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 시기 ‘공군 부곰카페’를 대상으로 살펴본 문학치료의 양상과 전망 = Literary Therapy in the Era of COVID-19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Prospects of the ‘Air Force Bugom Caf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823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r Force Bugom Cafe' (https://cafe.daum.net/SkyEagle) is a place where parents and close friends join as members when their sons enlist in the Air Force and undertake their mandatory service. It is the Internet's Daum cafe where people share relevant information, including their longing for their family members during the enlistment period, and comfort each other. The cafe’s membership grew rapidly when military leaves of absence or visits were not allowed due to COVID-19. During that period, it was confirmed from the posts and comments in the Bugom Cafe that a process was developing that could be seen as mutual therapy where people can comfort, and sympathize with each other, and build solidarity through literary works.
      This study examines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Air Force Bugom Cafe' as a literary therapy space and analyzes the various literary therapy practices that occur within i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thors and different genres. Members of the cafe share their own creative writing, such as poems or songs. It provides a venue to present existing literary works, essays and reviews, and experiential essays based on personal experiences. Through this process, the anxieties of families who have sent loved ones to the military are gradually alleviated, and the desire for emotional expression and self-esteem through writing and creative expression is fulfilled. These ultimately lead to a sense of empathy and solidarity through shared therapeutic experiences.
      This study confirms the potential of literary therapy in an online space for a group that shares a specific situation. It is hoped that by expanding the advantages and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such online spaces, the use of literary therapy can continue to grow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Air Force Bugom Cafe' (https://cafe.daum.net/SkyEagle) is a place where parents and close friends join as members when their sons enlist in the Air Force and undertake their mandatory service. It is the Internet's Daum cafe where people share rel...

      The 'Air Force Bugom Cafe' (https://cafe.daum.net/SkyEagle) is a place where parents and close friends join as members when their sons enlist in the Air Force and undertake their mandatory service. It is the Internet's Daum cafe where people share relevant information, including their longing for their family members during the enlistment period, and comfort each other. The cafe’s membership grew rapidly when military leaves of absence or visits were not allowed due to COVID-19. During that period, it was confirmed from the posts and comments in the Bugom Cafe that a process was developing that could be seen as mutual therapy where people can comfort, and sympathize with each other, and build solidarity through literary works.
      This study examines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Air Force Bugom Cafe' as a literary therapy space and analyzes the various literary therapy practices that occur within i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thors and different genres. Members of the cafe share their own creative writing, such as poems or songs. It provides a venue to present existing literary works, essays and reviews, and experiential essays based on personal experiences. Through this process, the anxieties of families who have sent loved ones to the military are gradually alleviated, and the desire for emotional expression and self-esteem through writing and creative expression is fulfilled. These ultimately lead to a sense of empathy and solidarity through shared therapeutic experiences.
      This study confirms the potential of literary therapy in an online space for a group that shares a specific situation. It is hoped that by expanding the advantages and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such online spaces, the use of literary therapy can continue to grow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공군 부곰카페(https://cafe.daum.net/SkyEagle)’는 아들이 공군으로 입대해 의무 복무를 하게 된 상황에서 그 부모를 비롯한 가족과 절친한 친구들이 회원으로 가입해, 아들의 군 복무와 관련한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그 기간 동안의 그리움을 나누며 위로하는 인터넷 다음(daum) 카페이다. 이 카페의 회원들은 코로나19로 인해 군대의 휴가나 면회가 자유롭지 않았던 시기에 급속한 성장을 보였는데, 그 기간 동안 부곰 카페 내 게시글과 댓글에서 문학작품을 통해 서로 위로하고 공감하며 연대해나가는 상호치료로 볼 만한 과정이 전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자세히 파악하고자 이 논문에서는 ‘공군 부곰카페’가 상호치료 공간으로서 규정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해 정리한 후,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문학치료의 양상들에 대해 작자군의 특성과 더불어 장르별로 예시를 들어가며 검토했다. 카페 회원들은 본인이 직접 지은 창작시나 창작가사, 기존 작품에 대한 소개의 글이나 감상문 및 평론, 그리고 체험에 바탕을 둔 교술산문 등의 다양한 장르를 활용해 게시글과 화답글을 올리며 소통했다. 그 과정을 통해 아들을 군대에 보낸 가족들이 가졌던 불안 요소가 점차 사라지고 글쓰기와 창작을 통한 정서적 표현 욕구와 자존감이 충족되면서 결국에는 작품의 소통을 통한 공감과 연대의식이 확보되는 치료의 경험을 공유하게 되었다.
      이 논문을 통해 특정의 상황을 공유하는 집단 내에서 온라인 공간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문학치료의 가능성을 확인한 만큼, 그 장점의 최대치를 넓히면서 동시에 과제를 보완하는 방법까지 고민함으로써 이러한 인터넷 공간이 더 확장되고 깊이를 더해 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공군 부곰카페(https://cafe.daum.net/SkyEagle)’는 아들이 공군으로 입대해 의무 복무를 하게 된 상황에서 그 부모를 비롯한 가족과 절친한 친구들이 회원으로 가입해, 아들의 군 복무와 관련한 ...

      ‘공군 부곰카페(https://cafe.daum.net/SkyEagle)’는 아들이 공군으로 입대해 의무 복무를 하게 된 상황에서 그 부모를 비롯한 가족과 절친한 친구들이 회원으로 가입해, 아들의 군 복무와 관련한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그 기간 동안의 그리움을 나누며 위로하는 인터넷 다음(daum) 카페이다. 이 카페의 회원들은 코로나19로 인해 군대의 휴가나 면회가 자유롭지 않았던 시기에 급속한 성장을 보였는데, 그 기간 동안 부곰 카페 내 게시글과 댓글에서 문학작품을 통해 서로 위로하고 공감하며 연대해나가는 상호치료로 볼 만한 과정이 전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자세히 파악하고자 이 논문에서는 ‘공군 부곰카페’가 상호치료 공간으로서 규정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해 정리한 후,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문학치료의 양상들에 대해 작자군의 특성과 더불어 장르별로 예시를 들어가며 검토했다. 카페 회원들은 본인이 직접 지은 창작시나 창작가사, 기존 작품에 대한 소개의 글이나 감상문 및 평론, 그리고 체험에 바탕을 둔 교술산문 등의 다양한 장르를 활용해 게시글과 화답글을 올리며 소통했다. 그 과정을 통해 아들을 군대에 보낸 가족들이 가졌던 불안 요소가 점차 사라지고 글쓰기와 창작을 통한 정서적 표현 욕구와 자존감이 충족되면서 결국에는 작품의 소통을 통한 공감과 연대의식이 확보되는 치료의 경험을 공유하게 되었다.
      이 논문을 통해 특정의 상황을 공유하는 집단 내에서 온라인 공간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문학치료의 가능성을 확인한 만큼, 그 장점의 최대치를 넓히면서 동시에 과제를 보완하는 방법까지 고민함으로써 이러한 인터넷 공간이 더 확장되고 깊이를 더해 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경주, "화전가의 의사소통 방식에 나타난 문학치료적 의미"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0) : 27-52, 2005

      2 요한 하위징아, "호모루덴스" 연암서가 2018

      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 지식산업사 2005

      4 박경주, "인터넷 카페 내 창작 가사의 향유 양상에 대한 일 고찰 -‘공군가족 카페’ 가사를 대상으로 한 규방가사의 계승 및 변용에 주목하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49) : 297-332, 2022

      5 김수영, "빈곤층의 온라인공동체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 - 수급자 인터넷카페 회원들의 정보행태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71 (71): 225-252, 2019

      6 김석회, "문학치료학의 전개와 진로" 한국문학치료학회 1 : 17-30, 2004

      7 박경주, "규방가사 창작에 담긴 문학치료적 기능 -여성 작가와 남성 작가의 경우를 포괄하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6) : 111-144, 2008

      8 들풀, "공군엄마1-아빠가 바라본 공군 엄마의 아들 바라기" 부크크(BOOKK)출판 2021

      9 "공군 부곰카페"

      10 사랑라임맘, "같은 마음, 같은 기다림-821기 공구니 맘빠들의 난리법석 아들바라기" 퍼플 출판 2022

      1 박경주, "화전가의 의사소통 방식에 나타난 문학치료적 의미"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0) : 27-52, 2005

      2 요한 하위징아, "호모루덴스" 연암서가 2018

      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 지식산업사 2005

      4 박경주, "인터넷 카페 내 창작 가사의 향유 양상에 대한 일 고찰 -‘공군가족 카페’ 가사를 대상으로 한 규방가사의 계승 및 변용에 주목하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49) : 297-332, 2022

      5 김수영, "빈곤층의 온라인공동체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 - 수급자 인터넷카페 회원들의 정보행태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71 (71): 225-252, 2019

      6 김석회, "문학치료학의 전개와 진로" 한국문학치료학회 1 : 17-30, 2004

      7 박경주, "규방가사 창작에 담긴 문학치료적 기능 -여성 작가와 남성 작가의 경우를 포괄하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6) : 111-144, 2008

      8 들풀, "공군엄마1-아빠가 바라본 공군 엄마의 아들 바라기" 부크크(BOOKK)출판 2021

      9 "공군 부곰카페"

      10 사랑라임맘, "같은 마음, 같은 기다림-821기 공구니 맘빠들의 난리법석 아들바라기" 퍼플 출판 2022

      11 박경주, "<합천 화양동 규방가사>의 토론문학적 성격 고찰" 겨레어문학회 33 :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