ‘무도스포츠’로서 실현 가능한 것인가?
이 같은 방법적 물음은 그간에 태권도의 행적(行跡)과 오늘날 인식되고 있는 태권도의 실재(實在), 그리고 앞으로 태권도가 추구하고자 하는 이상(理想)의 모습을 예견(豫見)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작동될 것이며, 이에 대한 결과는 태권도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필연적으로 동반되어야 할 경계적 관점(시각)과 사고의 확장, 그리고 무도스포츠에 대한 거시적(巨視的) 틀을 마련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examined the Taekwondo-identify is defined as "Martial art sports" as the theme of 'Taekwondo, and martial art sports " in a multifaceted perspective. In according to with that determine diversity and identity, and establishing reasonable co...
The study examined the Taekwondo-identify is defined as "Martial art sports" as the theme of 'Taekwondo, and martial art sports " in a multifaceted perspective. In according to with that determine diversity and identity, and establishing reasonable concept of today's Taekwondo, It will also discuss whether the term "martial arts" and "Sport" at the boundary-viewpoint of convergence could be realistic.
This discussion has been set up to study issues: ①What is Taekwondo? ②Is Taekwondo Martial Technic, Martial Art , Martial Way? ③Taekwondo pursues the martial value? or the sport value? ④ Taekwondo could be achieved a "martial art sports"? This methodological question is will be system of foresight to whereabouts and existence, and state ideal to the pursuit of Taekwondo. The result will lead boundary-viewpoint and extend of thought as well as frame of macroscopic on martial arts sport, ,Which have to accompany with establishing Taekwondo identify.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규호, "현대철학의 이해" 민영사 1993
2 양진방, "해방 이후 한국 태권도의 발전과정과 그 역사적 의의 : 경기 태권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6
3 신영호, "한국무예 변천사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7
4 김지혁, "태권도장의 본질과 도장교육에 대한 인식의 재조명" 한국체육철학회 21 (21): 217-230, 2013
5 송형석, "태권도역사논쟁 : 신전통주의의 수정주의 비판에 대한 역비판" 한국체육철학회 16 (16): 157-177, 2008
6 김용옥, "태권도 철학의 구성원리" 통나무 1990
7 양진방, "태권도 역사연구의 새로운 방향성 모색을 위한 논의" 8 (8): 143-152, 1997
8 김지혁, "태권도 경기의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논의"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0
9 김은철, "중국 태권도의 현대적 가치 탐구"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3
10 이재열, "위험사회와 생태적 ․ 사회적 안전" 정보통신청책연구원 2004
1 이규호, "현대철학의 이해" 민영사 1993
2 양진방, "해방 이후 한국 태권도의 발전과정과 그 역사적 의의 : 경기 태권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6
3 신영호, "한국무예 변천사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7
4 김지혁, "태권도장의 본질과 도장교육에 대한 인식의 재조명" 한국체육철학회 21 (21): 217-230, 2013
5 송형석, "태권도역사논쟁 : 신전통주의의 수정주의 비판에 대한 역비판" 한국체육철학회 16 (16): 157-177, 2008
6 김용옥, "태권도 철학의 구성원리" 통나무 1990
7 양진방, "태권도 역사연구의 새로운 방향성 모색을 위한 논의" 8 (8): 143-152, 1997
8 김지혁, "태권도 경기의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논의"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0
9 김은철, "중국 태권도의 현대적 가치 탐구"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3
10 이재열, "위험사회와 생태적 ․ 사회적 안전" 정보통신청책연구원 2004
11 남춘호, "압축근대와 생애과정의 구조 변동" 한국지역사회학회 22 (22): 1-28, 2014
12 안용규, "스포츠 관련 용어 정의 재정립" 한국체육철학회 19 (19): 33-60, 2011
13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2006
14 김홍식, "무예 철학 담론의 흐름 : 성과와 과제" 서울대학교. 한국연구재단 2005
15 양진방, "무술, 무예, 무도개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틀" 1 (1): 27-37, 1999
16 안재찬, "동양무술의 기술체계 비교를 통한 태권도의 정체성 탐구"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4
17 김영갑, "건강제일주의 이해를 위한 선행변수들" 한국체육철학회 14 (14): 184-194, 2006
18 장경섭, "가족·생애·정치경제 : 압축적 근대성의 미시적 기초" 창비 200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04-2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12-0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 ![]() |
2019-04-2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8-03-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6-2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5 | 1.05 | 1.0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1 | 1.16 | 0.947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