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지혜, "황순원 장편소설의 서술 기법과 수용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9
2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행복한 삶과 문학치료" 쿠북 2016
3 Herman, J., "트라우마" 열린책들 2012
4 Freud. S, "쾌락원칙을 넘어서" 열린책들 1998
5 김영미, "중산층 여성의 정체성 탐구" (가을) : 1991
6 명형대, "조각그림 맞추기와 소설읽기-오정희의"바람의 넋"연구-" 배달말학회 27 : 2000
7 이재선, "재난과 트로마의 시학" (겨울) : 1998
8 김미영, "오정희의「바람의 넋」다시 읽기 - 모티프를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50) : 205-230, 2016
9 박미란, "오정희의 소설에 나타난 트로마의 시학"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10 엄미옥,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불안의 의미 연구" 숙명여대 한국어문화연구소 5 : 2009
1 박지혜, "황순원 장편소설의 서술 기법과 수용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9
2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행복한 삶과 문학치료" 쿠북 2016
3 Herman, J., "트라우마" 열린책들 2012
4 Freud. S, "쾌락원칙을 넘어서" 열린책들 1998
5 김영미, "중산층 여성의 정체성 탐구" (가을) : 1991
6 명형대, "조각그림 맞추기와 소설읽기-오정희의"바람의 넋"연구-" 배달말학회 27 : 2000
7 이재선, "재난과 트로마의 시학" (겨울) : 1998
8 김미영, "오정희의「바람의 넋」다시 읽기 - 모티프를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50) : 205-230, 2016
9 박미란, "오정희의 소설에 나타난 트로마의 시학"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10 엄미옥,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불안의 의미 연구" 숙명여대 한국어문화연구소 5 : 2009
11 이소연, "오정희 소설 속에 나타난 여성 정체성의 의미화 과정 연구 - 「바람의 넋」, 「파로호」, 「옛 우물」을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학회 (30) : 65-96, 2009
12 김은혜, "오정희 성장소설의 트라우마 양상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13 이상신, "오정희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2007
14 이남호, "오정희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2007
15 성민엽, "오정희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2007
16 나지영, "영화 <위대한 개츠비>에 나타는 관계 지속의 문제와 그 해결 방안 탐색" 한국문학치료학회 28 : 2013
17 P. Ricoeur, "시간과 이야기2" 문학과 지성사 2004
18 Rimmon-Kenan, "소설의 현대시학" 예림기획 2003
19 D. Winnicott, "성숙과정과 촉진적 환경"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0
20 John Bradshaw, "상처받은 내면아이의 치유" 학지사 2004
21 강숙아, "바람의 넋의 서사담론 분석"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3) : 287-317, 2010
22 오정희, "바람의 넋" 문학과 지성사 2018
23 박선미, "문학치료를 활용한 문학교육 방법 연구 : -성장소설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2017
24 신동흔, "문학치료를 위한 서사 분석 요소와 체계 연구" 한국문학치료학회 49 : 9-89, 2018
25 김수연, "문학치료 기초서사로서 형제서사 설정 문제-인간관계 발달과정에 따른 관계적 사건과 심리적 자리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47 : 9-57, 2018
26 Lavinia Gomez, "대상관계이론 입문" 학지사 2019
27 박경순, "대상관계 이론적 시각에서 본 한국 가정의 결혼갈등과 주부 우울증" 대한스트레스학회 17 (17): 185-197, 2009
28 D. Scharff, "대상관계 부부치료"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3
29 김진숙, "대상관계 가족치료이론의 한국적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8 (8): 2000
30 James M. Donoban, "단기 대상관계 부부치료"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8
31 김중호, "내면부모와 내면아이" 학지사 2017
32 정재림, "기억의 회복과 여성 정체성 -오정희 유년의 뜰과 바람의 넋을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51 : 379-399, 2005
33 서유정, "‘상처받은 내면아이’ 치유과정의 문학적 형상화 - 카슈니츠의「뚱보 아이」와 『유년의 집』" 한국독일현대문학회 (44) : 65-89,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