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운채, "자기서사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서사척도"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4) : 213-242, 2007
2 정운채,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의 개발에 따른 고전문학 연구와 교육의 새 지평" 한국문학치료학회 16 : 201-225, 2010
3 황혜진, "자기서사 진단도구의 개발 현황과 개선 방안" 한국문학치료학회 38 : 65-98, 2016
4 장경희,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적 웰다잉 교육 프로그램 실행연구" 건국대학교 2021
5 김은정, "설화를 통한 농아인 대상 문학치료 연구 : MMSS 서사반응 분석과미술치료 활동을 연계한 문학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021
6 김은정, "민담 <두 나그네>를 활용한 문학치료학적 상담사례연구 -MMSS검사 분석과 ‘그림자’원형 이론을 배경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54 : 217-250, 2020
7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한국문학치료학회 9 : 247-278, 2008
8 신동흔, "문학치료를 위한 자기서사 진단과 해석 연구 -MMSS 진단지의 성격과 구성, 해석과 활용-" 한국문학치료학회 54 : 9-104, 2020
9 신동흔, "문학치료를 위한 설화의 서사적 분기점과 서사 반응 분석 -<선녀와 나무꾼> MMLT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61 : 9-128, 2021
10 신동흔, "문학치료를 위한 서사 분석 요소와 체계 연구" 한국문학치료학회 49 : 9-89, 2018
1 정운채, "자기서사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서사척도"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4) : 213-242, 2007
2 정운채,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의 개발에 따른 고전문학 연구와 교육의 새 지평" 한국문학치료학회 16 : 201-225, 2010
3 황혜진, "자기서사 진단도구의 개발 현황과 개선 방안" 한국문학치료학회 38 : 65-98, 2016
4 장경희,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적 웰다잉 교육 프로그램 실행연구" 건국대학교 2021
5 김은정, "설화를 통한 농아인 대상 문학치료 연구 : MMSS 서사반응 분석과미술치료 활동을 연계한 문학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021
6 김은정, "민담 <두 나그네>를 활용한 문학치료학적 상담사례연구 -MMSS검사 분석과 ‘그림자’원형 이론을 배경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54 : 217-250, 2020
7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한국문학치료학회 9 : 247-278, 2008
8 신동흔, "문학치료를 위한 자기서사 진단과 해석 연구 -MMSS 진단지의 성격과 구성, 해석과 활용-" 한국문학치료학회 54 : 9-104, 2020
9 신동흔, "문학치료를 위한 설화의 서사적 분기점과 서사 반응 분석 -<선녀와 나무꾼> MMLT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61 : 9-128, 2021
10 신동흔, "문학치료를 위한 서사 분석 요소와 체계 연구" 한국문학치료학회 49 : 9-89, 2018
11 최정문, "무기력을 호소하는 20대 후반 여성에 대한 문학치료 사례연구 : ' 어른아이' 서사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021
12 "http://mmss-on.kr/MMSS-ON/form.php"
13 "http://mmlt.kr"
14 신동흔, "MMSS 자기서사 진단지 활용 매뉴얼" 현출판 2022
15 신동흔, "MMLT_선녀와 나무꾼 활용 매뉴얼" 현출판 2022
16 최정문, "<들장미 공주> MMLT 서사 반응 분석" 한국문학치료학회 65 : 39-92,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