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쇄원에 대해 심미적 경험을 통한 접근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 것으로, 소쇄원을 방문하는 관람객의 경험이 단순히 인물과 관련된 역사적 사실을 배우거나 건축학적 구조나 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271355
2007
-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15-338(24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소쇄원에 대해 심미적 경험을 통한 접근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 것으로, 소쇄원을 방문하는 관람객의 경험이 단순히 인물과 관련된 역사적 사실을 배우거나 건축학적 구조나 조...
본 연구는 소쇄원에 대해 심미적 경험을 통한 접근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 것으로, 소쇄원을 방문하는 관람객의 경험이 단순히 인물과 관련된 역사적 사실을 배우거나 건축학적 구조나 조경적 정보를 확인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공간으로서가 아닌 심미적 체험이라는 주체적 행위를 통해 만나는 공간이 될 수 있을까, 그리고 하나의 건축공간으로서 소쇄원이 조형예술적 가치를 갖고 있다는 점을 전제할 때, 문학은 물론 시각과 청각예술 등 다양한 예술양식의 복합적 경험이 더해져 예술텍스트로서의 소쇄원이 구현될 가능성이 있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소쇄원에 대한 심미적 접근이라는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 김인후의 ‘소쇄원 48영’을 출발점으로 삼았다. 먼저 이 시에 근거해 소쇄원을 ‘빛과 소리의 정원’으로 규정함을 전제, 정원 내의 다양한 ‘빛’을 구현하는 시각예술과 ‘소리’를 구현하는 청각예술의 가능한 양상들이 도출되었으며, 또한 이 두 양식들은 인간의 감각기관에 기대고 있는 것들이라는 점에서, 서로의 감각을 전이시키는 공감각적 예술 행위로 확장됨으로써 심미성 체험의 영역을 열어 놓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다양한 심미적 경험들은 단순히 개인의 퍼포먼스로 그치지 않고, 동시에 소쇄원 조경의 근거이자 ‘48영’의 시적 조직 원리인, 동양의 우주론적 사유를 인지케 함으로써 관람객들에게 고도의 존재론적 체험을 유도하고 있다.그리고 조형예술 공간인 소쇄원에 대해 ‘48영’의 ‘빛/소리’ 기호를 접근 키워드로 삼아, 다양한 방식의 시각예술과 청각예술, 나아가 감각 전이를 통한 공감각적 예술 행위까지 이루어진다고 했을 때, 이 정원은 충분히 하나의 예술텍스트로 구현 가능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the Soswaewon as Space for Aesthetic Experience —focusing mainly on Auditory-Visual experience— Jeong, Kyung-woon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access possibility through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Soswaewon. In accordance with...
A study on the Soswaewon as Space for Aesthetic Experience
—focusing mainly on Auditory-Visual experience—
Jeong, Kyung-woon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access possibility through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Soswaewon.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set the Soswaewon 48 poems as a starting point.
First of all, it defines Soswaewon as ' The Garden of Light and Sound' based on this poem. As a result, visual art, embodying various lights, and various aspects of audio art, embodying 'Sound' within Garden were drawn. These two styles have the possibility to enlarge the area of Aesthetic experience by being enlarged as an synesthesia art, transmitting each other's sense in terms of dependence on the sensory organ of these two styles.
In addition, since these various aesthetic experiences are not confined to the simple performance of an individual, they lead viewers to the highly existential experience by making them recognize the universal thinking of the east, which is the principle of 48 poems' poetic organization, the basis of Soswaewon landscape architecture.
Concerning the Soswaewon, which is the space of formative art, since the act of synesthesia art is completed through various ways of visual art and audio art, furthermore, through sensory transition by setting the light/sound sign of 48 poems as an access keyword, this garden can be said to have the possibility of embodiment as an art text.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인이 보는 경관" 대한건축학회 건축 36 (건축 36): 3 8-, 1992
2 "한국의 명원 소쇄원" 발언 1999
3 "하서 김인후의 소쇄원 48영 고" 우리말글학회 (25) : 264 -283, 2002
4 "필립 오토 룽에의 <시간> 연작에 나타난 회화이념" 2000
5 "조선시대 정자건축의 시지각적 분석에 관한 연구자연과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2003
6 "예술 건축 음악 그리고 공간과 시간" 대한건축학회 39 (39): 30 -33, 1995
7 "소쇄원의 사운드스케이프" 2005
8 "소쇄원도의 공간 도상적 체계분석소쇄원도의 도상적 특성을 통한 건축적 NOTATION CARTOGRAPHY" 2001
9 "소쇄원도와 소쇄원 48영을 통하여 본 소쇄원의 구성요소 건축역사연구 제3권 2호" 한국건축역사학회 67 90-, 1994
10 "소리의 형상적 표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디자인연구소 1 (1): 57-76, 2002
1 "한국인이 보는 경관" 대한건축학회 건축 36 (건축 36): 3 8-, 1992
2 "한국의 명원 소쇄원" 발언 1999
3 "하서 김인후의 소쇄원 48영 고" 우리말글학회 (25) : 264 -283, 2002
4 "필립 오토 룽에의 <시간> 연작에 나타난 회화이념" 2000
5 "조선시대 정자건축의 시지각적 분석에 관한 연구자연과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2003
6 "예술 건축 음악 그리고 공간과 시간" 대한건축학회 39 (39): 30 -33, 1995
7 "소쇄원의 사운드스케이프" 2005
8 "소쇄원도의 공간 도상적 체계분석소쇄원도의 도상적 특성을 통한 건축적 NOTATION CARTOGRAPHY" 2001
9 "소쇄원도와 소쇄원 48영을 통하여 본 소쇄원의 구성요소 건축역사연구 제3권 2호" 한국건축역사학회 67 90-, 1994
10 "소리의 형상적 표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디자인연구소 1 (1): 57-76, 2002
11 "설치미술의 관점에서 바라본 소쇄원의 공간 개념에 관한 연구" 2004
12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경관 구현: <소쇄원 48영>을 중심으로" 2004
13 "공감각 음악으로서의 낭만주의 음악"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7 (27): 147 -183, 2003
14 "Sound Color Harmonism" 임프레스 2003
15 "19세기의 예술적 공감각에 대한 고찰" 민족음악학회 (11) : 203 -219, 1996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3-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 Institute of Honam Studies | ![]() |
2019-06-2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 -> 호남학외국어명 :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 The Journal of Honam Studies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 |
2009-06-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8-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소 -> 호남학연구원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Culture Research Center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41 | 0.508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