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두 계통 잉어의 체성분 비교 = Comparison of Amino Acid Profiles and Lipids of Two Strains of Common Carp, Cyprinus carpi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795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보통잉어와 이스라엘잉어를 같은 조건에서 사육하였을 때 두 품종 간의 체성분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식물성 플랑크톤이 많은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한 보통잉어와 이스라엘잉어의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근육과 내장의 일반 성분을 분석한 결과 근육 중 조지방의 함량은 보통 잉어가 높았고, 회분은 이스라엘잉어가 높았으며 내장 중의 조지방의 함량은 이스라엘 잉어가 휠씬 높았으나, 회분의 함량은 비슷하여 지방의 함량에서 차이가 있었다.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 및 패턴은 비슷하였고 주된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및 Iysine이었으며 전체 함량의 약 42%를 차지하였다. 또한 필수 아미노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38~43%으로 높았다.
      유리 아미노산 중 주된 성분은 taurine과 histidine이었으며 이들이 맛에 영향을 줄 수 있으나 두 품종 간에는 이들 함량이 비슷하였기 때문에 맛에는 차이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지방산 조성은 극성 지질 중 eicosapentaenoic acid(20:5n-3) 및 docosahexaenoic acid(22:6n-3)의 함량이 높아 건강 식품으로서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보통잉어와 이스라엘잉어를 같은 조건에서 사육하였을 때 두 품종 간의 체성분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식물성 플랑크톤이 많은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한 보통잉어와 이스라엘잉어의 아미...

      보통잉어와 이스라엘잉어를 같은 조건에서 사육하였을 때 두 품종 간의 체성분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식물성 플랑크톤이 많은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한 보통잉어와 이스라엘잉어의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근육과 내장의 일반 성분을 분석한 결과 근육 중 조지방의 함량은 보통 잉어가 높았고, 회분은 이스라엘잉어가 높았으며 내장 중의 조지방의 함량은 이스라엘 잉어가 휠씬 높았으나, 회분의 함량은 비슷하여 지방의 함량에서 차이가 있었다.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 및 패턴은 비슷하였고 주된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및 Iysine이었으며 전체 함량의 약 42%를 차지하였다. 또한 필수 아미노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38~43%으로 높았다.
      유리 아미노산 중 주된 성분은 taurine과 histidine이었으며 이들이 맛에 영향을 줄 수 있으나 두 품종 간에는 이들 함량이 비슷하였기 때문에 맛에는 차이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지방산 조성은 극성 지질 중 eicosapentaenoic acid(20:5n-3) 및 docosahexaenoic acid(22:6n-3)의 함량이 높아 건강 식품으로서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fferences of nutritive components in muscle and viscera of local and Israeli strains of common carp were examined. The crude lipid content in muscle was higher in the local carp than in the Israeli carp, but that in viscera was lower in the local carp than in the Israeli carp. There was no appreciable differences of crude protein and ash in viscera between local and Israeli carp.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total amino acid profiles for both local and Israeli carp were very similar. The principal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and Iysine. They were 42 percent of total amino acids. Taurine and histidine were important part of free amino acids. Eicosapentaenoic acid and docosahexaenoic acid content in the polar lipids were high in both strains.
      번역하기

      The differences of nutritive components in muscle and viscera of local and Israeli strains of common carp were examined. The crude lipid content in muscle was higher in the local carp than in the Israeli carp, but that in viscera was lower in the loca...

      The differences of nutritive components in muscle and viscera of local and Israeli strains of common carp were examined. The crude lipid content in muscle was higher in the local carp than in the Israeli carp, but that in viscera was lower in the local carp than in the Israeli carp. There was no appreciable differences of crude protein and ash in viscera between local and Israeli carp.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total amino acid profiles for both local and Israeli carp were very similar. The principal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and Iysine. They were 42 percent of total amino acids. Taurine and histidine were important part of free amino acids. Eicosapentaenoic acid and docosahexaenoic acid content in the polar lipids were high in both strai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