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수요는 산출물시장에서 ‘파생된 수요’(derived demand)라는 점에서 정부지원사업의 고용효과 분석은 매출액 분석을 수반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선택편의 문제를 극복하고 정부지원 R&D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노동수요는 산출물시장에서 ‘파생된 수요’(derived demand)라는 점에서 정부지원사업의 고용효과 분석은 매출액 분석을 수반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선택편의 문제를 극복하고 정부지원 R&D ...
노동수요는 산출물시장에서 ‘파생된 수요’(derived demand)라는 점에서 정부지원사업의 고용효과 분석은 매출액 분석을 수반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선택편의 문제를 극복하고 정부지원 R&D 사업이 사업 참여 중소사업체의 성장성과 수용능력(고용과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이중차감’(Difference-in-Difference, DID), ‘성향점수 짝짓기’(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그리고 ‘통계적 무관 회귀’(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SUR) 모형을 이용한 처리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현행 중소기업의 범위는 기업의 성장 여부가 아닌 근로자 수, 자본 등 생산요소 투입 규모를 기준으로 설정하고 있어 중소기업으로서의 지위와 정책적 혜택의 유지를 위해 상시근로자 기준 고용증가 유인이 낮을 수밖에 없고 본 연구도 이러한 예상이 다르지 않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정부의 R&D 지원 업체(구매조건부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참여업체) 선정은 연구원 수, 벤처기업 여부 등 사업체의 R&D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속성들보다는 자산은 많고 부채는 적은 재무적으로 안정된, 그러나 업력은 많지 않은 중소사업체를 대상으로 선별해 온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상시근로자 증가 인센티브를 유발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생산물시장에서 성장한 중소사업체의 매출액 증가는 파생적으로 중소업체의 고용을 증가시켜 성장을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 바, 정부지원 R&D가 고용을 견인하기 위해서는 자비로운 사회계획가로서의 정부가 일차적으로 매출액 증대를 유인하는 정책적 지원과 함께 정부지원에 의한 매출액 증가가 유발하는 고용효과를 단기 임시직이나 일용직 근로자가 아닌 상시근로자의 증가로 유인하는 정책적인 보완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of employment effects of the government-supported projects should accompany with the analysis of sales effects since the demand for labor occurs as a result of the demand for final products of firms. This research analyzed treatment effects ...
The study of employment effects of the government-supported projects should accompany with the analysis of sales effects since the demand for labor occurs as a result of the demand for final products of firms. This research analyzed treatment effects using a ‘difference-in-difference’ (DID) method,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approach, and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SUR) to see the effect of government-supported R&D projects on the participated SMEs’ employment and sales. We have failed to show significant and persistent employment effects from the government-supported R&D projects to the participated SMEs. It is estimated that the government has selected participated firms not by their R&D potentials such as the number of researchers and venture firms, but by their financial stability such as high assets and low liability. We have shown that sale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final products induce employment. This implies that, for government research and development funding to induce full-time laborers, it is primarily required to support increasing firms sales; above all, the government as a benevolent social planner needs to induce participated firms to increase full-time jobs rather than temporary on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용환, "한국 중소제조업의 성장경로 연구: 사업체 수준 통합자료 분석" 통계청 16 (16): 82-109, 2011
2 박재민, "지자체 R&D 지원사업의 기업 성과에 관한 연구: 경기도 바이오기업에 대한 지원 사례를 중심으로" 산업개발연구소 28 (28): 1-32, 2012
3 김용희, "지속성장을 위한 중소기업 R&D현황 및 투자지원 방향"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2
4 노용환, "중소기업 정책자금 고용효과의 지속성 분석" 한국중소기업학회 34 (34): 47-66, 2012
5 지민웅, "제조업에서 중소기업의 규모와 고용성장" 산업연구원 2013
6 이동석, "우리나라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선정 평가지표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산업개발연구소 24 (24): 121-143, 2008
7 밀러, "산업연관분석: 기본 원리와 응용" 2006
8 국가과학기술심의회, "민간 R&D투자 활성화 방안(안) : 기술혁신형 창업 중소기업의 성장촉진을 통한 창조경제 견인"
9 이경휘, "대덕연구개발특구 중소․벤처기업의 연구개발 현황 및 기술수요 조사연구" 산업개발연구소 24 (24): 1-23, 2008
10 장용성, "기술진보의 단기고용창출효과" 44 (44): 411-426, 2005
1 노용환, "한국 중소제조업의 성장경로 연구: 사업체 수준 통합자료 분석" 통계청 16 (16): 82-109, 2011
2 박재민, "지자체 R&D 지원사업의 기업 성과에 관한 연구: 경기도 바이오기업에 대한 지원 사례를 중심으로" 산업개발연구소 28 (28): 1-32, 2012
3 김용희, "지속성장을 위한 중소기업 R&D현황 및 투자지원 방향"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2
4 노용환, "중소기업 정책자금 고용효과의 지속성 분석" 한국중소기업학회 34 (34): 47-66, 2012
5 지민웅, "제조업에서 중소기업의 규모와 고용성장" 산업연구원 2013
6 이동석, "우리나라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선정 평가지표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산업개발연구소 24 (24): 121-143, 2008
7 밀러, "산업연관분석: 기본 원리와 응용" 2006
8 국가과학기술심의회, "민간 R&D투자 활성화 방안(안) : 기술혁신형 창업 중소기업의 성장촉진을 통한 창조경제 견인"
9 이경휘, "대덕연구개발특구 중소․벤처기업의 연구개발 현황 및 기술수요 조사연구" 산업개발연구소 24 (24): 1-23, 2008
10 장용성, "기술진보의 단기고용창출효과" 44 (44): 411-426, 2005
11 중소기업청, "‘중소기업 범위 제도’ 개편방안 확정"
12 Rosegger, G., "The Economics of Production and Innovation: An Industrial Perspective" Pergamon Press 1980
13 Heckman, J. J, "The Common Structure of Statistical Models of Truncation, Sample Selection and Limited Dependent Variables and a Simple Estimator for Such Models" 5 (5): 475-492, 1976
14 Rosenbaum, P.,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sual Effects" 70 (70): 41-55, 1983
15 Roy, A, "Some Thoughts on the Distribution of Earnings" 3 (3): 135-146, 1951
16 Cameron, A. C, "Microeconometrics :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 Press 2005
17 Cahuc, P., "Labor Economics" The MIT Press 2004
18 Rio, Fernando Del, "Iinvestment-Specific Technical Progress, Capital Obsolescence and Job Creation" 17 (17): 248-257, 2010
19 Rubin, D., "Estimating the Causal Effects of Treatments in Randomized and Non-Randomized Studies" 66 (66): 688-701, 1974
20 Barro, Robert J., "Economic Growth" McGraw-Hill 1995
생산성 변화의 구조적 요인분해 한국의 광공업을 중심으로
한국 제조업의 대내적, 대외적 경쟁력 촉진 요인에 대한 연구 : 기술수준군별 분석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7-2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dustrial Innovation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7-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상경연구 -> 산업혁신연구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2 | 0.62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5 | 1.12 | 0.89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