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의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우울과 자기결정이론 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Career Maturity among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296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의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우울과 자기결정이론 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코호트의 2차와 3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잠재평균분석(latent mean analysis)으로 변인들의 시점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후, 구조모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차(초6)와 3차(중1) 시점의 성장 마인드셋, 우울, 자기결정이론 동기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우울과 자기결정이론 동기는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구체적으로 성장 마인드셋은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기결정이론 동기의 하위요인인 무동기, 외적 조절을 감소시킨 반면 내재적 동기를 증가시켜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동청소년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하여 성장 마인드셋을 증진시키는 교육적 개입이 필요하며, 이때 우울과 자기결정이론 동기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의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우울과 자기결정이론 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의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우울과 자기결정이론 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코호트의 2차와 3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잠재평균분석(latent mean analysis)으로 변인들의 시점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후, 구조모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차(초6)와 3차(중1) 시점의 성장 마인드셋, 우울, 자기결정이론 동기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우울과 자기결정이론 동기는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구체적으로 성장 마인드셋은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기결정이론 동기의 하위요인인 무동기, 외적 조절을 감소시킨 반면 내재적 동기를 증가시켜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동청소년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하여 성장 마인드셋을 증진시키는 교육적 개입이 필요하며, 이때 우울과 자기결정이론 동기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ve symptoms and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career maturity among adolescents. To this end, we used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data set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2019).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variables at different time points by latent mean analysis and then tested the mediating effect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growth mindset, depressive symptoms, and motivation from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age 12) to first grade in middle school (age 13). Second, depressive symptoms and motiv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career maturity. Specifically, the growth mindset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by reducing depressive symptoms, amotivation and external regulation which are sub-factors of motivation, and increasing intrinsic motiv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ve symptoms and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career maturity among adolescents. To this end, we used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d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ve symptoms and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career maturity among adolescents. To this end, we used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data set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2019).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variables at different time points by latent mean analysis and then tested the mediating effect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growth mindset, depressive symptoms, and motivation from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age 12) to first grade in middle school (age 13). Second, depressive symptoms and motiv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career maturity. Specifically, the growth mindset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by reducing depressive symptoms, amotivation and external regulation which are sub-factors of motivation, and increasing intrinsic motiv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 Ⅱ. Method
      • Ⅲ. Result
      • Ⅳ. Discussion
      • References
      • Ⅰ. Introduction
      • Ⅱ. Method
      • Ⅲ. Result
      • Ⅳ. Discussion
      • References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수 ; 임선아, "학업적 자기손상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33 (33): 77-100, 2019

      2 이현림 ; 주문자,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도가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0 (20): 181-192, 2007

      3 김창규 ; 김재호, "초등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45-968, 2020

      4 유순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에 관한 학생들의 기대와 지각" 한국초등교육학회 20 (20): 355-376, 2007

      5 김복환 ; 홍석기 ; 하문선, "초기 청소년의 성장신념,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9-59, 2019

      6 김태은 ; 안태연 ; 고정화 ; 노원경, "초·중학교 전환기 학생들의 교과태도 및 학교행복감 차이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8 (28): 61-89, 2015

      7 우희정 ; 최정미, "초·중학교 아동의 우울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6 (16): 73-84, 2004

      8 김재철 ; 최지영, "청소년의 외현적 공격성 및 내면화된 문제행동의 개인별 변화에 대한 친한 친구 관련 변수의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1 (21): 123-147, 2010

      9 신선아 ; 전종설, "청소년의 애착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111-136, 2015

      10 민원홍 ; 이봉주, "청소년기 빈곤과 내재화 문제의 종단적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26): 145-169, 2015

      1 김정수 ; 임선아, "학업적 자기손상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33 (33): 77-100, 2019

      2 이현림 ; 주문자,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도가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0 (20): 181-192, 2007

      3 김창규 ; 김재호, "초등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45-968, 2020

      4 유순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에 관한 학생들의 기대와 지각" 한국초등교육학회 20 (20): 355-376, 2007

      5 김복환 ; 홍석기 ; 하문선, "초기 청소년의 성장신념,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9-59, 2019

      6 김태은 ; 안태연 ; 고정화 ; 노원경, "초·중학교 전환기 학생들의 교과태도 및 학교행복감 차이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8 (28): 61-89, 2015

      7 우희정 ; 최정미, "초·중학교 아동의 우울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6 (16): 73-84, 2004

      8 김재철 ; 최지영, "청소년의 외현적 공격성 및 내면화된 문제행동의 개인별 변화에 대한 친한 친구 관련 변수의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1 (21): 123-147, 2010

      9 신선아 ; 전종설, "청소년의 애착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111-136, 2015

      10 민원홍 ; 이봉주, "청소년기 빈곤과 내재화 문제의 종단적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26): 145-169, 2015

      11 박화옥 ; 김민정, "청소년 우울의 지속성을 설명하는 매개변인 탐색 연구: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의 전환기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6) : 1-24, 2019

      12 신효정 ; 이문희, "진로성숙 발달에 관한 4년 종단 연구 - 스트레스, 공격성, 우울의 효과 -"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39-161, 2011

      13 이예진 ; 이기학, "진로동기수준에 따른 군집 유형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 자기결정성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267-287, 2010

      14 김유리, "중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와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동기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9 (19): 605-619, 2019

      15 박완성 ; 김미숙,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수도권 3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22 (22): 85-108, 2009

      16 오석영, "중학생의 관계형성 및 자기효능감이 진로경험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학희망계열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77-94, 2012

      17 양은주 ; 박미려 ; 장진경, "중학생의 가정환경ㆍ교육환경ㆍ매체환경 특성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05-234, 2016

      18 이영광, "중학생 진로개발역량과 부모 진로 모니터링 및 부모-자녀 진로 일치의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33 (33): 23-47, 2020

      19 엄선영 ; 이강이, "중학교 진학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환경지각과 학교적응"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4 (24): 89-100, 2012

      20 유순화, "중학교 신입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청소년학회 15 (15): 157-180, 2008

      21 김아름 ; 최보영 ; 이지희, "중·고등학생의 진로성숙 발달에 관한 5년 종단연구 - 성별 및 부모·또래와의 애착을 중심으로 -"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843-862, 2010

      22 김유진 ; 이건남 ; 최지연, "전환기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부모진로관련행동, 진로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4 (24): 77-99, 2018

      23 김아영,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른 학습동기유형 분류체계의 타당성"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169-187, 2002

      24 김대현 ; 김현주, "입학초기 중학생의 삶" 한국교육과정학회 21 (21): 1-24, 2003

      25 이지혜 ; 이재신, "영재들의 메타인지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간의 관계: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7 (57): 89-114, 2009

      26 이정아 ; 탁진국, "성장마인드셋 코칭프로그램이 성장마인드셋, 학습목표지향성,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코칭심리학회 2 (2): 1-27, 2018

      27 박서단 ; 양수진,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열정마인드셋과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그릿(Grit)과 숙달접근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7 (27): 183-213, 2020

      28 진성미, "서울시 초·중·고교생의 진로성숙도 관련변인별 집단 비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9 (29): 133-156, 2011

      29 이문희 ; 신효정, "부모의 학업지지와 자녀의 진로성숙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동기의 매개효과" 안암교육학회 21 (21): 131-151, 2015

      30 진성조 ; 이진실, "대학생의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이 학업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829-849, 2018

      31 김은주 ; 최경원, "대학생의 우울과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환경학회 19 (19): 231-239, 2012

      32 구민주 ; 신여울 ; 박다은, "대학생의 스트레스 마인드셋과 자기통제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6 (16): 265-281, 2019

      33 경일수 ; 탁진국, "대학생 성장지향성 증진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성장지향성, 삶의 만족도, 지각된 스트레스, 긍정심리자본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사회인지동기모형을 기반으로"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6 (16): 231-263, 2019

      34 한수정 ; 박상희, "관광전공 대학생의 마인드셋과 그릿이 현장실습 스트레스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35 (35): 103-122, 2020

      35 백연옥 ; 심혜숙, "고등학생의 자기결정성이 진로장벽지각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교육발전연구소 25 (25): 59-74, 2015

      36 양남희 ; 홍은실,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3 (23): 143-157, 2011

      37 Ng., B., "The neuroscience of growth mindset and intrinsic motivation" 8 (8): 20-, 2018

      38 World Economic Forum, "The future of jobs: 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39 Schroder, H. S., "The fixed mindset of anxiety predicts future distress : A longitudinal study" 50 : 710-717, 2019

      40 Deci, E. L.,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 :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11 (11): 227-268, 2000

      41 Park, S.,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s wellbeing: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growth mindset and hope" Hanseo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6

      42 Byrne, B. 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Basic Concepts, Applications, and Programm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1

      43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2019

      44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Routledge 1988

      45 Chen, F. F., "Sensitivity of goodness of fit indexes to lack of measurement invariance" 14 (14): 464-504, 2007

      46 Sung, K, "Research Design and Item development research of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research" Korean Educational Research Network 2012

      47 Healy, C. C., "Relation of career attitudes to age and career progress during college" 32 (32): 239-244, 1985

      48 Fenzel, L. M., "Prospective study of changes in global self-worth and strain during the transition to middle school" 20 (20): 93-116, 2000

      49 Ryan, R. M., "Perceived locus of causality and internalization : Examining reasons for acting in two domains" 57 : 749-761, 1989

      50 Hardin, A., "Participative goal setting in self-directed global virtual teams: The role of virtual team efficacy in goal setting effectiveness and performance" 363-372, 2013

      51 Dweck, C. S., "Mindsets : Developing talent through a growth mindset" 21 (21): 4-7, 2009

      52 Dweck, C. S., "Mindset: The new psychology of success" Random House 2006

      53 Tuckwiller, B., "Mindset, grit, optimism, pessimism and life 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and without anxiety and/or depression" 6 (6): 32-48, 2018

      54 Bostock, R., "Mindset and its relationship to anxiety in clinical veterinary students" 183 : 623-, 2018

      55 Moser, J. S., "Mind your errors : Evidence for a neural mechanism linking growth mind-set to adaptive posterior adjustments" 22 (22): 1484-1489, 2011

      56 Goldstein, S. E., "Middle School Transition Stress : Links with Academic Performance, Motivation, and School Experiences" 19 : 21-29, 2015

      57 Chambliss, C., "Links between Depression and Fixed Versus Growth Mindsets" 1 (1): 1-10, 2018

      58 Chan., D., W., "Life Satisfaction, Happiness, and the Growth Mindset of Healthy and Unhealthy Perfectionists Among Hong Kong Chinese Giftted Students" 34 (34): 224-233, 2012

      59 Kim, S.,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research 2005(III): Survey summary report"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7

      60 Clark., A., L., "Is mindset related to resilience,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Northcentral University 2018

      61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lenum 1985

      62 Ryan, R. M.,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from 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 Definitions, theory, practices, and future directions" 61 : 101860-, 2020

      63 Dweck, C. S., "Implicit theories and their role in judgments and reactions : A word from two perspectives" 6 (6): 267-285, 1995

      64 Cheung, G. W., "Evaluating goodness-of-fit indexes for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9 (9): 233-255, 2002

      65 Kim, H, "Effects of Mother’s Math Mindset on Anxiety and Mother-Child Interaction" Chung-b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20

      66 Kwon, S., "Depression" Hakjisa 2016

      67 Bentler, P. M.,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107 : 238-246, 1990

      68 Kendall, P. C., "Cognitive deficit or cognitive distortion in childhood depression" 18 : 255-270, 1990

      69 Patton, W., "Career maturity and well-being as determinants of occupational status of recent school leavers : A brief report of an Australian study" 17 (17): 425-435, 2002

      70 Walker, J. V., "Career Thoughts, Indecision, and Depression :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Assessment in Career Counseling" 20 (20): 497-506, 2012

      71 Lee, H., "Career Counseling" Yangseowon 2007

      72 Maehr, M. L., "Advances in motivat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enhancing environments" JAI 1989

      73 Choi, J, "Achievement,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Career Maturity in Upper Elementary School Graders" Kyu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Education Graduate school 2014

      74 Dweck, C. S.,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and growth mindset personality" 95 (95): 256-, 1988

      75 Schleider. J., "A single-session growth mindset intervention for adolescent anxiety and depression : 9-month outcomes of a randomized trial" 1-11, 2017

      76 Vandenberg, R. J., "A review and synthesis of the measurement invariance literature : Suggestions, practices, and recommendations for organizational research" 3 (3): 4-66, 2000

      77 Tucker, L. R.,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38 : 1-10, 1973

      78 Super, D. E.,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16 (16): 282-298, 1980

      79 Choi, S., "A Longitudinal Study of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 Maturity of South Korean Adolescents" 60 (60): 163-177,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4 1.54 2.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9 2.24 2.37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