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의 체제유지와 선전선동의 역할: 수령형상의 측면에서 = The Role of Agitation Propaganda in Sustaining the North Korean Regime: In Terms of Artistic Representation of the Lea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68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북한체제 유지의 축을 조직적 측면에서 북한 주민에 대한 ‘감시와 통제’, 심리적 측면에서 학습과 교양을 통한 ‘선전선동’이라고 단순화할 때 본 논문은 북한체제 유지의 근거를 ‘수...

      북한체제 유지의 축을 조직적 측면에서 북한 주민에 대한 ‘감시와 통제’, 심리적 측면에서 학습과 교양을 통한 ‘선전선동’이라고 단순화할 때 본 논문은 북한체제 유지의 근거를 ‘수령형상’을 통한 선전선동의 측면에서 살펴본다. 북한의 수령형상 과정에서 선전선동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통해 북한 주민이 어떻게 유일영도체계와 김일성주의에 의식화되었는지, 김일성·김정일과 당에 대한 충실성을 갖게 되었는지를 밝힌다. 북한은 조선노동당 선전선동부 중심의 핵심 지도부가 수령형상을 포함한 선전선동의 메시지를 모든 미디어와 문화예술을 통해 강력하고 반복적으로 주민들에게 투사함으로써 김일성·김정일에 대한 충성과 복종, 수령과 당에 의한 유일지배체계의 유지를 가능하게 했다. 즉 수령과 당에 절대 충실성을 가진 ‘주체형의 인간형’을 완성하려 하였다. 북한은 인민의 필요가 아니라 권력자의 필요에 의한 것만을 전달하고 전달체계의 통제를 통해 북한 주민의 사상통제를 가져왔고 북한 체제의 유지를 가능하게 했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rth Korea`s regime maintenance capabilities can be explained from an organizational perspective, which is ‘inspection and control’ of its populace, and also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which refers to ‘agitation and propaganda(agitprop)...

      North Korea`s regime maintenance capabilities can be explained from an organizational perspective, which is ‘inspection and control’ of its populace, and also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which refers to ‘agitation and propaganda(agitprop)’ by means of study(hakseup) and education(gyoyang). This paper explains, with a focus on the role of agitprop in artistic representation of the leader, how the North Korean populace became indoctrinated with the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and Kimilsungism, and developed loyalty for Kim Il Sung, Kim Jong Il, and the Workers` Party of Korea(WPK). The WPK Department of Propaganda and Agitation(DPA) disseminated artistic representation of the leader and other agitprop messages through all forms of media, arts and literature. Repeated exposure to such messages enabled people`s indoctrination for loyalty and obedience to Kim Il Sung and Kim Jong Il, as well as maintenance of a monolithic system of control by the leader. In doing so, DPRK sought to create ‘men of a juche type’ with absolute sense of ‘loyalty’ to the leader and the party. North Korea communication delivery system only delivered what is necessary for the leader but not for the general public. Moreover, such delivery system made it possible for the leadership to clamp a tight ideological grip on the populace and sustain its regim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천, "후계자문제의 이론과 실천" 1989

      2 오미영,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3 김정일, "주체문학론"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4 문영호, "조선말사전 제2판"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0

      5 김정일, "영화예술론" 조선로동당출판사 1973

      6 알렉스 인켈스, "소련의 여론" 문맥사 1987

      7 이종석,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 역사비평사 2005

      8 북한연구소, "북한총람" 북한연구소 2011

      9 북한연구소, "북한총람" 북한연구소 1983

      10 전현준, "북한체제의 내구력 평가" 통일연구원 2006

      1 김재천, "후계자문제의 이론과 실천" 1989

      2 오미영,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3 김정일, "주체문학론"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4 문영호, "조선말사전 제2판"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0

      5 김정일, "영화예술론" 조선로동당출판사 1973

      6 알렉스 인켈스, "소련의 여론" 문맥사 1987

      7 이종석,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 역사비평사 2005

      8 북한연구소, "북한총람" 북한연구소 2011

      9 북한연구소, "북한총람" 북한연구소 1983

      10 전현준, "북한체제의 내구력 평가" 통일연구원 2006

      11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북한주민통일의식과 북한사회변동: 2012 북한이탈주민 조사 결과 발표"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2

      12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북한주민의 통일의식: 2008-2011 새터민의식조사 결과발표"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1

      13 정성장, "북한정치 연구와 남한중심주의" 한국정치정보학회 10 (10): 89-106, 2007

      14 이상민, "북한의 정치과정에서의 개인우상화정책: 「로동신문」 등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9 : 1989

      15 이주철, "북한의 방송언론과 예술" 경인문화사 2006

      16 국토통일원, "북한영화의 이해" 국토통일원 1990

      17 유완식, "북한삼십년사" 현대경제일보사·일요신문사 1975

      18 현성일, "북한노동당의 조직구조와 사회통제체계에 관한 연구 : 「당의 유일사상체계 확립의 10대원칙」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1999

      19 국사편찬위원회, "북한관계사료집 5: 법제편" 국사편찬위원회 1987

      20 고유환, "북한 언론 현황과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2

      21 강현두, "북한 매스미디어론" 나남 1997

      22 리석규, "방송리론" 조선중앙방송위원회 1985

      23 이상두, "마르크스·레닌주의와 언론 : 북한 언론의 본질과 비판" 범우사 1979

      24 신응섭, "리더십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1999

      25 김현식, "다큐멘터리 김정일" 천지미디어 1997

      26 김정일, "김정일선집 4" 조선로동당출판사 1994

      27 김정일, "김정일선집 1"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28 박형중, "김정일 시대 북한의 정치체제: 통치이데올로기, 권력엘리트, 권력구조의 지속성과 변화" 통일연구원 2004

      29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김정은 1년, 북한주민의 의식과 사회변동: 2013 북한 이탈주민의식 및 사회변동 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30 이경직, "김일성·김정일 '수령형상' 과정에서 선전선동의 역할" 북한대학원대학교 2014

      31 조선백과사전출판위원회 정치, "광명백과사전 3: 정치, 법" 백과사전출판사 2009

      32 안톤 부젝크, "공산주의언론비판" 형설출판사 1982

      33 韓炳九, "中共의 커뮤니케이션과 大衆運動에 관한 硏究" 경희대학교 대학원 1978

      34 Bass, B. M., "Leadership and performance byond expectations" The Free Press 1985

      35 Siebert, F. S., "Four Theories of The Pres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56

      36 Altschull, J. Herbert, "Agents of Power: The Media and Public Policy" Longman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1 1.84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