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생용 자기배려 척도(SSC) 개발 및 타당화 =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of Self-Caring(SSC)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200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자기배려의 정도를 경험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초등학생용 자기배려 척도(the scale of self-car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SC)’ 를 개발하는 것이다. SSC는 이론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자기배려의 정도를 경험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초등학생용 자기배려 척도(the scale of self-car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SC)’ 를 개발하는 것이다. SSC는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총 50문항의 예비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예비문항을 K초등학교 5, 6학년 231명을 대상으로 요인 추출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스크리 도표의 고유값 하락률과 고유치(eigenvalue) 1 이상, 요인 부하량 .3이상을 기준으로 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요인간 상관관계가 예상되기 때문에 요인수를 5개로 고정하여 사각요인회전(OBLIMIN) 방식으로 요인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요인별 문항내용을 검토하여 요인1은 ‘자기이해’ , 요인2는 ’자기수용’ , 요인3은’자기조절’ , 요인4는 ’자기존중’ , 요인5는’자기 주도성’ 으로 이름 하였고, 각 요인별로 5문항씩 총 25문항이 추출되었다. 요인구조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B초등학교 5, 6학년 212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Normed χ2 값이 1.904(df=265), GFI = .901, CFI = .914, RMSEA = .045로 나타나 요인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SSC의 신뢰도 검증에서 검사 전체의 Cronbach의 α계수는 .926이고, 5개 요인의 신뢰도는 .921~.876이었다. 전후반분 신뢰도는 .908, Guttman 반분계수는 .899, 재검사 신뢰도는 .92이었다. 개발한 검사의 구인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SSC의 요인간 상관을 검증한 결과, 각 요인 간 상관은 .256~.460, 각 요인과 검사전체와 상관은 .425~.602로 p < .01 수준에서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SSC는 통계적으로 타당하고 신뢰로운 척도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 of Self-Caring(SSC)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The date from 231 samples were analyzed to identify sub-factors. 25 items were extracted and 5 sub-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 of Self-Caring(SSC)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The date from 231 samples were analyzed to identify sub-factors. 25 items were extracted and 5 sub-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results: self-respect, self-acceptance, self-control, self-directed. To examine the stability of the factor structure of the 25-item measurement model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in AMOS 21.0, and 5 factors were identified. The fit indices for the 25-item 5-factor model were as follows: χ2(df=265, N=212) =504.442, p< .000; Normed χ2 = 1.904; TLI = .903; CFI = .914; GFI = .901; RMSEA = .045(at 90% confidence intervals, .042-.051). To examine internal consistency and split-half reli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samples of 2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Cronbach's α= .926), split-half reliability(r= .92).
      In conclusion, this instrument demonstrated satisfactory reliability and validity. Therefore, it is an appropriate measurement of a self-caring for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석, "합리적 삶의 가능성: 욕망과 자기 배려에 근거하여"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1 (21): 9-40, 2019

      2 현주, "한국 초·중등학생을 위한 인성검사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9 (29): 83-106, 2015

      3 임정명, "푸코의 자기 배려: 『니벨룽의 반지』와 『황금잔』의 경우"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39) : 189-218, 2017

      4 오현숙, "푸코의 윤리: 자기의 배려에서 광기의 윤리로"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7 : 185-213, 2003

      5 홍은영, "푸코와 자기배려의 윤리학" 철학연구소 (46) : 277-309, 2012

      6 안현수, "푸코 철학에 있어서 ‘자기 배려’" 한국동서철학회 (54) : 345-362, 2009

      7 권오정, "초등학생용 자기성찰지능 척도 및 프로그램 개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8 임경문, "청소년 자해에 관한 연구동향"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717-732, 2020

      9 도승연, "철학의 역할, 진실의 모습: 푸코의 자기-배려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18 : 151-176, 2012

      10 이상명, "자살예방을 위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한국법정책학회 18 (18): 35-56, 2018

      1 김석, "합리적 삶의 가능성: 욕망과 자기 배려에 근거하여"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1 (21): 9-40, 2019

      2 현주, "한국 초·중등학생을 위한 인성검사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9 (29): 83-106, 2015

      3 임정명, "푸코의 자기 배려: 『니벨룽의 반지』와 『황금잔』의 경우"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39) : 189-218, 2017

      4 오현숙, "푸코의 윤리: 자기의 배려에서 광기의 윤리로"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7 : 185-213, 2003

      5 홍은영, "푸코와 자기배려의 윤리학" 철학연구소 (46) : 277-309, 2012

      6 안현수, "푸코 철학에 있어서 ‘자기 배려’" 한국동서철학회 (54) : 345-362, 2009

      7 권오정, "초등학생용 자기성찰지능 척도 및 프로그램 개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8 임경문, "청소년 자해에 관한 연구동향"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717-732, 2020

      9 도승연, "철학의 역할, 진실의 모습: 푸코의 자기-배려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18 : 151-176, 2012

      10 이상명, "자살예방을 위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한국법정책학회 18 (18): 35-56, 2018

      11 푸코, M., "자기의 테크놀로지" 동문선 1988

      12 문정애, "자기배려를 위한 교육론 탐색" 대경교육학회 28 (28): 58-77, 2007

      13 양근용, "자기배려로서의 글쓰기"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8 : 3-21, 2012

      14 이연수, "자기배려 방법으로서 자기탐구보고서 쓰기 사례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60) : 207-230, 2018

      15 고미숙, "자기 배려의 도덕교육" 한국윤리학회 1 (1): 231-265, 2011

      16 윤태욱, "자기 배려와 양생술" 한국의철학회 13 : 35-73, 2012

      17 김세희, "자기 배려로서의 자기 인식과 파레시아: 미셸 푸코의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40 (40): 69-89, 2018

      18 김분선, "자기 배려 주체의 구성 원리, 음식과 양생술-푸코의 자기 배려 윤리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철학회 (26) : 59-81, 2018

      19 김분선, "자기 배려 윤리의 논점에서 본 ‘분노’" 한국여성철학회 32 : 29-56, 2019

      20 조수경, "인성교육의 실천적 조건-스토아 철학의 '자기 배려’" 한국윤리학회 1 (1): 301-325, 2015

      21 박찬옥, "유아 배려 검사도구 개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49-67, 2015

      22 이충범, "영성의 정의와 자기 배려 교육의 가능성" 한국종교교육학회 60 : 159-180, 2019

      23 김영환, "심리검사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6

      24 푸코, M., "성의 역사3: 자기에의 배려" 나남 1988

      25 이충범, "미셸 푸코의 자기 배려와 그리스도교 영성에 관한 고찰" 한신신학연구소 55 (55): 227-253, 2018

      26 김석완, "미셸 푸코의 소크라테스 해석과 자기 배려의 교육" 한국교육철학학회 (46) : 25-46, 2009

      27 이주호, "미셸 푸코의 ‘자기배려’ 개념과 교육적 담론의 복원" 한국교육철학학회 36 (36): 99-118, 2014

      28 오경희, "놀이 중심 유아교육의 향방에 관한 시론: 놀이정신과 자기배려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31 (31): 787-800, 2019

      29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9

      30 이학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6.0" 법문사 2007

      31 이성남, "교통사고처리특례법 등의 법적․제도적 개선을 통한 교통사고 감소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법률학회 29 (29): 1-43, 2019

      32 정정훈, "교육과정 탐구주제로서의 자기배려(self - care): 쿠레레(currere)를 통한 자기이해(self - understanding)" 교육연구소 21 (21): 257-281, 2015

      33 이정희, "“홀로있음”에서 경험하는 자기성찰과 영성적 실천으로서의 자기배려" 원격교육연구소 11 (11): 49-81, 2015

      34 Besley, T., "Truth-Telling and Technologies of the Self, Why Foucault?" Peter Lang 2008

      35 Guilford, J. P., "The structure of intellect" 53 : 275-299, 1956

      36 Curran, P. J.,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 (1): 275-299, 1996

      37 이학식, "SPSS 12.0 매뉴얼 통계분석방법 및 해설" 법문사 2007

      38 Campbell, D. T., "Recommmendations for APA test standards regarding construct, trait, and discriminant validity" 53 : 177-197, 1960

      39 허영주, "Noddings와 Foucault 이론의 비교 분석을 통한자기배려 교육의 방향 정립" 한국교육사상학회 27 (27): 349-375, 2013

      40 Noddings, N., "Educating Moral People" Teachers College Press 2002

      41 Beattie, M., "Codependent No More" Hazelden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윤리교육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4 1.06 1.679 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