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추 유형에 따른 신어 형성 양상 - 계량적 분석을 중심으로 - = The formation of new words according to the type of analogy: Focusing on quantitative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613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단어 형성 기제로서 작용하는 유추를 유형화하고, 유추 유형에 따른 신어의 형성 양상을 계량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그를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신어 자료를 대상으로 삼는다. 신어는 기존의 단어를 기반으로 그것의 형식과 의미를 활용하되, 기존 단어의 형식을 일부 변형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 유추에 의한 단어 형성 양상을 다양하게 보여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유추의 유형은 유추의 모형, 모형 단어와 표적 단어 사이의 유사성, 유추의 축이 되는 고정요소라는 기준에 따라 유형을 나눌 수 있다. 신어의 형성에서 우세하게 작용하는 유추의 유형들은 본질적으로는 유추의 틀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것은 단어의 형성이 궁극적으로는 의미를 나타내기 위한 것에서 출발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모형 단어와 표적 단어가 공유하는 고정요소와 그를 기반으로 하는 유추의 틀이 가진 ‘의미’가 신어 형성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단어 형성 기제로서 작용하는 유추를 유형화하고, 유추 유형에 따른 신어의 형성 양상을 계량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그를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신어 자료를 대상으로 ...

      이 연구는 단어 형성 기제로서 작용하는 유추를 유형화하고, 유추 유형에 따른 신어의 형성 양상을 계량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그를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신어 자료를 대상으로 삼는다. 신어는 기존의 단어를 기반으로 그것의 형식과 의미를 활용하되, 기존 단어의 형식을 일부 변형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 유추에 의한 단어 형성 양상을 다양하게 보여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유추의 유형은 유추의 모형, 모형 단어와 표적 단어 사이의 유사성, 유추의 축이 되는 고정요소라는 기준에 따라 유형을 나눌 수 있다. 신어의 형성에서 우세하게 작용하는 유추의 유형들은 본질적으로는 유추의 틀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것은 단어의 형성이 궁극적으로는 의미를 나타내기 위한 것에서 출발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모형 단어와 표적 단어가 공유하는 고정요소와 그를 기반으로 하는 유추의 틀이 가진 ‘의미’가 신어 형성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analogy, which is a word formation mechanism, and to quantitatively examine the formation patterns of new words according to the type of analog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deals with new words data. This is because new words use the form and meaning of existing words, but they are often formed in a way that partially modifies the form of existing words, so they can show various patterns of word formation by analogy. The type of analogy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model of analogy, the similarity between the model word and the target word, and the fixed element that is the axis of the analogy. It is confirmed that the types of analogy that predominate in the formation of new words are essentially closely related to the schema of analogy. Considering that the formation of words ultimately starts from representing meaning,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fixed elements shared by model words and target words and the 'meaning' of the schema of analogy based on them ac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formation of new word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analogy, which is a word formation mechanism, and to quantitatively examine the formation patterns of new words according to the type of analog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deals with new words data. This 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analogy, which is a word formation mechanism, and to quantitatively examine the formation patterns of new words according to the type of analog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deals with new words data. This is because new words use the form and meaning of existing words, but they are often formed in a way that partially modifies the form of existing words, so they can show various patterns of word formation by analogy. The type of analogy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model of analogy, the similarity between the model word and the target word, and the fixed element that is the axis of the analogy. It is confirmed that the types of analogy that predominate in the formation of new words are essentially closely related to the schema of analogy. Considering that the formation of words ultimately starts from representing meaning,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fixed elements shared by model words and target words and the 'meaning' of the schema of analogy based on them ac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formation of new word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원용, "혼성이라는 형태론적 과정의 재구성" 형태론 22 (22): 236-284, 2020

      2 송원용, "형태론 연구의 쟁점과 전망- 유추론자와 규칙론자의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48 : 1-44, 2010

      3 최형용, "한국어 형태론" 역락 2016

      4 최형용, "한국어 연구와 유추" 역락 2015

      5 최형용, "한국어 신어 형성 연구" 역락 2022

      6 김혜지, "축약형 단어와 유추" 형태론 18 (18): 183-215, 2016

      7 채현식, "이병근선생퇴임기념 국어학총론" 태학사 2005

      8 최형용, "의미 관계와 신어 형성" 한국어의미학회 66 : 35-74, 2019

      9 김혜지, "유추에 의한 신어 형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22

      10 채현식, "유추에 의한 복합명사 형성 연구" 태학사 2003

      1 송원용, "혼성이라는 형태론적 과정의 재구성" 형태론 22 (22): 236-284, 2020

      2 송원용, "형태론 연구의 쟁점과 전망- 유추론자와 규칙론자의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48 : 1-44, 2010

      3 최형용, "한국어 형태론" 역락 2016

      4 최형용, "한국어 연구와 유추" 역락 2015

      5 최형용, "한국어 신어 형성 연구" 역락 2022

      6 김혜지, "축약형 단어와 유추" 형태론 18 (18): 183-215, 2016

      7 채현식, "이병근선생퇴임기념 국어학총론" 태학사 2005

      8 최형용, "의미 관계와 신어 형성" 한국어의미학회 66 : 35-74, 2019

      9 김혜지, "유추에 의한 신어 형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22

      10 채현식, "유추에 의한 복합명사 형성 연구" 태학사 2003

      11 안주현, "신어 형성의 음운론적 특성 연구 - 2002~2008년 신어를 대상으로 -" 한국문학언어학회 (84) : 9-34, 2020

      12 최형용, "신어 형성에서 유추의 역할은 무엇인가 - 마티엘로(2017), Analogy in Word-formation을 중심으로 -" 형태론 23 (23): 171-215, 2021

      13 남길임, "신어 2020: 코로나 팬데믹 시대의 새로운 언어" 한국문화사 2021

      14 정한데로, "발견을 위한 한국어 단어형성론" 서강대학교출판부 2019

      15 최형용, "문법에서 유추의 역할은 무엇인가- 블레빈스 외 편(2009), Analogy in Grammar를 중심으로-" 형태론 17 (17): 285-335, 2015

      16 채현식, "대치(代置)에 의한 단어형성" 형태론 5 (5): 1-21, 2003

      17 최형용, "단어 형성과 음절수" 국어국문학회 (138) : 183-205, 2004

      18 김혜지, "단어 형성 기제로서의 유추에 대한 재고찰 -유추의 유형 분류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99) : 211-245, 2021

      19 송원용, "국어의 단어형성체계 재론" 진단학회 (104) : 105-126, 2007

      20 이광호, "국어 파생 접사의 생산성과 저지에 대한 계량적 연구" 태학사 2009

      21 송원용, "국어 어휘부와 단어 형성" 태학사 2005

      22 최형용, "국어 단어의 형태와 통사: 통사적 결합어를 중심으로" 태학사 2003

      23 정한데로, "規則과 類推, 다시 생각하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4 (44): 99-126, 2016

      24 하스펠마트, "Understanding Morphology" Hodder Education 2010

      25 드레슬러, "Morphopragmatics" Mouton de Gruyter 1994

      26 워렌, "Contemporary Morphology" Mouton de Gruyter 111-132,

      27 보이, "Construction Morp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8 마티엘로, "Analogy in Word-Formation: A Study of English Neologisms and Occasionalisms" De Gruyter Mouton

      29 퍼티그, "Analogy and Morphological Change" Edinburgh University Pres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Morphology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형태론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87 2.42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