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최명익 소설에 나타난 소통의 모색 양상 =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mentioned in novels by Choi Myung-I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466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question to compare his works before Korean Independence day, his works after, and to discover the internal logic of all of his works in these two periods. After Korean independence day the change in his realism was not illustrated but made by inner motive. He did not only reveal the korean unstable consciousness of korean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when disturbance, frustration, and hopelessness were rampant, but he also showed intellectuals' disruption and ambiguity, criticism and communication methods at the time. The most remarkable point of his work is that he presented a communication method thatall wed hope get through the desperation which other writers couldn't. In this way he changed modernism to realism.
      In 「Pye-eo-in(폐어인)」 as the character Hyun-il(현일) passionately emphasized, "Although an Individual for himself is unfortunate it doesn't mean life looks dark or cursed due to that." He, the writer, tried to find the hope to break the colony in 1930s when people could no longer see a positive outcome. This made his novels reality, which isn't limited to the category of modernism before Korean Independence day. With this point, it is natural that he released his realism novels after Korean Independence da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question to compare his works before Korean Independence day, his works after, and to discover the internal logic of all of his works in these two periods. After Korean independence day the change in his realism was no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question to compare his works before Korean Independence day, his works after, and to discover the internal logic of all of his works in these two periods. After Korean independence day the change in his realism was not illustrated but made by inner motive. He did not only reveal the korean unstable consciousness of korean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when disturbance, frustration, and hopelessness were rampant, but he also showed intellectuals' disruption and ambiguity, criticism and communication methods at the time. The most remarkable point of his work is that he presented a communication method thatall wed hope get through the desperation which other writers couldn't. In this way he changed modernism to realism.
      In 「Pye-eo-in(폐어인)」 as the character Hyun-il(현일) passionately emphasized, "Although an Individual for himself is unfortunate it doesn't mean life looks dark or cursed due to that." He, the writer, tried to find the hope to break the colony in 1930s when people could no longer see a positive outcome. This made his novels reality, which isn't limited to the category of modernism before Korean Independence day. With this point, it is natural that he released his realism novels after Korean Independence d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는 말
      • 2. 식민지현실의 불안의식과 병적 징후
      • 3. 근대에 대한 이중적 시선과 소통의 길
      • 4. 나오는 말
      • 참고문헌
      • 1. 들어가는 말
      • 2. 식민지현실의 불안의식과 병적 징후
      • 3. 근대에 대한 이중적 시선과 소통의 길
      • 4. 나오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선, "현대소설의 서사주제학-문학 모티프와 테마를 찾아서" 문학과지성사 2007

      2 김윤식, "한국현대현실주의소설연구" 문학과지성사 1990

      3 권영민, "한국근대단편소설대계" 태학사 1988

      4 김민정, "한국 근대문학의 유인과 미적 주체의 좌표" 소명출판 2004

      5 신형기, "한 모더니스트의 행로-최명익의 소설세계" 문학과지성사 2004

      6 문흥술, "추상에의 욕망과 절대주의 미학-최명익론"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20 : 1995

      7 강현구, "최명익의 소설 연구" 고려대 1984

      8 이미림, "최명익소설의 기차공간과 여성을 통한 자아탐색"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05) : 2001

      9 채호석, "최명익소설연구-비오는 길 을 중심으로" 새미 2 : 1996

      10 진정석, "최명익소설에 나타난 근대성의 경험 양상" 민족문학사연구소 (8) : 1995

      1 이재선, "현대소설의 서사주제학-문학 모티프와 테마를 찾아서" 문학과지성사 2007

      2 김윤식, "한국현대현실주의소설연구" 문학과지성사 1990

      3 권영민, "한국근대단편소설대계" 태학사 1988

      4 김민정, "한국 근대문학의 유인과 미적 주체의 좌표" 소명출판 2004

      5 신형기, "한 모더니스트의 행로-최명익의 소설세계" 문학과지성사 2004

      6 문흥술, "추상에의 욕망과 절대주의 미학-최명익론"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20 : 1995

      7 강현구, "최명익의 소설 연구" 고려대 1984

      8 이미림, "최명익소설의 기차공간과 여성을 통한 자아탐색"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05) : 2001

      9 채호석, "최명익소설연구-비오는 길 을 중심으로" 새미 2 : 1996

      10 진정석, "최명익소설에 나타난 근대성의 경험 양상" 민족문학사연구소 (8) : 1995

      11 이수형, "최명익론-이데올로기 비판적 의식을 중심으로" 새미 1997

      12 장수익, "최명익론-승차모티프를 중으로" 1995

      13 장 경, "조선가정의학전서" 조선일보출판부 1939

      14 최명익, "장삼이사" 을유문화사 1947

      15 조남현, "우리소설의 판과 틀" 서울대출판부 1991

      16 김외곤, "심문의 욕망구조" 새미 1997

      17 p.Zima, "소설과 이데올로기" 문예출판사 1996

      18 최명익, "비오는 길" 문학과지성사 2004

      19 임 화, "문학의 논리" 학예사 1940

      20 채호석, "리얼리즘에의 도정" 민음사 1989

      21 신수정, "단층 파 소설연구" 서울대 1992

      22 Liz constable, "Introduction.Perennial Decay : On the Aexthetics and Politics of Decadence" PENN 1999

      23 David Weir, "Decadence and the Making of Modernism" University of Messachusetts Press 1999

      24 김예림, "1930년대 후반의 비관주의와 윤리의식에 대한 고찰-최명익을 중심으로" 상허학회 4 : 1998

      25 최혜실, "1930년대 한국모더니즘소설연구" 서울대 1990

      26 오병기, "1930년대 심리소설과 자의식의 변모양상(2)-최명익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12) :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4-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5 0.701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