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산성 변화의 구조적 요인분해 한국의 광공업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703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기업규모별 총요소생산성의 증가율의 구조적 분해를 통해 광공업 전체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에 있어 효율적인 자원배분(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과 기업규모 내 생산성 향상 정도가 각각 어느 정도의 기여를 하였는지 살펴본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1980년대 이후 광공업 전체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기업군간 생산성 변화부분보다는 기업군내 생산성 변화부분에 의해 거의 전적으로 설명되고 있다. 2000년대 들어서도 광공업 전체의 생산성 향상에 있어 기업군간 생산성 변화의 효과는 미미한 상황이고 여전히 기업군내 생산성 향상 정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난다. 2000년대 중반 이후 구조적 부담가설의 증거가 약해지거나 반대로 구조적 이득가설의 증거가 발견되기는 하지만 전체 생산성 증대에서 차지하는 효과는 미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기업규모별 총요소생산성의 증가율의 구조적 분해를 통해 광공업 전체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에 있어 효율적인 자원배분(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과 기업규모 내 생산성 향상...

      본 연구에서는 기업규모별 총요소생산성의 증가율의 구조적 분해를 통해 광공업 전체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에 있어 효율적인 자원배분(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과 기업규모 내 생산성 향상 정도가 각각 어느 정도의 기여를 하였는지 살펴본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1980년대 이후 광공업 전체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기업군간 생산성 변화부분보다는 기업군내 생산성 변화부분에 의해 거의 전적으로 설명되고 있다. 2000년대 들어서도 광공업 전체의 생산성 향상에 있어 기업군간 생산성 변화의 효과는 미미한 상황이고 여전히 기업군내 생산성 향상 정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난다. 2000년대 중반 이후 구조적 부담가설의 증거가 약해지거나 반대로 구조적 이득가설의 증거가 발견되기는 하지만 전체 생산성 증대에서 차지하는 효과는 미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ductivity analysis by firm size in the mining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in Korea. In particular, it investigates the contributions of the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across different firm size groups as well as of the specific productivity improvement within specific firm size group on the aggregate productivity, using Peneder(2002)’s structural factor decomposition.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the aggregate productivity growth has been explained almost entirely by the within-group effect rather than the inter-group effect one since 1980s. Even if the evidence after the mid-2000 is lacking to support the structural burden hypothesis and supports the structural bonus hypothesis, the contribution of productivity change across different firm size group on aggregate productivity improvement is still marginal.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ductivity analysis by firm size in the mining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in Korea. In particular, it investigates the contributions of the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across different firm size groups as well as of the...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ductivity analysis by firm size in the mining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in Korea. In particular, it investigates the contributions of the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across different firm size groups as well as of the specific productivity improvement within specific firm size group on the aggregate productivity, using Peneder(2002)’s structural factor decomposition.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the aggregate productivity growth has been explained almost entirely by the within-group effect rather than the inter-group effect one since 1980s. Even if the evidence after the mid-2000 is lacking to support the structural burden hypothesis and supports the structural bonus hypothesis, the contribution of productivity change across different firm size group on aggregate productivity improvement is still margin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초록
      • I. 서론 및 선행연구
      • II. 데이터 분석
      • 2.1 총요소생산성 추정방법
      • 2.2 기업규모별 총요소생산성
      • 논문초록
      • I. 서론 및 선행연구
      • II. 데이터 분석
      • 2.1 총요소생산성 추정방법
      • 2.2 기업규모별 총요소생산성
      • Ⅲ. 총요소생산성의 구조적 요인분해
      • 3.1 분석방법
      • 3.2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의 기업규모별 구조적 요인 분해
      • IV.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 부표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진희, "진입·퇴출의 창조적 파괴과정과 총요소생산성 증가에 대한 실증분석" 25 (25): 3-53, 2003

      2 윤진효,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과 성과에 관한 연구: 대구경북과 타 지역 비교" 산업개발연구소 28 (28): 1-22, 2012

      3 중소기업청, "중소기업 성장경로에 맞춘 정책정비 방안" 2010

      4 김선화, "중소기업 성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중소기업학회 31 (31): 237-254, 2009

      5 경종수,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정책의 기업성장단계별 차별화 방안" 한국중소기업학회 32 (32): 57-79, 2010

      6 조태형, "우리나라 2000년대 중반 이후 생산성 주도형 경제로 이행" 한국은행 2012

      7 김원규, "우리 경제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산업별 생산성 변화" 산업연구원 2009

      8 김원규, "산업구조 변화가 생산성에 미친 영향과 시사점" 산업연구원 2005

      9 김진웅, "대·중소기업 간 생산성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산업연구원 2012

      10 김원규, "기업규모별 성장요인 분석과 시사점" 산업연구원 2011

      1 한진희, "진입·퇴출의 창조적 파괴과정과 총요소생산성 증가에 대한 실증분석" 25 (25): 3-53, 2003

      2 윤진효,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과 성과에 관한 연구: 대구경북과 타 지역 비교" 산업개발연구소 28 (28): 1-22, 2012

      3 중소기업청, "중소기업 성장경로에 맞춘 정책정비 방안" 2010

      4 김선화, "중소기업 성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중소기업학회 31 (31): 237-254, 2009

      5 경종수,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정책의 기업성장단계별 차별화 방안" 한국중소기업학회 32 (32): 57-79, 2010

      6 조태형, "우리나라 2000년대 중반 이후 생산성 주도형 경제로 이행" 한국은행 2012

      7 김원규, "우리 경제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산업별 생산성 변화" 산업연구원 2009

      8 김원규, "산업구조 변화가 생산성에 미친 영향과 시사점" 산업연구원 2005

      9 김진웅, "대·중소기업 간 생산성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산업연구원 2012

      10 김원규, "기업규모별 성장요인 분석과 시사점" 산업연구원 2011

      11 장대익, "기계산업에 있어서 기술격차, 혁신 및 기술협력에 관한 연구: 대․중소기업간 차이를 중심으로" 산업개발연구소 27 (27): 27-56, 2011

      12 Saikiya. D., "Total Factor Productivity in Indian Agriculture" 2009

      13 Cameron, Gavin, "Technological Convergence, R&D, Trade and Productivity Growth" 49 (49): 775-807, 2005

      14 Aw, B. Y.,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Firm Efficiency in Taiwan" 12 (12): 59-79, 1998

      15 Solow, R. M., "Technical Changes and the Aggregate Production Function" 39 (39): 312-320, 1957

      16 "Measuring Productivity - Measurement of Aggregate and Industry-Level Growth"

      17 Guner, Nezih, "Macroeconomic Implications of Size-Dependent Policies" 11 (11): 721-744, 2008

      18 Peneder, Michael, "Industrial Structure and Aggregate Growth" 2002

      19 Nordhaus, W. D., "Baumol’s Diseases" 8 (8): 2008

      20 Yang, Chih-Hai, "Are Small Firms Less Efficient?" 32 (32): 375-395, 2009

      21 전정환, "AHP를 이용한 산학협력 성공요인의 기업규모별 중요도 분석" 산업개발연구소 29 (29): 49-69, 2013

      22 Pyo, H. K., "A Test of Separability and Random Effects in Production Function with Decomposed IT Capital" 48 (48): 67-81, 2007

      23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1년 글로벌 기술혁신 정책동향 및 전망: 성장과 혁신을 위한정부 역할 재조명" 2011

      24 서경란, "2011-2015년 산업·중소기업분야 재정운용방향 : 중소기업분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7-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dustrial Innov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7-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상경연구 -> 산업혁신연구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12 0.89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