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구개발 투자지출과 시장성과 -자본시장 및 고용활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Economic Consequences of R&D Investment -Focused on the Relation with the Performance in the Stock Market and the Change in Employ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945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R&D investment from following two perspectives: First, we examine whether capital market positively incorporate to incremental R&D investment of individual firms by using the ERC model which tests informational content of unexpected performance. Second, we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incremental R&D investment and changes in employment rate after controlling financial characteristics, industry sector and year effect which surrogate macro economic condition.
      Empirical analyses using firm-year observations from 2001 to 2010 provide several interesting features as follows:First, we find that capital market incrementally incorporate to firms’performance as R&D investment increases. Specifically, this effects are stronger in industry sector classified as the source of new growth and technology. Second, we also find that firms with incremental R&D investment raise the employment rate, which implies that the policy stance to promote R&D investment can be linked with the increase in employment growth of firms.
      Similarly with the results in capital market effect of R&D investment, we observe that firms included in industry of the source of new growth and technology more actively expand their employment to the increased R&D investment. Finally, increase in R&D investment of small &medium enterprises shows more significant evidences of incremental R&D investment in capital market and in employment rate than those of large firms.
      Taken together, our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providing empirical evidences the effectiveness of policy stance to promote R&D investment. we argue that findings in our study can provide meaningful policy implication by suggesting insights on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policy stance to promote R&D investment.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R&D investment from following two perspectives: First, we examine whether capital market positively incorporate to incremental R&D investment of individual firms by using the ERC model which test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R&D investment from following two perspectives: First, we examine whether capital market positively incorporate to incremental R&D investment of individual firms by using the ERC model which tests informational content of unexpected performance. Second, we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incremental R&D investment and changes in employment rate after controlling financial characteristics, industry sector and year effect which surrogate macro economic condition.
      Empirical analyses using firm-year observations from 2001 to 2010 provide several interesting features as follows:First, we find that capital market incrementally incorporate to firms’performance as R&D investment increases. Specifically, this effects are stronger in industry sector classified as the source of new growth and technology. Second, we also find that firms with incremental R&D investment raise the employment rate, which implies that the policy stance to promote R&D investment can be linked with the increase in employment growth of firms.
      Similarly with the results in capital market effect of R&D investment, we observe that firms included in industry of the source of new growth and technology more actively expand their employment to the increased R&D investment. Finally, increase in R&D investment of small &medium enterprises shows more significant evidences of incremental R&D investment in capital market and in employment rate than those of large firms.
      Taken together, our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providing empirical evidences the effectiveness of policy stance to promote R&D investment. we argue that findings in our study can provide meaningful policy implication by suggesting insights on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policy stance to promote R&D invest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요한 조세지원 제도 중 하나인 연구개발투자와 관련된 조세지원제도의 유효성을 해당 조세지원제도를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기업의 시장성과와 연계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특히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조세특례제한법 제10조), 신성장․원천기술 연구개발비에 대한 조세지원제도(조세특례제한법 제10조의 제①항)의 시장성과를 다음의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첫째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우리나라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 투자활동이 회계적 성과에 대한 자본시장 가치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둘째는 연구개발 투자활동과 고용변화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기업이 연구개발 투자를 증가시키는 경우 해당 기업의 회계적 성과에 대한 자본시장의 평가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성장․원천기술 산업에 속한 기업은 다른 기업에 비하여 이러한 현상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개별 기업의 연구개발비 투자지출 변화와 고용변화율 간에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개별 기업의 재무적 특성, 산업특성, 연도별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넷째, 신성장․원천기술 산업에 속한 기업은 다른 기업에 비하여 연구개발 투자지출 변화와 고용변화율 간의 관련성이 더 강하게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나누어서 분석한 결과,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에서 이러한 현상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들은 연구개발 촉진을 위한 지원시책과 그를 통한 투자 지출의 확대가 자본시장과 고용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투자지출의 효과가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발견한 것은 정책적인 관점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대하여 차별적인 정책을 수립․운영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요한 조세지원 제도 중 하나인 연구개발투자와 관련된 조세지원제도의 유효성을 해당 조세지원제도를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기업의 시장성과와 연계하여 검...

      본 연구의 목적은 중요한 조세지원 제도 중 하나인 연구개발투자와 관련된 조세지원제도의 유효성을 해당 조세지원제도를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기업의 시장성과와 연계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특히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조세특례제한법 제10조), 신성장․원천기술 연구개발비에 대한 조세지원제도(조세특례제한법 제10조의 제①항)의 시장성과를 다음의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첫째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우리나라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 투자활동이 회계적 성과에 대한 자본시장 가치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둘째는 연구개발 투자활동과 고용변화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기업이 연구개발 투자를 증가시키는 경우 해당 기업의 회계적 성과에 대한 자본시장의 평가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성장․원천기술 산업에 속한 기업은 다른 기업에 비하여 이러한 현상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개별 기업의 연구개발비 투자지출 변화와 고용변화율 간에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개별 기업의 재무적 특성, 산업특성, 연도별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넷째, 신성장․원천기술 산업에 속한 기업은 다른 기업에 비하여 연구개발 투자지출 변화와 고용변화율 간의 관련성이 더 강하게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나누어서 분석한 결과,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에서 이러한 현상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들은 연구개발 촉진을 위한 지원시책과 그를 통한 투자 지출의 확대가 자본시장과 고용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투자지출의 효과가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발견한 것은 정책적인 관점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대하여 차별적인 정책을 수립․운영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종서,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적 시차효과에 대한 시계열분석" 한국회계학회 34 (34): 67-105, 2009

      2 박재민, "연구개발투자에 따른 고용유발효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

      3 정혜영, "연구개발비 정보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산업별 비교" 한국경영학회 32 (32): 10-282, 2003

      4 백원선, "산업별 경제적 효과를 고려한 연구개발비의 가치관련성" 한국증권학회 33 (33): 191-214, 2004

      5 정규언, "기업의 연구개발비 투자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코스닥 등록기업을 대상으로" 2 (2): 93-117, 2001

      6 한봉희, "국제회계기준에 따른 연구개발 지출의 회계처리 기준 변경에 대한 시장 반응" 한국회계학회 31 (31): 97-126, 2006

      7 김병우, "고용창출을 위한 정부연구개발투자 정책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8 조성표, "硏究開發支出의 多期間 利益效果 分析" 한국경영학회 30 (30): 289-315, 2001

      9 Han, B., "The Value-Relevance of R&D and Advertising Expenditures:Evidence from Korea" 39 (39): 155-173, 2004

      10 Callen, J. L., "The Valuation Relevance of R&D Expenditures:Time Series Evidence" 14 : 304-325, 2005

      1 최종서,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적 시차효과에 대한 시계열분석" 한국회계학회 34 (34): 67-105, 2009

      2 박재민, "연구개발투자에 따른 고용유발효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

      3 정혜영, "연구개발비 정보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산업별 비교" 한국경영학회 32 (32): 10-282, 2003

      4 백원선, "산업별 경제적 효과를 고려한 연구개발비의 가치관련성" 한국증권학회 33 (33): 191-214, 2004

      5 정규언, "기업의 연구개발비 투자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코스닥 등록기업을 대상으로" 2 (2): 93-117, 2001

      6 한봉희, "국제회계기준에 따른 연구개발 지출의 회계처리 기준 변경에 대한 시장 반응" 한국회계학회 31 (31): 97-126, 2006

      7 김병우, "고용창출을 위한 정부연구개발투자 정책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8 조성표, "硏究開發支出의 多期間 利益效果 分析" 한국경영학회 30 (30): 289-315, 2001

      9 Han, B., "The Value-Relevance of R&D and Advertising Expenditures:Evidence from Korea" 39 (39): 155-173, 2004

      10 Callen, J. L., "The Valuation Relevance of R&D Expenditures:Time Series Evidence" 14 : 304-325, 2005

      11 Bublitz, B., "The Information in Discretionary Outlays:Advertising, Research and Development" 64 (64): 108-124, 1989

      12 Ayers, B.C., "The Effect of Shareholder-Level Dividend Taxes on Stock Prices:Evidence from the Revenue Reconciliation Act of 1993" 77 (77): 933-947, 2002

      13 Lev, B., "The Capitalization, Amortization, and Value-Relevance of R&D" 21 : 107-138, 1996

      14 Sougiannis, T., "The Accounting Based Valuation of Corporate R&D" 69 (69): 44-68, 1994

      15 Mortensen D., "Technological Progress, Job Creation, and Job Destruction" 1995

      16 Watts, R. L., "Positive Accounting Theory" Prentice Hall 1986

      17 Teoh, S. H., "Perceived Auditor Quality and th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68 (68): 346-366, 1993

      18 Aghion, P., "Growth and Unemployment" 61 : 477-494, 1994

      19 Hanlon, M., "Evidence for the Possible Information Loss of Conforming Book Income and Taxable Income" 48 : 407-441, 2005

      20 Petersen, M. A., "Estimating Standard Errors in Finance Panel Data Sets:Comparing Approaches" 22 (22): 435-480, 2009

      21 Chan, S., "Corporate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ditures and Share Value" 26 : 255-276, 1990

      22 Gelb. D. S., "Corporate Disclosure Policy and the Informativeness of Stock Prices" 7 : 33-52, 2002

      23 Ball, R., "An Empirical Evaluation of Accounting Income Numbers" 6 (6): 159-178, 19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8 1.713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