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적: 불안정한 소아 경골 간부골절에 대해 K-강선 고정을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유요성을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7월부터 2002년 1월까지 본원에서 K-강선 고정술을 시행하고 1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40141675
2004
Korean
514.22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84-388(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불안정한 소아 경골 간부골절에 대해 K-강선 고정을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유요성을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7월부터 2002년 1월까지 본원에서 K-강선 고정술을 시행하고 1년 ...
목 적: 불안정한 소아 경골 간부골절에 대해 K-강선 고정을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유요성을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7월부터 2002년 1월까지 본원에서 K-강선 고정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소아 경골 간부 고절 15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아 11명, 여아 4명이었고 수상 당시 연령은 3세에서 10세로 평균 7.9세였다. 골유합 시기와 각형성, 하지 부동 정도, 관절 운동 장애, 그 외 합병증의 유무를 알아보았다.
결과: 추시한 환자의 전례에서 골유합 소견을 얻었고 그 시기는 평균 9.5주가 소요되었다. 최종 추시 시(평균 1년 4개월) 전후면 방사선 사진에서 평균 4.2°의 각형성을 보였고 측면 방사선 사진에서 평균 4.4°의 각형성을 나타내었다. 하지 전장 방사선 사진에서 건측과 비교하여 평균 3.7㎜의 하지 연장소견을 나타내었다. 합병증으로 핀 주위 감염이 3례였으나 경구 항생제 투여 및 소독으로 심부 감염 없이 치료되었다. 관절 운동장애, 동통, 하지 부동으로 인한 장애는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 수술의 적응이 되는 소아 경골 간부 골절에서 K-강선을 이용한 치료법은 술기가 비교적 간단하고, 금속 제거술을 위한 이차적 수술도 불필요하며, 고정 후 충분한 안정성을 나타내어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report the effectiveness of Kirschner wire fixation for the treatment of unstable tibial shaft fractures in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15 cases of pediatric tibial shaft fractures treated at our hospital with fixation us...
Purpose: To report the effectiveness of Kirschner wire fixation for the treatment of unstable tibial shaft fractures in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15 cases of pediatric tibial shaft fractures treated at our hospital with fixation using K-wire and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from July 1998 to January 2002. The subjects included 11 boys and 4 girls. The ages ranged from 3 to 10 years at the time of injury with the average age being 7.9 years. We examined the presence of angulation, leg length discrepancy, joint motion limitation, and complications.
Results: Bony fusion was obtained in all patients by an average of postoperative 9.5 weeks. At the time of last follow-up(by an average of postoperative 1 year and 4 months), anterior and posterior radiographs showed an average of 4.2° angulation, and lateral radiographs showed an average of 4.4° angulation. The affected leg was extended by an average of 3.7㎜ compared to the opposite leg according to Bell-Thompson's radiographs. As for complications, infection was developed around the pin in 3 cases but treated with the administration of oral antibiotics and sterilization around the site without progressing to deep infection. We could not observe joint motion limitation, pain and difficulties related with discrepancy in leg length.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fixation using K-wire for children with tibial shaft fractures was a safe and effective method of surgery that could be performed easily, did not require secondary surgery to remove th wire, and showed sufficient stability after fix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Unterschenkelfrakturen in kinde- salter" 91 : 1387-, 1996
2 "Treatment of type II and type III open tibia fractures in children" 11 : 357-362, 1997
3 "Treatment of fractur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1980
4 "Tibial fractures in children:Follow-up study" 8 : 306-, 1988
5 "The Surgical Management of Pediatric Fractures of the Lower Extremity" 52 : 647-659, 2003
6 "The Results and Complication After Treatment of Open Tibia Fractures in Children" 11 (11): 464-470, 1998.April
7 "Plate fixation of femoral shaft fractures in multiply injured children" 75 : 1774-1780, 1993
8 "Overgro- wth and Remodeling after Tibial Shaft Fractures in Children" 13 (13): 672-678, 2000.July
9 "Knochenwaschstam kindern" 91 : 633-, 1966
10 "Isolated Fractures of the tibia with Intact Fibula in Children:A Review of 95 Patients" 17 : 347-, 1997
1 "Unterschenkelfrakturen in kinde- salter" 91 : 1387-, 1996
2 "Treatment of type II and type III open tibia fractures in children" 11 : 357-362, 1997
3 "Treatment of fractur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1980
4 "Tibial fractures in children:Follow-up study" 8 : 306-, 1988
5 "The Surgical Management of Pediatric Fractures of the Lower Extremity" 52 : 647-659, 2003
6 "The Results and Complication After Treatment of Open Tibia Fractures in Children" 11 (11): 464-470, 1998.April
7 "Plate fixation of femoral shaft fractures in multiply injured children" 75 : 1774-1780, 1993
8 "Overgro- wth and Remodeling after Tibial Shaft Fractures in Children" 13 (13): 672-678, 2000.July
9 "Knochenwaschstam kindern" 91 : 633-, 1966
10 "Isolated Fractures of the tibia with Intact Fibula in Children:A Review of 95 Patients" 17 : 347-, 1997
11 "Internal Fixation of Children's Fractures of the Lower Extremity" 1990
12 "Injuries of the leg and ankle Fractures in children" 183-1841955
13 "Fractures of the tibia and fibula Fractures in children" 1271-1288, 1991
14 "Compre- ssion-plate fixation of femoral shaft fractures in children aged 8 to 12 years" 19 : 578-581, 1999
15 "Compartment syndr- ome in open tibial fractures" 68 : 1348-, 1986
16 "Angulation deformity Interlo- cking Nailing for Treatment of Tibia Fracture" 9 (9): 1003-, 1996.October
고령의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Wayne-County 정복법과 해부학적 정복법의 결과 비교
대퇴골 전자간 불안정 골절에서 활강 지연 나사의 전후방 경사와 안정성과의 관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01-0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7-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 The Korean Fracture Society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05-05-30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대한골절학회지외국어명 : 미등록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05 | 0.05 | 0.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05 | 0.05 | 0.217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