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구려 무덤제사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 An archaeological inference of tomb rituals of Koguryo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구려 고분 연구가 고분을 둘러쌓고 행해진 다양한 행위의 복원으로 확장되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이 글에서는 무덤제사의 복원을 염두에 두고 기존에 제의의 증거로 보았던 무덤 구조를 ...

      고구려 고분 연구가 고분을 둘러쌓고 행해진 다양한 행위의 복원으로 확장되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이 글에서는 무덤제사의 복원을 염두에 두고 기존에 제의의 증거로 보았던 무덤 구조를 검토하였다.
      무덤 구조를 검토한 결과, 무덤제사와 관련된 구조나 시설로 언급되었던 적석총에 잇대어 있는 부석시설이나 제대, 분구 위의 건물 등은 무덤에서 행해진 정기적인 제사와 직접 관련된 시설로 보기 어려웠다. 오히려 부석시설과 분구에서 출토된 기와의 1차 기능은 분구나 매장부의 보호에 있었을 것이며, 초대형 계단석실적석총의 분구 위 건물은 왕릉의 상징이자 무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제대로 보고된 시설은 주검의 매납 시 행해졌던 일회적 의식과 관련이 있을 것이나 구체적인 역할
      은 현재 자료로 추단하기 어렵다. 주목을 끌지 않았던 계단적석총 층단의 ㄴ자상 판상석이나 석실의 입구의 유물 출토 상황은 주검 안치와 관련된 일회적인 묘전의례나 분구의례의 결과로 추정된다.
      고구려의 무덤제사를 고분 구조에 기초하여 추론하자면, 주검 매납 시 행해진 일회적인 의례와 매납 후 행해진 정기적인 의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정기적인 제사는 4세기 중엽 이전에는 제사 때마다 마련된 제장에서 행해졌을 것이며, 4세기 중엽을 경과하면서 능묘가 마련됨으로써 일회적 가설식 제장과 함께 병용되었을 것이다. 6세기가 되면서 불교와 결합된 능사가 조성됨으로써 능사가 무덤을 보호, 상징하는 역할과 함께 능묘 역할을 겸했을 것이다. 주검 매납과 함께 행해지는 일회적인 묘전의례, 분구의례는 석실 내부의 석상, 제대나 계단 층단의 ㄴ자상 판상석등을 통해 유추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 the thought that the study of Koguryo tombs should be extended to renaturation of various activities surrounding the tomb, I have put concern on the tomb rituals of Koguryo. In this paper, I archeologically examine the structure of tomb which had s...

      On the thought that the study of Koguryo tombs should be extended to renaturation of various activities surrounding the tomb, I have put concern on the tomb rituals of Koguryo. In this paper, I archeologically examine the structure of tomb which had seen as proof of the tomb rituals, and based on this I deduce the tomb rituals of Koguryo.
      After reviewing the existing excavation reports on the tombs, it did not seem that the structure or facilities of stone mounded tomb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tomb rituals.
      The flatly laid stone which was attached stone mounded tomb and the wooden building on the top of the stone mound were the evidence of the protection of tombs not tomb rituals. Especially the role of the wooden building on the top of the extra large scaled stone step mounded tomb with stone chamber is the symbol of royal tomb and play a
      role of the protection from humidity and water. And it is deduced that the ㄴ shaped plate stone laid on the stepped stone mound and the association of remains excavated on the entrance of stone chamber have played a role in some of the activities of the tomb rituals.
      The tomb ritual performing at the front of the tomb would have been done in the place where the ritual place was set each time, not the tomb shrine. Through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it would have been used that the tomb shrine or the stone table in the mural chamber at tomb rituals. And by the 6th century built the buddhist tomb
      temple, the buddhist tomb temple would have played the roles of the place of tomb ritual combined with Buddhism, show off the royal tomb and protected the royal tomb.
      The results of the inference are as follows that the tomb rituals of Koguryo are divided into three. The first ritual i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burying and the second is after completing the mound. The regular tomb rituals would have performed at the front of the tomb.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a research topic that should be constantly
      interested on the restoring the various aspects of the tomb ritua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검토 대상과 고고학적 전제
      • Ⅲ. 고고학적 검토
      • 1. 石臺
      • 2. 분구 위 건물
      • Ⅰ. 머리말
      • Ⅱ. 검토 대상과 고고학적 전제
      • Ⅲ. 고고학적 검토
      • 1. 石臺
      • 2. 분구 위 건물
      • 3. 陵廟
      • 4. 陵寺
      • 5. 기타
      • Ⅳ.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삼, "집안일대에서 드러난 고구려제단시설" 2006 (2006): 2006

      2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조선유물도감 5" 1990

      3 강현숙, "전 동명왕릉과 진파리고분군의 성격검토" 호서고고학회 (18) : 30-55, 2008

      4 리정남, "운평리 고구려무덤떼 제4지구 돌각담무덤발굴보고" 1990 (1990): 1990

      5 조우연, "고구려의 왕실조상제사-4∼5세기 ‘始祖 朱蒙’의 위상과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60) : 36-73, 2010

      6 이형구, "고구려와 백제의문화적 관계-고구려와 백제의 적석총과 향당제도" 3 : 1993

      7 정호섭, "고구려 적석총 단계의 祭儀 양상" 한국고대학회 (29) : 191-222, 2008

      8 동북아역사재단, "고구려 유적 - 세계문화유산등재 자료집 해제"

      9 강진원, "고구려 국가제사연구" 서울대학교 2016

      10 강현숙, "고구려 고분 연구" 2013

      1 김경삼, "집안일대에서 드러난 고구려제단시설" 2006 (2006): 2006

      2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조선유물도감 5" 1990

      3 강현숙, "전 동명왕릉과 진파리고분군의 성격검토" 호서고고학회 (18) : 30-55, 2008

      4 리정남, "운평리 고구려무덤떼 제4지구 돌각담무덤발굴보고" 1990 (1990): 1990

      5 조우연, "고구려의 왕실조상제사-4∼5세기 ‘始祖 朱蒙’의 위상과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60) : 36-73, 2010

      6 이형구, "고구려와 백제의문화적 관계-고구려와 백제의 적석총과 향당제도" 3 : 1993

      7 정호섭, "고구려 적석총 단계의 祭儀 양상" 한국고대학회 (29) : 191-222, 2008

      8 동북아역사재단, "고구려 유적 - 세계문화유산등재 자료집 해제"

      9 강진원, "고구려 국가제사연구" 서울대학교 2016

      10 강현숙, "고구려 고분 연구" 2013

      11 耿鐵華, "高句麗硏究文集" 1993

      12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集安高句麗王陵" 文物出版社 2004

      13 孫仁杰, "集安高句麗墓葬" 香港亞洲 2007

      14 張福有, "集安禹山3319號墓卷云紋瓦當銘文認識與考證" 2005 (2005): 2005

      15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集安將軍墳西南建築遺址的考古發掘" 10 : 2011

      16 조우연, "集安 高句麗碑에 나타난 왕릉제사와 조상인식" 한국고대사학회 (70) : 139-179, 2013

      17 최태정, "考古資料를 통해 본 高句麗 喪葬禮硏究" 고려대학교 2014

      18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吉林集安高句麗墓葬報告集" 文物出版社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89 1.57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