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종교와 과학 담론으로 바라본 융의 분석심리학 = Understanding of Jung's Analytical Psychology from Science and Religion Perspecti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238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스위스의 분석심리학자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1875-1961)의 심리학이 지닌 간학문적 성격, 즉 과학과 종교 간의 상호교차하는 특성에 대한 연구를 주요 과제로 삼았다. 융은 심리학이라는 학 문 분과의 논의 속에서 분트의 연상 실험과 프로이트의 성 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그 출발점으로 삼아, 전 세대의 ‘사변적인 심리학’과 인간 심리의 복잡한 기제를 단순화시켜 이해하고자 하는 ‘과학주의적 사고’를 극복하 고자 했다. 융은 경험주의적인 과학적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되, 과학이 절대적이고 객관적인 진리를 답보한 것으로 인식되는 측면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가졌다. 따라서 그는 과학의 합리성에 대한 기존의 관 념을 넘어 합리성에 대한 새로운 조명을 자신의 심리학적 구상 속에서 채택하여 분석심리학을 개척하였다. 더 이상 자연과 인간과 문화를 자연과학적 테두리에서만 환원적으로 조명할 수 없음을 융은 분석심리학이라는 제 안을 통하여 선명하게 제시한 것이다. 특히 융의 분석심리학은 인간의 마음, 심리를 좀 더 세밀하게 조명할 수 있는 하나의 길을 종교학과 신학에도 제시하여, 종교의 이해와 신학적 담론 구성이 간학문적 교섭과 변용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융의 새로운 심리학적 구상은 미래를 향한 신학과 과학, 종교와 과학의 대화에 있어서 유용한통찰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스위스의 분석심리학자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1875-1961)의 심리학이 지닌 간학문적 성격, 즉 과학과 종교 간의 상호교차하는 특성에 대한 연구를 주요 과제로 삼았다. 융은 심...

      본 연구는 스위스의 분석심리학자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1875-1961)의 심리학이 지닌 간학문적 성격, 즉 과학과 종교 간의 상호교차하는 특성에 대한 연구를 주요 과제로 삼았다. 융은 심리학이라는 학 문 분과의 논의 속에서 분트의 연상 실험과 프로이트의 성 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그 출발점으로 삼아, 전 세대의 ‘사변적인 심리학’과 인간 심리의 복잡한 기제를 단순화시켜 이해하고자 하는 ‘과학주의적 사고’를 극복하 고자 했다. 융은 경험주의적인 과학적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되, 과학이 절대적이고 객관적인 진리를 답보한 것으로 인식되는 측면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가졌다. 따라서 그는 과학의 합리성에 대한 기존의 관 념을 넘어 합리성에 대한 새로운 조명을 자신의 심리학적 구상 속에서 채택하여 분석심리학을 개척하였다. 더 이상 자연과 인간과 문화를 자연과학적 테두리에서만 환원적으로 조명할 수 없음을 융은 분석심리학이라는 제 안을 통하여 선명하게 제시한 것이다. 특히 융의 분석심리학은 인간의 마음, 심리를 좀 더 세밀하게 조명할 수 있는 하나의 길을 종교학과 신학에도 제시하여, 종교의 이해와 신학적 담론 구성이 간학문적 교섭과 변용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융의 새로운 심리학적 구상은 미래를 향한 신학과 과학, 종교와 과학의 대화에 있어서 유용한통찰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how Carl Gustav Jung'spsychological ideas constitute a synthesis of science and religion.His critical reflection of Wilhelm Wundt's philosophical understanding and Freud's materialistic-reductive view on the human mind played an important role to develop his ideas about science and religion. On the one hand, Jung considered the lack of unconditioned human experience in real life from Wundt's Assoziationsexperiment a limitation; on the other hand, he took a critical view of the ways that Freud mechanized and formalized psychic phenomena in his theory of sex. In view of these problems Jung tried to open up a new psychological field of knowledge to challenge established understandings on science and to reformulate the meaning of science. Thus, he helped sacralize human experiences and integrate such into his psychological analysis,because a scientific-only explanation of the human psyche was too impoverished. Considering that Jung’s approach was therefore interdisciplinary and supportive of theological understandings of human psyche and conscience, I believe that his significant insights about science and religion will provide us an effective starting point for more productive dialogues between theology/religion and science.
      번역하기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how Carl Gustav Jung'spsychological ideas constitute a synthesis of science and religion.His critical reflection of Wilhelm Wundt's philosophical understanding and Freud's materialistic-reductive view on the human mind p...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how Carl Gustav Jung'spsychological ideas constitute a synthesis of science and religion.His critical reflection of Wilhelm Wundt's philosophical understanding and Freud's materialistic-reductive view on the human mind played an important role to develop his ideas about science and religion. On the one hand, Jung considered the lack of unconditioned human experience in real life from Wundt's Assoziationsexperiment a limitation; on the other hand, he took a critical view of the ways that Freud mechanized and formalized psychic phenomena in his theory of sex. In view of these problems Jung tried to open up a new psychological field of knowledge to challenge established understandings on science and to reformulate the meaning of science. Thus, he helped sacralize human experiences and integrate such into his psychological analysis,because a scientific-only explanation of the human psyche was too impoverished. Considering that Jung’s approach was therefore interdisciplinary and supportive of theological understandings of human psyche and conscience, I believe that his significant insights about science and religion will provide us an effective starting point for more productive dialogues between theology/religion and sci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들어가며 Ⅱ.근대 심리학과 칼 융의 새로운 지식장 창출 Ⅲ.자연과학에 대한 융의 접근과 비판 Ⅳ.마음의 과학으로서의 심리학과 신학의 간학문적 대화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 Ⅰ.들어가며 Ⅱ.근대 심리학과 칼 융의 새로운 지식장 창출 Ⅲ.자연과학에 대한 융의 접근과 비판 Ⅳ.마음의 과학으로서의 심리학과 신학의 간학문적 대화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로린즈, 웨인 G., "융과 성서" 분도출판사 2002

      2 융, 칼 구스타프, "심리학과 종교" 창 2001

      3 이부영, "분석심리학의 탐구 : 아니마와 아니무스" 한길사 2001

      4 김성민, "분석심리학과 기독교 신비주의" 학지사 2012

      5 김성민, "분석심리학과 기독교 신비주의" 학지사 2012

      6 이부영, "분석심리학" 일조각 1998

      7 Jung, C. G., "XVII. Ein kurzer Überblick ueber die Komplexlehre" Walter 1911

      8 Jung, C. G., "Versuch einer Darstellung der psychoanalytische Theorie" Walter 1912

      9 Wehr, Gerhard, "Tiefenpsychologie und Christentum: C. G. Jung" Pattloch Verlag 1990

      10 Pearce, Joseph Chilton, "The Biology of Transcendence" Park Street Press 2000

      1 로린즈, 웨인 G., "융과 성서" 분도출판사 2002

      2 융, 칼 구스타프, "심리학과 종교" 창 2001

      3 이부영, "분석심리학의 탐구 : 아니마와 아니무스" 한길사 2001

      4 김성민, "분석심리학과 기독교 신비주의" 학지사 2012

      5 김성민, "분석심리학과 기독교 신비주의" 학지사 2012

      6 이부영, "분석심리학" 일조각 1998

      7 Jung, C. G., "XVII. Ein kurzer Überblick ueber die Komplexlehre" Walter 1911

      8 Jung, C. G., "Versuch einer Darstellung der psychoanalytische Theorie" Walter 1912

      9 Wehr, Gerhard, "Tiefenpsychologie und Christentum: C. G. Jung" Pattloch Verlag 1990

      10 Pearce, Joseph Chilton, "The Biology of Transcendence" Park Street Press 2000

      11 Stein, Murray, "Jung's Map of the Soul : An Introduction" Open Court 1988

      12 테이시, 데이비트, "How To Read 융" 웅진지식하우스 2008

      13 Wundt, Wilhelm, "Grundriss der Psychologie" Wilhelm Engelmann 1897

      14 Jung, C. G., "Gesammelte Werke, Vol. 9/1" Walter 1938

      15 Jung, C. G., "Gesammelte Werke, Vol. 9/1" Walter 1948

      16 Jung, C. G., "Gesammelte Werke, Vol. 8" Walter 1934

      17 Jung, C. G., "Gesammelte Werke, Vol. 8" Walter 1931

      18 Jung, C. G., "Gesammelte Werke, Vol. 8" Walter 1931

      19 Jung, C. G., "Gesammelte Werke, Vol. 8" Walter 1931

      20 Jung, C. G., "Gesammelte Werke, Vol. 7" Walter 1921

      21 Jung, C. G., "Gesammelte Werke, Vol. 4" Walter 1929

      22 Jung, C. G., "Gesammelte Werke, Vol. 16" Walter 1935

      23 Jung, C. G., "Gesammelte Werke, Vol. 15" Walter 1939

      24 Jung, C. G., "Gesammelte Werke, Vol. 12" Walter 1952

      25 Jung, C. G., "Gesammelte Werke, Vol. 10" Walter 1958

      26 Roessler, Dietriech, "Freud, Sigmund(1856-1939)"

      27 Jung, C. G.., "Erinnerungen,Träume, Gedanken von C. G. Jung" Walter 1963

      28 Jung, C. G., "Die psychopathologische Bedeutung des Assoziationsexperiments" Walter 1906

      29 Danziger, Kurt, "Constructing the Subjec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30 Bach, Heide-Linde, "C.G. Jung (1875-1961)"

      31 Freud, Sigmund, "Briefwechsel" S. Fisher Verlag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THEOLOGICAL STUDY INSTITUTE -> THEOLOGICAL THOUGHT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13 학술지등록 한글명 : 신학사상
      외국어명 : THE KOREA THEOLOGICAL STUDY INSTITUTE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6 0.6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