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진규 시의 ‘정원’ 과 생태인문학 = The ‘Garden’ in Jeong Jin-Gyu’ s Poetry and the Ecological Human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562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정진규 시인의 시집 전체를 대상으로 삼아 그의 첫 시집부터 마지막 시집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나타나면서 시의 물리적 공간이자 정신적 공간으로 작용한 ‘정원’의 문제를 탐...

      이 글은 정진규 시인의 시집 전체를 대상으로 삼아 그의 첫 시집부터 마지막 시집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나타나면서 시의 물리적 공간이자 정신적 공간으로 작용한 ‘정원’의 문제를 탐구해본 것이다.
      정진규의 시에서 ‘정원’은 세 단계를 거치면서 생태적 세계와 인문학적 세계를 상호 성장시키고 고양시키는 발전의 장이 된다. 그 첫째 단계는 소위 ‘서울 시절’ 혹은 ‘수유리 시절’이라고 칭할 수 있는 196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의 ‘뜨락’을 통한 정원의 발견과 生長의 시기이다. 여기서 정진규 시인은 그의 거주지의 작은 ‘뜨락’에 의지하여 생태적 감각과 인문학적 감성 및 정신세계를 탄생시키고 발전시킨다.
      두 번째 단계는 2000년 중반에 고향이자 생가터인 ‘안성’으로의 회귀가 이루어진 이후의 이른바 ‘안성 시절’을 통한 ‘정원’의 비약적인 성장 단계이다. 정진규 시인은 회귀한 고향이자 생가터에 ‘夕佳軒’이라는 당호의 집을 짓고 새 차원의 ‘정원’을 가꾸고 구축한다. 이 석가헌에서 가장 큰 비중을 갖는 것은 석가헌을 구성하는 건물로서의 집이 아니라 그 전체를 아우르며 토대와 중심지대가 되어주는 ‘마당’ 혹은 ‘정원’이다. 이 ‘안성 시절’의 ‘석가헌/마당’의 ‘정원’은 정진규의 시 속에 나타난 정원의 역사에서 ‘熟成’의 단계이다.
      끝으로 정진규 시인은 안성 시절의 ‘석가헌/마당’을 ‘律呂精舍/마당’으로 전변시킴으로써 또다른 차원의 정원을 가꾸고 열어간다. 이 율려정사의 마당 혹은 정원에서 정진규 시인은 영성적 생태학 또는 생태적 영성학이라고 부를 수 있는 근대적 의미의 인문학 너머의 세계까지 창조한다. 여기서 시인은 정원을 가꾸는 사람으로서의 우월적이며 의도적인 인간적 작위성을 내려놓고 우주적 이치의 본원상인 ‘율려’가 스스로 작동하는 평등하며 자생적이고 우주적인 정원의 청취자가 된다. 그는 이 단계에서 더 이상 일반적 의미의 정원사나 정원의 주인장이 아니라 정원이 스스로 정원을 만들어가는 것을 보게 된, 자생정원이자 우주정원의 청지기이다. 그러한 그는 자신의 정원을 받아 적는 겸허한 필사자가 된다.
      정진규의 시인생활 전체를 통하여 나타난 ‘정원’과의 동행, ‘정원’에 대한 탐구, ‘정원’을 통한 공부는 생태감각을 원체험으로 지닌 시인이 아주 작은 "뜨락’에서부터 보다 큰 "마당’과 정원으로 물리적인 확대를 이루어 나아가는 길과 더불어 그 크기와 무관하게 ‘정원’의 심층과 본질을 보다 심오하게 만나면서 마침내 인문정신의 高處와 영성적 세계를 읽고 향유하며 전달하는 한 시인정신의 아름다운 결실을 보게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d issues related to ‘gardens’, which appear consistently in the 18 poetry collections of poet Jeong Jin-Gyu from his first collection to his last and which act as the physical space and mental space of poetry. In the poetry of ...

      This article examined issues related to ‘gardens’, which appear consistently in the 18 poetry collections of poet Jeong Jin-Gyu from his first collection to his last and which act as the physical space and mental space of poetry.
      In the poetry of Jeong Jin-Gyu, such ‘gardens’ go through three stages, mutually developing and edifying the ecological world and the world of the humanities. The first stage is the period of garden discovery and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ddurak (garden)’ from the mid-1960s to the early 2000s that can be referred to as the ‘Seoul years’ or 'Suyuri years’. Here, the poet Jeong Jin-Gyu relies on the small ‘ddurak' of his residence and gives birth to an ecological sense along with humanistic sensibility and a mental world and he makes these grow in abundance.
      The second stage is the rapid developmental stage of ‘gardens’ through the ‘Anseong period’ in the early 2000s after the return to ‘Anseong’, which was his hometown and place of birth. The poet Jeong Jin-Gyu builds a house called "Seokgahun" in his returned hometown and birthplace and cultivates and builds a "garden" of a new level. The largest part of this Seokgahun is not the house as a building that forms the Seokgahun, but the yard’ or ‘garden’, which encompasses the whole and acts as the foundation and center. The garden’ of 'Seokgahun/yard’ during the ‘Ansung period’ is the stage of ripening’ in the history of ‘gardens’ in Jeong Jin-Gyu’s poetry.
      Finally, the poet Jeong Jin-Gyu cultivates and opens a garden of another level by changing the ‘seokgahun/yard’ of the Anseong period into 'yulliujeongsa/yard’. In this yuliujeongsa yard or garden, the poet Jeong Jin-Gyu creates a world beyond the humanities of modem meaning, can be called spiritual ecology or ecological spiritualism Here, the poet puts down his superior and intentional human composition as a gardener and becomes a listener of an equal, self-sustaining, and cosmic garden in which “yulliu,” the origin of cosmic logic, works itself. Thus, he is no longer a gardener or garden owner in a general sense at this stage, but a steward of a self-sustaining and cosmic garden who has seen the garden make its own garden.
      The accompaniment of ‘gardens’ that appear throughout the entirety of Jeong Jin-Gyu’s poetic life, explorations of gardens, and studies through “gardens” look upon the beautiful results of a poetic mind that reads, enjoys, and passes on the path upon which a poet who originally experienced ecological senses achieves physical expansions from a very small ‘ddurak’ to a larger ‘yard’ and garden along with the heights of a humanistic spirit and spiritual world as they profoundly meet the depths and essence of ‘gardens’ regardless of siz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