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22 개정 고등학교 지리교육과정 성취기준과 지리 탐구의 특성 고찰 = Characteristic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Geographical Enquiry in the 2022 Revised High School Geography Curriculu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22 개정 고등학교 지리교육과정에서 ‘탐구’를 과목명으로 명시한 ‘한국지리 탐구’와 ‘도시의 미래 탐구’를 대상으로, 두 과목 성취기준에서 지향하는 지리 탐구의 과정과 기능을 분석하고, 교과역량을 도출했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같다. 먼저, 지리 탐구의 과정은 일련의 순서로 연계되는 6개 기능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두 과목 모두 ‘지리적 결론 제안하기’ 기능의비중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지리정보 분석 및 해석하기’와 ‘지리정보 수집하기’의 비중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체로 6가지지리 탐구 기능별로 적절한 기능 술어가 사용되고 있지만, ‘탐구하다’와 ‘탐색하다’는 의미가 명료하지 않거나 해당 기능에 부적절한기능 술어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두 과목의 ‘지리 탐구’를 통해서 함양될 수 있는 지리과 교과역량은, 지리 탐구력 등 16개로 추론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리 탐구와 기능 및 지리과 교과역량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 지리과 성취기준이 ‘주어진결론’의 인지적 이해에 편중되고 있는 문제점, 대단원 수준에서 지리 탐구를 재구성하고 실행하기 등을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22 개정 고등학교 지리교육과정에서 ‘탐구’를 과목명으로 명시한 ‘한국지리 탐구’와 ‘도시의 미래 탐구’를 대상으로, 두 과목 성취기준에서 지향하는 지리 탐구의 과정과...

      본 연구는 2022 개정 고등학교 지리교육과정에서 ‘탐구’를 과목명으로 명시한 ‘한국지리 탐구’와 ‘도시의 미래 탐구’를 대상으로, 두 과목 성취기준에서 지향하는 지리 탐구의 과정과 기능을 분석하고, 교과역량을 도출했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같다. 먼저, 지리 탐구의 과정은 일련의 순서로 연계되는 6개 기능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두 과목 모두 ‘지리적 결론 제안하기’ 기능의비중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지리정보 분석 및 해석하기’와 ‘지리정보 수집하기’의 비중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체로 6가지지리 탐구 기능별로 적절한 기능 술어가 사용되고 있지만, ‘탐구하다’와 ‘탐색하다’는 의미가 명료하지 않거나 해당 기능에 부적절한기능 술어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두 과목의 ‘지리 탐구’를 통해서 함양될 수 있는 지리과 교과역량은, 지리 탐구력 등 16개로 추론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리 탐구와 기능 및 지리과 교과역량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 지리과 성취기준이 ‘주어진결론’의 인지적 이해에 편중되고 있는 문제점, 대단원 수준에서 지리 탐구를 재구성하고 실행하기 등을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and skill of geographical enquiry aimed at the two subject achievement standards, using the subjects “Enquiry of The Korean Geography” and “Enquiry of the Urban Future” based on the 2022 revised high school geography curriculum, and derived subject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geographical enquiry was derived into six skills linked in a series of order. Second, both subjects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proposing geographic conclusions” skill, followed by “analyzing and interpret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collecting geographic information.” Third, although appropriate behavioral verbs are generally used for each of the six geographical enquiry, the meanings of “explore” and “inquiry” were not clear or inappropriate terms for the skill. Finally, there were 16 subject competencies that could be cultivated through the ‘geographical enquiry’ of the two subjects, including geographic inquiry abilit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mplications were proposed such as the need to change the perception of geographical enquiry, skills, and subject competency, the problem that subject’s achievement standards are concentrated on the cognitive understanding of “given conclusion,” and reorganizing and implementing geographical enquiry at the unit level.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and skill of geographical enquiry aimed at the two subject achievement standards, using the subjects “Enquiry of The Korean Geography” and “Enquiry of the Urban Future” based on the 2022 revised high school geog...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and skill of geographical enquiry aimed at the two subject achievement standards, using the subjects “Enquiry of The Korean Geography” and “Enquiry of the Urban Future” based on the 2022 revised high school geography curriculum, and derived subject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geographical enquiry was derived into six skills linked in a series of order. Second, both subjects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proposing geographic conclusions” skill, followed by “analyzing and interpret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collecting geographic information.” Third, although appropriate behavioral verbs are generally used for each of the six geographical enquiry, the meanings of “explore” and “inquiry” were not clear or inappropriate terms for the skill. Finally, there were 16 subject competencies that could be cultivated through the ‘geographical enquiry’ of the two subjects, including geographic inquiry abilit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mplications were proposed such as the need to change the perception of geographical enquiry, skills, and subject competency, the problem that subject’s achievement standards are concentrated on the cognitive understanding of “given conclusion,” and reorganizing and implementing geographical enquiry at the unit leve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시화 ; 강창숙, "한국지리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교육과정 성취기준에대한 내용타당도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 23 (23): 195-212, 2017

      2 Roberts, M., "탐구를 통한지리학습" 푸른길 2016

      3 노들,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성찰 -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3 (13): 171-202, 2022

      4 이동민, "초등지리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49 (49): 949-969, 2014

      5 최정연 ; 남상준, "초등 사회과 지리영역 성취기준과 수업목표의 정합성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7 (27): 1-16, 2019

      6 이바름 ; 정문성, "초등 사회 검정교과서의 교과 역량 구현 비교분석 : 3-4학년 경제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경제교육학회 29 (29): 33-56, 2022

      7 심광택, "지역 학습의 논리와 교과핵심 역량"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7 (57): 23-38, 2018

      8 서태열, "지리교육학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05

      9 조철기, "지리교육학" 푸른길 2014

      10 강창숙, "지리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탐구" 충북대학교 출판부 2021

      1 김시화 ; 강창숙, "한국지리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교육과정 성취기준에대한 내용타당도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 23 (23): 195-212, 2017

      2 Roberts, M., "탐구를 통한지리학습" 푸른길 2016

      3 노들,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성찰 -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3 (13): 171-202, 2022

      4 이동민, "초등지리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49 (49): 949-969, 2014

      5 최정연 ; 남상준, "초등 사회과 지리영역 성취기준과 수업목표의 정합성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7 (27): 1-16, 2019

      6 이바름 ; 정문성, "초등 사회 검정교과서의 교과 역량 구현 비교분석 : 3-4학년 경제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경제교육학회 29 (29): 33-56, 2022

      7 심광택, "지역 학습의 논리와 교과핵심 역량"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7 (57): 23-38, 2018

      8 서태열, "지리교육학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05

      9 조철기, "지리교육학" 푸른길 2014

      10 강창숙, "지리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탐구" 충북대학교 출판부 2021

      11 안태수 ; 홍훈기, "중학교 교과 교육목표 분석: 과학적 탐구능력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1071-1083, 2022

      12 이동민 ; 고아라, "중등 지리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4 (54): 1-19, 2015

      13 이승희 ; 신소영, "의사소통 및 협업능력 관련 영향요인 간관계 구조분석: H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203-222, 2018

      14 성열관 ; 백병부 ; 윤선인, "성취기준의 차용 및 변용 : 단계별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분석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1-22, 2008

      15 이종일, "사회과 수업에서 ‘탐구의 의미’"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3 (13): 1-20, 2006

      16 모경환 ; 강대현, "사회과 교육과정과 성취기준 - 일반사회 영역의 특징과 문제점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61-76, 2012

      17 이바름 ; 조수진 ; 설규주 ; 강대현,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쟁점과 대안 -교육과정 문서의 체제와 진술 방식 및 용어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5 (25): 1-24, 2022

      18 배화순 ; 강대현 ; 은지용 ; 구정화, "사회과 교과 역량과 기능 체계화 방안 탐색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일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3 (53): 31-62, 2021

      19 이상은 ; 소경희, "미래지향적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OECD 역량교육의 틀 변화 동향 분석: ‘Education 2030’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139-164, 2019

      20 송진웅 ; 강석진 ; 곽영순 ; 김동건 ; 김수환 ; 나지연 ; 도종훈 ; 민병곤 ; 박성춘 ; 배성문 ; 손연아 ; 손정우 ; 오필석 ; 이준기 ; 이현정 ; 임혁 ; 정대홍 ; 정종훈 ; 김진희 ; 정용재, "미래세대를 위한 ‘과학교육표준’의 주요 내용과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 39 (39): 465-478, 2019

      21 한국과학창의재단(KOFAC), "미래세대 과학교육표준"

      22 소경희, "미국의 교과교육에 있어서 국가공통 기준 도입 운동의 역사적 맥락과 주요 쟁점"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55-77, 2013

      23 이종원, "도해력 다시 보기: 21세기 도해력의 의미와 지리교육의 과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9 (19): 1-15, 2011

      24 이도영, "국어과 교육의 이념, 목표, 내용 설정 방안" 6 (6): 1-16, 1996

      25 차조일 ; 강대현, "교과 역량에 기초한 사회과 성취기준 재구조화 연구 -‘통합사회’의 기능 술어 분석과 재구조화를 통하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1 (51): 121-150, 2019

      26 백남진,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의 개선 방향 탐색: 한국과 미국 과학 교육과정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101-131, 2014

      27 박승규, "감성지리학의 지리교육적 의미 탐색- 심미적 감성을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4 (24): 1-11, 2016

      28 OECD,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Position Paper" 2018

      29 Helburn, N.,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high school geography" 67 (67): 274-282, 1968

      30 Taylor, L., "Re-presenting geography" Chris Kington Publishing 2004

      31 Roberts, M., "Powerful pedagogies for the school geography curriculum" 32 (32): 69-84, 2023

      32 Bednarz, S. W., "Nine Years On : Examining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Geography Standards" 102 (102): 99-100, 2003

      33 Nichols, A., "More Thinking Through Geography" Chris Kington Publishing 2003

      34 Slater, F., "Learning Through Geography" National Council for Geographic Education 1993

      35 Joint Committee on Geographic Education(JCGE), "Guidelines for geographic education :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36 Geography Education Standards Project(GESP), "Geography for Life: National Geography Standards" National Geographic Research & Exploration 1994

      37 Geography Education National Implementation Project(GENIP), "Geography for Life : National Geography Standards" National Council for Geographic Education 2012

      38 Ferretti, J., "Debates in Geography Education" Routledge 2018

      39 박가람 ; 박현숙,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의한 2015 개정 중학교 역사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6 (26): 57-77, 2023

      40 Anderson, L. W.,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Longman 2000

      41 이종원 ; 성정원,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지리 탐구의 개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31 (31): 15-25, 2023

      42 이진희 ; 임미영, "2022 개정 고등학교 「도시의 미래 탐구」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과 특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31 (31): 27-38, 2023

      43 전재원,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지리 영역 성취기준 분석: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061-1082, 2019

      44 이동민, "2015 개정 고등학교 여행지리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의미구조 분석" 한국지리학회 5 (5): 1-11, 2016

      45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7) 사회과 교육과정"

      46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1)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47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7) 사회과 교육과정"

      48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49 교육부, "(교육부 고시 1997-15호)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4. 사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