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 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한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The Effects of a Brief Intervention for Insomnia o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Insomnia is one of the major concerns in the elderly population.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for insomnia is the rst line treatment option, but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cluding time and cost burdens and the requirement for suf cient cog- nitive resources to obtain a proper treatment effect. The Brief intervention for insomnia (BII) is a treatment that focuses on be- havioral aspects of insomnia in primary care pract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BII in communi- 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A total of 47 older adults with insomnia were enrolled from community centers between May 2016 and January 2018. They participated in the BII program for three weeks. We gathered sleep-related participant information with using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the Sleep hygiene index, and a sleep diary. Clinical ef cacy was evaluated by comparing total sleep time (TST), sleep latency (SL), waking after sleep onset (WASO), and sleep ef ciency (SE)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Results: There was signi cant improvement in sleep-related features after BII. Global score and sleep quality from the PSQI, freshness, and WASO from the sleep diary showed statistically signi cant improvement.
      Conclusion: We found BII showed positive clinical ef cacy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ive sleep quality and WASO. This nding implies that BII can be effectively applied for the managment of elderly in- somnia patients in a community setting.
      번역하기

      Objectives: Insomnia is one of the major concerns in the elderly population.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for insomnia is the rst line treatment option, but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cluding time and cost burdens and the requirement for suf cien...

      Objectives: Insomnia is one of the major concerns in the elderly population.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for insomnia is the rst line treatment option, but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cluding time and cost burdens and the requirement for suf cient cog- nitive resources to obtain a proper treatment effect. The Brief intervention for insomnia (BII) is a treatment that focuses on be- havioral aspects of insomnia in primary care pract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BII in communi- 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A total of 47 older adults with insomnia were enrolled from community centers between May 2016 and January 2018. They participated in the BII program for three weeks. We gathered sleep-related participant information with using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the Sleep hygiene index, and a sleep diary. Clinical ef cacy was evaluated by comparing total sleep time (TST), sleep latency (SL), waking after sleep onset (WASO), and sleep ef ciency (SE)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Results: There was signi cant improvement in sleep-related features after BII. Global score and sleep quality from the PSQI, freshness, and WASO from the sleep diary showed statistically signi cant improvement.
      Conclusion: We found BII showed positive clinical ef cacy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ive sleep quality and WASO. This nding implies that BII can be effectively applied for the managment of elderly in- somnia patients in a community sett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한국 사회의 고령화와 동반되어 노인 인구의 불 면증은 증가되는 추세이나 이로 인해 초래되는 개인 및 사 회경제적손실에비해적절한치료를받는환자의수는많 지 않다. 불면증 인지행동치료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일차적인 치료로서 추천되고 있으나, 시간 및 경제적 제약, 인지적인 자원이 필요한 부담으로 인해 치료에 대한 접근성 이 제한된 실정이다.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은 이러한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 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 법:2016년 5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서울 소재 3개의 노인 종합복지관을 방문한 65세 이상의 불면증을 호소하는 노인들 47명을 대상으로 3주에 걸쳐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 그램을 시행하였다. 프로그램의 전, 후의 수면의 질을 측정하 는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수면 위생 척도, 정서 관련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치료 기간 중 매일 수면 일지를 작성하도록 지시하였다. 임상적 효 과는 치료 전후의 총 수면 시간, 수면 잠재기, 수면 후 각성 시간 및 수면 효율로 평가하였다. 치료 전, 후의 변화를 비교 하기 위해 비모수검정 방법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증(Wil- coxon’s signed-ranks test)을 이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불면증단기치료프로그램을시행한뒤,치료전 보다 대상자들의 PSQI 총점이 감소하였으며 PSQI 로 측정 한 주관적 수면의 질이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치료 전후에 시행한 수면 일지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개운함 및 수면 후 각성 시간에 대해서 유의한 수준의 호전을 보였다.
      결 론:개발된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은 지역 사회 노인의 불면증에 대해 긍정적인 치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불면증 인지행동치료에 비해 시간적, 인지 적자원부담이적음을고려하였을때불면증단기치료프 로그램은 지역 사회 내에서 노인 불면증 치료에 대한 접근 성을 확대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목 적:한국 사회의 고령화와 동반되어 노인 인구의 불 면증은 증가되는 추세이나 이로 인해 초래되는 개인 및 사 회경제적손실에비해적절한치료를받는환자의수는많 지 않다. 불면증 인지행...

      목 적:한국 사회의 고령화와 동반되어 노인 인구의 불 면증은 증가되는 추세이나 이로 인해 초래되는 개인 및 사 회경제적손실에비해적절한치료를받는환자의수는많 지 않다. 불면증 인지행동치료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일차적인 치료로서 추천되고 있으나, 시간 및 경제적 제약, 인지적인 자원이 필요한 부담으로 인해 치료에 대한 접근성 이 제한된 실정이다.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은 이러한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 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 법:2016년 5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서울 소재 3개의 노인 종합복지관을 방문한 65세 이상의 불면증을 호소하는 노인들 47명을 대상으로 3주에 걸쳐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 그램을 시행하였다. 프로그램의 전, 후의 수면의 질을 측정하 는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수면 위생 척도, 정서 관련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치료 기간 중 매일 수면 일지를 작성하도록 지시하였다. 임상적 효 과는 치료 전후의 총 수면 시간, 수면 잠재기, 수면 후 각성 시간 및 수면 효율로 평가하였다. 치료 전, 후의 변화를 비교 하기 위해 비모수검정 방법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증(Wil- coxon’s signed-ranks test)을 이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불면증단기치료프로그램을시행한뒤,치료전 보다 대상자들의 PSQI 총점이 감소하였으며 PSQI 로 측정 한 주관적 수면의 질이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치료 전후에 시행한 수면 일지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개운함 및 수면 후 각성 시간에 대해서 유의한 수준의 호전을 보였다.
      결 론:개발된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은 지역 사회 노인의 불면증에 대해 긍정적인 치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불면증 인지행동치료에 비해 시간적, 인지 적자원부담이적음을고려하였을때불면증단기치료프 로그램은 지역 사회 내에서 노인 불면증 치료에 대한 접근 성을 확대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용래, "한국판 불안통제 질문지의 심리측정적 속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3 (23): 503-520, 2004

      2 안소현, "일 도시 지역사회 노인들의 불면증 유병률 및 위험인자"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9 (19): 32-39, 2015

      3 Espie CA, "“Stepped care”: a health technology solution for deliver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s a first line insomnia treatment" 32 : 1549-1558, 2009

      4 Cho M,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GDS)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38 : 1-, 1999

      5 Vitiello MV, "The future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insomnia: what important research remains to be done?" 69 : 1013-1021, 2013

      6 Espie CA,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cognitive behaviour therapy for chronic insomnia: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sleep clinic in general medical practice" 39 : 45-60, 2001

      7 Buysse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28 : 193-213, 1989

      8 Ancoli-Israel S, "Sleep in the elderly: normal variations and common sleep disorders" 16 : 279-286, 2008

      9 Avidan AY, "Sleep disorders in the older patient" 32 : 563-586, 2005

      10 Foley DJ, "Sleep complaints among elderly persons: an epidemiologic study of three communities" 18 : 425-432, 1995

      1 조용래, "한국판 불안통제 질문지의 심리측정적 속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3 (23): 503-520, 2004

      2 안소현, "일 도시 지역사회 노인들의 불면증 유병률 및 위험인자"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9 (19): 32-39, 2015

      3 Espie CA, "“Stepped care”: a health technology solution for deliver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s a first line insomnia treatment" 32 : 1549-1558, 2009

      4 Cho M,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GDS)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38 : 1-, 1999

      5 Vitiello MV, "The future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insomnia: what important research remains to be done?" 69 : 1013-1021, 2013

      6 Espie CA,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cognitive behaviour therapy for chronic insomnia: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sleep clinic in general medical practice" 39 : 45-60, 2001

      7 Buysse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28 : 193-213, 1989

      8 Ancoli-Israel S, "Sleep in the elderly: normal variations and common sleep disorders" 16 : 279-286, 2008

      9 Avidan AY, "Sleep disorders in the older patient" 32 : 563-586, 2005

      10 Foley DJ, "Sleep complaints among elderly persons: an epidemiologic study of three communities" 18 : 425-432, 1995

      11 Alessi C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to improve abnormal sleep/wake patterns in nursing home residents" 53 : 803-810, 2005

      12 Mintz J, "Psychotherapy with depressed elderly patients: research considerations" 49 : 542-548, 1981

      13 Hamblin JE, "Insomnia: an ignored health problem" 34 : 659-674, 2007

      14 Morin CM, "Insomnia: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Guilford Press 1993

      15 Brabbins C, "Insomnia in the elderly: prevalence, gender differences and relationships with morbidity and mortality" 8 : 473-480, 1993

      16 Ohayon MM, "Epidemiology of insomnia: what we know and what we still need to learn" 6 : 97-111, 2002

      17 Buysse DJ, "Efficacy of brief behavioral treatment for chronic insomnia in older adults" 171 : 887-895, 2011

      18 Yesavage J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17 : 37-49, 1982

      19 Smith MT, "Comparative meta-analysis of pharmacotherapy and behavior therapy for persistent insomnia" 159 : 5-11, 2002

      20 Abler RM, "Cognitive/behavioral and relational/interpersonal group counseling: Effects of an eight-week approach on affective status among independent-living elderly adults" 51 : 969B-, 1990

      21 Verbeek IH,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in clinically referred chronic insomniacs: group versus individual treatment" 4 : 135-151, 2006

      22 Troxel WM, "Clinical management of insomnia with brief behavioral treatment (BBTI)" 10 : 266-279, 2012

      23 Schutte-Rodin S, "Clinical guideline for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insomnia in adults" 4 : 487-504, 2008

      24 Riemann D, "Chronic insomnia: clinical and research challenges--an agenda" 44 : 1-14, 2011

      25 Seo W-S., "Behavior therapy and light therapy of insomnia" 10 : 20-25, 2003

      26 Mastin DF, "Assessment of sleep hygiene using the sleep hygiene index" 29 : 223-227, 2006

      27 Charlson ME, "A new method of classifying prognostic comorbidity in longitudinal studi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40 : 373-383, 19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